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AI 경쟁력 국내 독보적 1위…글로벌에선 후발주자 작성일 09-10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CEO스코어 평가서 6개 부문 모두 1위…네이버 2위·LG 3위<br>AI논문 등재 글로벌순위 삼성 12위…50위권에 국내기업 3곳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qgsJfNfXm"> <p contents-hash="c9f2c887d9a0550ee1b681e05c2d65d23e3f86447347681021e5b9a7dd7266a6" dmcf-pid="1BaOi4j45r" dmcf-ptype="general">(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경쟁력에서 월등한 차이로 국내 1위를 차지했고, 이어 네이버와 LG가 2, 3위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p> <p contents-hash="c0fe4e07ef7025c81a974d60b7ca6bdf8eed4260c5006aa5541836056b485284" dmcf-pid="tbNIn8A8tw" dmcf-ptype="general">그러나 이들 모두 글로벌 빅테크에 비해서는 한참 뒤처진 수준이어서 범국가적 AI 경쟁력 제고가 시급한 상황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71f2c96cbd385d1fea37b1c472a30b59573a1264ae0767a9134355fc6d60eb3" dmcf-pid="FKjCL6c65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국내 AI 경쟁력 톱 10 기업 [CEO스코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0/yonhap/20250910060338449zocc.jpg" data-org-width="657" dmcf-mid="HiVJB141t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0/yonhap/20250910060338449zoc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국내 AI 경쟁력 톱 10 기업 [CEO스코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d6b0c015206e3d228dd537d9b5da4e99bb8fdc2234d94ea42a3298d44254a55" dmcf-pid="3RCZroloGE" dmcf-ptype="general">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10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국내 AI 특허와 논문 실적 상위 191개 기업의 AI 경쟁력을 종합 평가한 결과를 발표했다.</p> <p contents-hash="4d827dede91529432beba2802f5ed3b13c83f7f80b53299f6c3e783ef21696fc" dmcf-pid="0eh5mgSgZk" dmcf-ptype="general">이번 평가에선 ▲ 기술력(특허 피인용) ▲ 특허 활동(특허 등록 수) ▲ 학술 활동(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 수) ▲ 연구 영향력(논문 인용 수) ▲ AI 기술 인력 ▲ AI 전공 인력 등 총 6개 부문에서 기업별 경쟁력을 조사했다. </p> <p contents-hash="47e3566cf25645ce23e9e3c8d854bc752419c0de136f3b0116af406f9c96b133" dmcf-pid="pdl1sava5c" dmcf-ptype="general">CEO스코어는 항목별 1위 기업 수치를 100점으로 두고 나머지 기업과 비교하는 식으로 점수를 매겼다.</p> <p contents-hash="3fe3fab316d7fdde8754a2a5b30cec610ab2221709a5d420f1ca2bf812465356" dmcf-pid="UJStONTNZA" dmcf-ptype="general">평가 결과 삼성전자는 6개 전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해 총점 600점으로 종합 1위에 올랐다.</p> <p contents-hash="25f02e0eaf4445f7763dc51c7ae1ea2c8266bc141c296d470719aea5650e3826" dmcf-pid="uivFIjyjtj" dmcf-ptype="general">삼성전자는 특허 등록 1천79건, 특허 피인용 1천347회, 논문 등재 59건, 논문 인용 315회, AI 기술 인력 5만872명, AI 전공 인력 2만8천58명 등을 기록했다.</p> <p contents-hash="48236751591bff3ad73c67ab8afe91d139587d4e5eb765b8a430a416a0b37098" dmcf-pid="7nT3CAWAHN" dmcf-ptype="general">2위는 162.9점을 받은 네이버였고, 3위는 155.9점을 받은 LG였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0c4f626819cbfb11304429292c3134f619056b4c38c4b463daffa0d4bd5ce7d" dmcf-pid="zLy0hcYcX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국내 업종별 AI 경쟁력 톱 3 기업 [CEO스코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0/yonhap/20250910060338607ohif.jpg" data-org-width="566" dmcf-mid="XkWplkGkt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0/yonhap/20250910060338607ohi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국내 업종별 AI 경쟁력 톱 3 기업 [CEO스코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15e762dff629639a7d179f6dbd2d2e3cdd11930a358e1d8025c59afeda93fd7" dmcf-pid="qoWplkGkXg" dmcf-ptype="general">네이버는 논문 등재(25건)와 인용(247회) 등 학술 부문에서 강점을 보이며 AI 연구 역량을 증명했고, LG는 특허(등록 400건, 피인용 529회)와 논문(19건) 모두에서 탄탄한 경쟁력을 입증했다. </p> <p contents-hash="4831c78a66b7fdf635d3f416806b298ce4bb812de74d2fec6a92dfe38c7889b6" dmcf-pid="BgYUSEHEYo" dmcf-ptype="general">LG는 그룹 내 AI 연구를 총괄하는 LG AI연구원과 사업을 담당하는 LG전자의 역량을 합산해 평가했다.