자율형 AI 데이터 과학자 AADS...데이터 관리 엔드투엔드 자동화 혁신 작성일 09-10 1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솔루션 가이드] 페블러스 AADS, 데이터 수집부터 규제 보고까지 자동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uVFGF6FDp"> <p contents-hash="1ebc228c3753c5a073c47c1c1b18e77a31491ef5721b463a8a452a99373e5a17" dmcf-pid="x7f3H3P3w0" dmcf-ptype="general">디지털 전환과 생성AI 확산은 기업의 데이터 활용 방식에 근본적 변화를 불러왔다.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센서 데이터 등 방대한 비정형 데이터가 끊임없이 쏟아지고 있지만, 데이터 품질을 검증하고 관리하는 체계는 여전히 미흡하다. 불완전한 데이터나 편향된 데이터는 AI 성능을 크게 저해하며, 중복 데이터는 불필요한 학습 시간을 발생시켜 막대한 비용을 초래한다. 실제 기업 현장에서는 데이터 수집과 정제, 품질 검증, 규제 보고 등 데이터와 관련된 업무가 전체 AI 개발 과정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어 개발 효율성이 떨어지고 오류 추적이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관리 역시 의료에서 정기 건강검진을 받듯 상시 진단과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p> <p contents-hash="ae4c9c14c25745ab20db821c74bf657633fec105631cafa2a7ec07c512b01a1c" dmcf-pid="ykCadavaO3" dmcf-ptype="general">AI 데이터 전문 기업 페블러스(대표 이주행)는 데이터 품질 관리 솔루션 '데이터 클리닉'을 바탕으로 한 단계 더 진화한 플랫폼, 자율형 인공지능 데이터 과학자(AADS, Agentic AI Data Scientist)를 공개했다. AADS는 KISTI의 과학기술 특화 거대언어모델 KONI와 결합해 데이터 품질 관리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8d0b2b1b72e84c4a51d8a8ad9905d118aab3636a5269c1e9de10ad5bb71f35e" dmcf-pid="WEhNJNTNm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페블러스 데이터 클리닉에서 진화한 AADS"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0/etimesi/20250910091047281cjkb.png" data-org-width="700" dmcf-mid="61uWCWBWI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0/etimesi/20250910091047281cjkb.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페블러스 데이터 클리닉에서 진화한 AADS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c8d47c92712d20fe96aad1a752fd06176b9bd6443faf3783f3ac57a247e2152" dmcf-pid="YDljijyjwt" dmcf-ptype="general"><strong>데이터 관리 엔드투엔드 자동화 시스템, AADS<br></strong><br>페블러스의 AADS는 데이터 수집, 품질 진단, 개선, 합성데이터 생성, 경량화, 규제 보고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엔드투엔드 시스템을 목표로 한다. 데이터 클리닉에서 검증된 진단 기술과 시각화 도구, 합성데이터 기법을 바탕으로, KONI의 언어 모델을 활용해 데이터 관련 업무의 80%를 자율 에이전트가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문가의 직접 개입 없이도 AI 개발을 위한 데이터 준비가 가능해지는 것이 핵심이다.</p> <p contents-hash="d0ef38d3f3fae1974efe305b93e204a1728c0e696a519f483d90a8ec16a11aa8" dmcf-pid="GwSAnAWAO1" dmcf-ptype="general">AADS의 가장 큰 강점은 데이터 품질 진단 능력이다. 기존 데이터 클리닉에서 제공해 온 '진단 렌즈'는 초고차원 데이터를 저차원으로 변환해 핵심 특성을 보존하면서도 품질 문제를 명확히 드러낸다. 겉으로는 문제없어 보이는 데이터도 렌즈를 통해 오류와 편향, 중복 여부가 식별된다. 이어서 3D 대화형 탐지 시스템 '페블로스코프'를 활용하면 방대한 데이터 공간에서 숨겨진 패턴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화 기능은 사용자가 데이터 품질 문제를 이해하고 개선 방향을 결정하는 데 직접적인 도움을 준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86f5f61953e01ade93a6d14075c403d71ddb62a9b858589fb71d1f8a2af6562" dmcf-pid="HcthwhphD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AADS는 데이터 관리 모든 단계 엔드투엔드 자동화된 시스템이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0/etimesi/20250910091048603vhmv.png" data-org-width="700" dmcf-mid="PkDd6dsds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0/etimesi/20250910091048603vhmv.