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호 감독이 말하는 '3670'…숨겨진 비하인드 스토리는? 작성일 09-09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종로3가 6번 출구 7시, 0명”…’3670’ 제목에 숨은 의미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VuqvPWBWL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d49418d225e2fc7c8e7e35934187a0a59aaf15d691457a319431a4c6062fe0e" data-idxno="575324" data-type="photo" dmcf-pid="4zbyxGKGn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26411mznv.png" data-org-width="720" dmcf-mid="Us4fzr5rn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26411mznv.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50798ce1a4ddfd23e4fc8d6cf6da0856841777debbe151e9ed2eea844fba496e" dmcf-pid="6B9YRX2XiA" dmcf-ptype="general">(MHN 황태윤 인턴기자) 탈북 성소수자와 남한 청년의 만남을 그린 영화 '3670'의 박준호 감독이 작품에 담은 제작 비하인드를 공개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68a74d1b53ebf5bb71ca76e41f9e9bb819db2671d8520131bda87386b94df39" data-idxno="575294" data-type="photo" dmcf-pid="QKVHd5f5J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27716hiin.png" data-org-width="720" dmcf-mid="uY29UEHEi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27716hiin.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c125729852950868d4bba5d4af5e9f987302c2e0846915a29e8f6b7f3fb53c22" dmcf-pid="ygjVI8A8Jg" dmcf-ptype="general">9일 극장가에서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과 입소문을 이어가고 있는 영화 '3670'이 박 감독의 인터뷰 영상을 공개했다.</p> <p contents-hash="8cb15e3eeeb61cb624f62a37566643ccf73e2791540e06c669d77ea4085f409d" dmcf-pid="WaAfC6c6Lo" dmcf-ptype="general">자유를 찾아 북에서 온 성소수자 철준(조유현)이 동갑내기 남한 친구 영준(김현목)을 통해 관계와 감정의 엇갈림을 경험하며 자신만의 사랑과 행복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그린 '3670'. 이번 인터뷰에서는 작품의 출발점부터 제작 과정의 고민, 배우들과 삽입곡에 대한 다채로운 이야기를 담고 있어 이목을 집중시킨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b4d861e6f8d8d6657303b76fd5c55873103f3749ba6e763d5dd20be689d7adc" data-idxno="575295" data-type="photo" dmcf-pid="Gjk8lQEQe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28971lwnn.png" data-org-width="720" dmcf-mid="7F8hDKLKM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28971lwnn.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f9f6ecbd4c751d671f9177556705a195de622d39193f4a46fa6701132068ce40" dmcf-pid="XcDPvMwMRJ" dmcf-ptype="general">공개된 인터뷰 영상에서 박 감독은 작품의 시작점을 설명했다. "영화를 만들기 전 자유터 학교라는 곳에서 탈북 청년들을 가르치는 자원봉사를 했다. 이때 들은 경험이 자양분이 되었고, 탈북자를 현실적으로 다루는 콘텐츠가 거의 없다는 생각이 들어 전작인 단편 은서에 이어 3670에서 시도하게 됐다"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9859f2e9733ee2dddde866d2059270f127c709d3d5514e580fc690822b1b57d" data-idxno="575296" data-type="photo" dmcf-pid="5ErxyemeL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30315oyrd.png" data-org-width="720" dmcf-mid="zs8hDKLKR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30315oyrd.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9aa85a2961ace27edeaec29a8150b2a0dfa80e214e9026f990fe3d5a115226d4" dmcf-pid="twsRYJOJeM" dmcf-ptype="general">박 감독은 작품의 독창적인 기획 의도도 전했다. "탈북 커뮤니티와 게이 커뮤니티, 두 소수자 커뮤니티는 주류 사회에서 차별받지 않기 위해 자신을 숨길 수 있다는 유사점을 갖고 있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 이런 일이 많이 일어나는데, 그래서인지 커뮤니티 내부에서의 갈등 요소, 인간 관계, 다이내믹이 비슷하다고 느꼈다. 이를 영화 안에서 나란히 바라보면 흥미로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연결해봤다"고 덧붙였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0489fdc93edf8e1d3b076101743e2fb843a1817861d78ff5ab0ffbccb7000ae" data-idxno="575304" data-type="photo" dmcf-pid="3mIdHnCnL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31769wjcb.png" data-org-width="720" dmcf-mid="q5fIkBiBL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31769wjcb.png" width="658"></p>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11347a7b5ecfd8395da94800ef1cab70e98d0323f89b04f921b98119adaf8d3" data-idxno="575306" data-type="photo" dmcf-pid="U13s9C0Cn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33096yxfr.png" data-org-width="720" dmcf-mid="ByRqFjyjR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33096yxfr.