</p> <p contents-hash="c1393bda78f00f84f30d62dc6115737cf129f0580440e7a1d118ffa5dad0168f" dmcf-pid="bzomdVaVYL" dmcf-ptype="general">다음으로는 크래프톤(42.5점), KT(42.2점), 쿠팡(38.8점), 현대차(30.1점), 삼성SDS(28.8점), SK텔레콤(19.7점), 스트라드비전(19.2점) 등이 10위권에 들었다.</p> <p contents-hash="0d6815698fa198a59d63cbe3039573a363f710bc47f4f7d8372344feb019a5b2" dmcf-pid="KqgsJfNfHn" dmcf-ptype="general">업종별로 따로 경쟁력을 조사한 결과 제조업은 삼성전자, LG, 현대차 순이었고, 인터넷·플랫폼 업종은 네이버, 쿠팡이 선두권을 형성했다.</p> <p contents-hash="4104e68976b8bf3f37603be381024ffdb215bb492c850cf618ecc27b9b90bc62" dmcf-pid="9BaOi4j4Hi" dmcf-ptype="general">통신 3사는 KT, SK텔레콤에 비해 LG유플러스의 경쟁력이 떨어졌고, 소프트웨어·IT 업종에선 삼성SDS, 딥오토, 스트라드비전이 앞서 있었다.</p> <p contents-hash="ae3f14b707e4b2a8c6dba4003333061344a2adef9f1b410e6f924bee9442cf79" dmcf-pid="2bNIn8A8tJ" dmcf-ptype="general">게임사 중에서는 크래프톤 다음으로 엔씨소프트의 역량이 뛰어났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22314f8f5c26e631f5a545080bec12ae80c318fa5a9b18e38c0b702588bafd0" dmcf-pid="VKjCL6c61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3대 AI학회 논문 등재 및 인용 기준 글로벌 톱 15 기업 [CEO스코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10/yonhap/20250910060338776zbac.jpg" data-org-width="636" dmcf-mid="Zr9ezZVZG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10/yonhap/20250910060338776zba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3대 AI학회 논문 등재 및 인용 기준 글로벌 톱 15 기업 [CEO스코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5d39a37774cc6f575333c0b641085bd8fb064ea6975f72be395d04aac119ba8" dmcf-pid="f9AhoPkPZe" dmcf-ptype="general">그러나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은 글로벌 시장에서 여전히 크게 떨어지는 수준이었다.</p> <p contents-hash="c2b2ab70a52a85c398ffe4216fc64d9694c17334314aee8b806610076d6b861e" dmcf-pid="42clgQEQHR" dmcf-ptype="general">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 수로 비교한 결과, 알파벳이 820건으로 1위였고 이어 마이크로소프트(414건). 메타(385건), 아마존(273건) 등 미국 빅테크가 상위권을 석권했다.</p> <p contents-hash="05ee0ebcfd1246bb0bf8a797f64e6ebd37e0fabf71c1ee82f03d03d208c821ce" dmcf-pid="8VkSaxDxtM" dmcf-ptype="general">이어 바이트댄스(249건), 알리바바그룹(235건), 텐센트(210건), 화웨이(198건) 등으로 중국 업체들이 포진했다.</p> <p contents-hash="e230122b8db864a00228f792ef9c12b890d3655b078bb7a520bc04e3e3e73743" dmcf-pid="6fEvNMwMYx" dmcf-ptype="general">국내 업체 중에는 삼성전자가 59건으로 12위를 기록하는 데 그쳤고, 네이버(25건)와 LG(19건)가 각각 30위와 40위로 50위 내에 포함됐다.</p> <p contents-hash="7124f160e9d9689fa842c918b749882f8ede084275e34fce72cc3772c5115e89" dmcf-pid="P8wyAemeZQ" dmcf-ptype="general">3대 AI 학회 논문 인용 수로는 삼성전자(39위), 네이버(47위) 등 2곳만 50위권에 들었다.</p> <p contents-hash="538e4eb6dff86c4be392e10573609274770d979aaa8a9367da8e242722bf01a4" dmcf-pid="Q6rWcdsdZP" dmcf-ptype="general">josh@yna.co.kr</p> <p contents-hash="b6fad5a4f4748f3e25aa64b8ddd84d3c450cae071d13b8a935d4dbbb547cb760" dmcf-pid="yvKR7X2XX8"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역대급 혜자.. 프로 살 필요 없네" 아이폰17 일반 모델 인기 [1일IT템] 09-10 다음 KT 소액결제 특정지역서만···가상 기지국 해킹 의심 09-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