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AADS는 데이터 관리 모든 단계 엔드투엔드 자동화된 시스템이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e1fa4f0c988ecb5118c183cf8510e640aaf53eba94a8943126acc88d896bfdf" dmcf-pid="XkFlrlUlrZ" dmcf-ptype="general">또한 AADS는 단순한 진단을 넘어 개선과 실행까지 이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데이터 다이어트' 기능은 중복 데이터를 제거해 데이터셋을 경량화하고 학습 부담을 줄인다. 반대로 '정밀 타기팅 데이터 벌크업'은 부족한 영역의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확장해 모델 학습의 정확도를 높인다. 이 과정에서 페블러스가 보유한 3세대 합성데이터 기술이 활용된다. 컴퓨터 그래픽스와 생성모델을 결합한 합성데이터는 실제 취득이 어려운 조건을 재현하며, 비주얼 튜링테스트에서 만점에 가까운 평가를 받은 바 있다. 가트너 역시 해당 기술을 우수 사례로 언급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했다.</p> <p contents-hash="50ac850799fd4b1e1d4c64071d94dc73498a33e87c70ff28064447039b26c1bd" dmcf-pid="ZE3SmSuSrX" dmcf-ptype="general">AADS는 단순한 기능 집합이 아니라 하나의 자율적 사이클로 구성된다. 진단을 통해 문제를 발견하고, KONI 기반 언어 보고를 통해 설명을 제공하며, 필요한 개선 조치를 자동으로 실행하고, 실행 후 결과를 다시 평가해 다음 사이클에 반영한다. 이 과정은 사람이 반복적으로 수행하던 작업을 자율 에이전트가 대체하는 구조로, 효율성을 극대화한다.</p> <p contents-hash="e013fd1e9c5b845b5e9fa60ec6fe335a88a7a6bf1b24e80e05443b69a47f77c0" dmcf-pid="5D0vsv7vsH" dmcf-ptype="general">규제 보고와 거버넌스 지원 또한 AADS의 핵심 가치다.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진단, 개선, 합성 기록이 자동으로 축적돼 내부 점검 문서와 규제 대응 보고서로 활용된다. 이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공공과 금융, 헬스케어 등 규제가 엄격한 산업에서 특히 유용하다. 실제로 데이터 클리닉은 조달청 혁신제품으로 지정되며 공공 부문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AADS는 이를 기반으로 공공 AI 인프라 전반에서 신뢰성 있는 데이터 관리 표준을 제시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de66e12c8b6c4c8aef5f2fe8d243c2fc8b453171b9b12e766917ea6357ea369f" dmcf-pid="1wpTOTzTDG" dmcf-ptype="general">마지막으로 AADS는 산업 전반에서 확장 가능성을 갖췄다. 제조업의 센서 데이터, 미디어 산업의 이미지와 영상, 금융의 거래 데이터, 헬스케어의 환자 데이터 등 다양한 영역에서 품질 관리와 규제 대응 요구가 공통적으로 존재한다. AADS는 모델이나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는 설계를 통해 이러한 다분야 수요를 대응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기능할 전망이다.</p> <p contents-hash="f709109fdb0abd8ffea803113198ad0fbc4d5e73b483e67016d6ffc7ea65b2d8" dmcf-pid="trUyIyqymY" dmcf-ptype="general"><strong>가트너 보고서가 주목한 페블러스의 데이터 품질 관리 기술<br></strong><br>페블러스의 AADS와 데이터 클리닉 기술력은 글로벌 분석기관 가트너의 2025년 2월 18일자 보고서에서 확인된다. 보고서는 생성AI 시대에 적합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비정형 데이터 관리 역량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대형 데이터 관리 벤더조차 아직 이러한 기능을 충분히 갖추지 못한 상태라며, 전문적인 데이터 품질 관리 솔루션을 활용하거나 적절한 파트너십을 맺을 것을 권장했다. 이 보고서에서 페블러스는 글로벌 데이터 품질 관리 전문 기업인 Anomalo와 Shelf.io와 나란히 언급되며, 비정형 데이터 품질 관리 분야의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평가받았다. 이는 국내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데이터 품질 관리 부문 혁신 역량을 인정받은 사례로, AADS 플랫폼이 지닌 확장 가능성과 경쟁력을 입증한다.</p> <p contents-hash="153624c6dd00f8266db55235f5c1dad3c7c8f1d162bddd25bd433f6fab738d10" dmcf-pid="FmuWCWBWsW" dmcf-ptype="general"><strong>산업에서 활용 효과 입증<br></strong><br>AADS가 지향하는 기능은 이미 이 기술의 기반이 된 데이터 클리닉 사례를 통해 효과가 입증됐다. A사는 차량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위치 추정 AI를 개발하고 있었으나, 공간 제약으로 인해 데이터 확보가 어려웠다. 