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048339b8fadb878d1cd927a5e6d3c26570727e4d71a7c60a23ba43a50ed27693" dmcf-pid="7FpIVlUlnf" dmcf-ptype="general">관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던 제목의 의미도 직접 공개했다. "종로3가 6번 출구 저녁 7시, 그리고 마지막 숫자 0은 모이는 사람의 수를 뜻한다"며 "결국 아무도 모이지 않는 쓸쓸한 상황을 연상시켜 서글픈 제목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0이라는 숫자가 어느 숫자나 넣을 수 있는 가능성이 담긴 기호인 만큼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희망적인 제목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에 3670이란 제목을 짓게 됐다"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f6271941e507cdd505a45e9ebba42bb509fa796392e8b12907e27ce357f03c9" data-idxno="575307" data-type="photo" dmcf-pid="q0uh4v7vd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34356lzzk.png" data-org-width="720" dmcf-mid="bWrJ6yqyM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34356lzzk.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0677402e60406d98fa3c2d16774d401a53faa55c939cf41e300b696214a860cd" dmcf-pid="bUzS6yqyMK" dmcf-ptype="general">박 감독은 실제 게이 커뮤니티의 공간을 영화 속에 그대로 옮겨온 배경도 설명했다. "처음 3670을 구상할 때부터 극중 공간은 실제 공간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 영화의 존재 의의가 있다면 지금 현시대에 존재하고 있는 게이 커뮤니티의 풍경을 영화 안에 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잊혀져 가는 것이 아쉽기도 하고, 10년, 20년 후 3670을 보는 사람들이 아, 그때는 저랬지라고 되새길 수 있는 기록의 가치를 남기고 싶었다"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e90ad73c81585709f6c8d41c8c368c500d684c0e421c43af02baaf79dbb5f29" data-idxno="575313" data-type="photo" dmcf-pid="97BTQYbYn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35667zqfl.png" data-org-width="720" dmcf-mid="KKLV7wZwn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35667zqfl.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1ac31b94cce82efb3ba8b90fd6ba5a6b5d4c6335a2c342ce101d3d5c3cc93b91" dmcf-pid="VqKWMH9HRz" dmcf-ptype="general">철준 역의 조유현과 영준 역의 김현목의 케미스트리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배우님들 케미가 걱정과 달리 너무 좋아서 많이 의지하고 찍었다. 실제로 동갑이기도 하고 만나자마자 서로 말 놓고 바로 친해져서 환상의 케미를 보여줬다"며 "촬영 전 다 같이 종로 술집에 견학도 가고, 노래 부르는 신이 많아서 코인 노래방에서 함께 노래하며 빨리 가까워질 수 있었다"고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f9b531ef981f371af3b1af2124396355ce9ff90147f6df076661e1f845edaa6" data-idxno="575314" data-type="photo" dmcf-pid="4b2GeZVZJ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36914dhxf.png" data-org-width="720" dmcf-mid="9fln5gSge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36914dhxf.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437aaf39f2998d6a5cf344f0625386575f9f1327a5454a21beb3ab3fa478d041" dmcf-pid="6GZEzr5rMp" dmcf-ptype="general">영화의 엔딩 곡인 '회전목마'에 대한 선정 배경도 공개했다. "처음 시나리오를 썼을 때는 지드래곤의 삐딱하게로 설정했었는데 다른 영화에서 그 노래를 쓰는 바람에 새롭게 고민해야 했다. 우연히 탑백의 회전목마를 듣고 너무 분위기와 잘 어울리는 것 같아서 선곡했고, 절묘하게 가사가 철준의 회전목마 인생, 뭔가 빙빙 돌고 도는 그런 모습과 닮아 있는 것 같아서 선곡하게 됐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48d45a91e7310007fc802653b30dd3e7876cbc0cbb45220a66424b4bf9f24c6a" dmcf-pid="PH5Dqm1mL0" dmcf-ptype="general">영준이 부르는 아이유의 '에잇'에 대해서도 "노래는 많은데 부를 노래는 없다는 영준의 대사가 있는데, 뭔가 좋아하는 노래 하나만 계속 부를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특히 So are you happy now로 시작하는 가사가 둘이 사이가 안 좋을 때 마치 철준에게 노래로 대신 물어보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며 선곡 이유를 전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717a163c69b39f2dff783aba0061800df2731a6c1976e26d58423487cd53062" data-idxno="575315" data-type="photo" dmcf-pid="xZtrbOFOR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38182plms.png" data-org-width="720" dmcf-mid="2ARpj7e7e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HockeyNewsKorea/20250909160638182plms.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a468ccfc2cde15d3dfb9f817910f977963c7a4d5944c2ca13fdfc461afd112ae" dmcf-pid="WngKmVaVJ1" dmcf-ptype="general">개봉 첫 주말 한국 독립예술영화 박스오피스 1위, 전체 한국영화 주말 박스오피스 4위로 흥행을 이어가고 있는 영화 '3670'은 전국 극장에서 지난 3일 개봉해 상영 중이다.</p> <p contents-hash="df408dfd56c7e9ab5a9dcd4b72d241518df2fcc71ad9d57f0df634256386daa1" dmcf-pid="YLa9sfNfd5" dmcf-ptype="general"> </p> <p contents-hash="82a26dd022ca7c0135a0b6e6d762da3443b06ed40acded26132b2b65ae7331ac" dmcf-pid="GoN2O4j4eZ" dmcf-ptype="general">사진=엣나인필름</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MH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귀시’ 문채원 “첫 공포 새로운 경험...외모 집착 공감돼” 09-09 다음 ‘귀시’ 문채원 “더 예뻐지고 싶은 역할, 여자니까 공감” 09-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