페블러스의 데이터 품질 진단과 정밀 타기팅 합성데이터 생성 서비스를 적용한 결과, 데이터 취득 기간이 기존 15일에서 1시간 이하로 단축됐다. 이로 인해 공간 섭외와 인력 투입 비용이 크게 절감됐고, AI 성능은 200%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다.</p> <p contents-hash="e932dd5df56ef8f0a288bae33471a6f7e5c620f530b438366012a70361e9a4c6" dmcf-pid="3s7YhYbYDy" dmcf-ptype="general">B사의 경우 가상 아이돌 제작 과정에서 얼굴 캡처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200만 건의 합성데이터를 사용했지만, 중복 문제가 심각했다. 이는 AI 학습 시간을 크게 늘리는 원인이 되었고, 개발 일정에 차질을 빚었다. 그러나 데이터 클리닉의 진단을 거쳐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고, 중복 없는 합성데이터를 생성한 결과 데이터셋이 15% 경량화됐다. 학습 시간은 1주일에서 1일로 대폭 단축됐다. 이는 비용 절감과 개발 속도 향상이라는 두 가지 성과를 동시에 달성한 사례로 꼽힌다.</p> <p contents-hash="55d90b749c5e6d10536fe696036a549b59af2225e2289fffc839853acfd9006a" dmcf-pid="0OzGlGKGDT" dmcf-ptype="general">이러한 사례는 데이터 클리닉에서 검증된 기술이 AADS의 자율적 사이클에 그대로 이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AADS는 사람이 주도하던 진단과 개선을 에이전트가 반복 실행하도록 만들어, 효과를 더 빠르고 안정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p> <p contents-hash="d8766561708e84941ca93f6cc536ece675e84e99becf0ff9a2b75f11ac021e13" dmcf-pid="pIqHSH9HDv" dmcf-ptype="general">페블러스는 AADS를 통해 데이터 관리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엔드투엔드 시스템을 완성할 계획이다. KONI를 기반으로 데이터 품질 진단 체계를 한층 고도화하고, 데이터 전문가 개입 없이도 AI 개발을 위한 데이터 준비가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또한 조달청 혁신제품 지정 경험을 발판 삼아 공공기관 대상으로 현장 실증과 조달 확대를 추진한다. 나아가 글로벌 데이터 품질 및 거버넌스 시장의 수요 증가에 대응해 해외 진출을 본격화하며, AI 개발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끌어올리는 실행 엔진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58ad982c9d8c9946056ee23567bec89f8471fed98121b8c0fcddda95c70a764f" dmcf-pid="UCBXvX2XIS" dmcf-ptype="general">“좋은 인공지능은 90%의 좋은 데이터와 10%의 모델링 기술에서 나온다.”는 페블러스의 철학은 AADS를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데이터 클리닉에서 검증된 품질 진단, 시각화, 합성데이터 기술이 자율 에이전트 플랫폼으로 진화하며, 기업은 데이터의 건강을 상시로 관리하고 그 결과를 설명 가능하게 남길 수 있다. AADS는 데이터 준비 속도와 신뢰성을 높여, 더 짧은 주기로 더 나은 AI를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p> <p contents-hash="3e5d14fc6b8d5fd4d5cd2444ad922cb6f76b483490c75870c398d5f8df13814a" dmcf-pid="uhbZTZVZrl" dmcf-ptype="general"><span>[알림] 전자신문인터넷과 GTT KOREA는 오는 9월 19일(금) 서울 삼성동 웨스틴 파르나스 하모니볼룸에서 'NABS(Next AI & Big Data Summit) 2025' 행사를 'AI 시대, 기업 맞춤형 AI·데이터·보안 통합 전략'을 주제로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는 비즈니스 이노베이션, 인프라&데이터 인텔리전스, AI 보안 & 거버넌스 등 3개 트랙 총 19개 세션으로 AI 시대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한 실질적 전략을 공유한다.</span></p> <p contents-hash="aa653f40c6709a61139bdd95be63d284062a47249548bfe41ba407b4d8f52d05" dmcf-pid="7lK5y5f5Ih" dmcf-ptype="general">유은정 기자 judy6956@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반도체 세정용 그린 과산화수소, "전기 없이 생산 성공…효율·경제성 모두 잡아" 09-10 다음 “9월 5일 이후 추가 피해 확인 안 돼” KT, 금전 피해 차단 총력전 09-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