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몸으로 말해요’를 요즘식으로 즐기면?” 익숙하면서 새로운 보드게임 ‘왓더벅’ 작성일 09-09 1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yx6FjyjTh"> <p contents-hash="5f1aa23924e135f839ffa570b6e1f50c435aabbcf88c0d0cce49c252b779d954" dmcf-pid="KWMP3AWAhC" dmcf-ptype="general">예능이나 레크리에이션에서 빠지지 않는 대표 게임으로 ‘몸으로 말해요’가 있다. 말 대신 몸짓만으로 제시어를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이 이를 맞히는 단순한 규칙 덕분에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놀이로, 언제부터 널리 퍼졌는지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수십 년간 이어져 온 국민 게임이라 할 만하다.</p> <p contents-hash="5e9acb903c76d69d9f41f685e18e6189db1ddf726d271df45460ba14b22cc28a" dmcf-pid="9YRQ0cYchI" dmcf-ptype="general">그런 익숙한 게임을 조금 더 세련된 방식으로 즐길 수 있도록 보드게임으로 재탄생한 것이 하나 있다. 바로 코리아보드게임즈의 ‘왓더벅’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de76b8f7eeb4b62d9637aa41897cd7e3822aadb3789e793678861595db5159a" dmcf-pid="2GexpkGkS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왓더벅"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gamedonga/20250909160007001hnab.jpg" data-org-width="1000" dmcf-mid="33SSgpxph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gamedonga/20250909160007001hna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왓더벅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648533710835794d73244d4affcc7377bbf80f34497162280b6fa23122b08d1" dmcf-pid="Vyx6Fjyjh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gamedonga/20250909160008392atry.jpg" data-org-width="1000" dmcf-mid="0hjIit8tT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gamedonga/20250909160008392atry.jpg" width="658"></p>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f412288e07dd3462b8df3610e856cd27a0f7f1291db577e756adac3c3f11cb4" dmcf-pid="fWMP3AWAl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실물은 이런 느낌. 성인 손바닥 만하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gamedonga/20250909160009617bsny.jpg" data-org-width="1000" dmcf-mid="ptorRX2XT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gamedonga/20250909160009617bsn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실물은 이런 느낌. 성인 손바닥 만하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7a2351d9a54cbccd2a8f1784f46369b70606a00cbb88f89e8900cbce54e9d07" dmcf-pid="4YRQ0cYcTr" dmcf-ptype="general">‘왓더벅’은 우리에게 친숙한 ‘몸으로 말해요’의 시스템을 기반으로 주사위와 카드를 활용해 새로운 변주를 만들어내는 게임이다. 게임판은 6칸으로 이뤄져 있고 각 칸에는 주사위 눈금이 표시돼 있다. 게임 시작 시 카드 6장을 뽑아 각 칸에 배치하는데, 카드마다 빨간색 단어와 파란색 단어가 한 쌍으로 적혀 있다. 출제자는 빨간색과 파란색 주사위를 굴리고, 나온 눈금에 해당하는 카드의 단어를 조합한 제시어를 몸으로 연기해야 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30db695d81ae86c051e353ca7f8debb1845cc49c92d3f3cb3792d8f66809569" dmcf-pid="8GexpkGky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런 식으로 연기를 펼치게 된다 사진은 코리아보드게임즈 공식 유튜브"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gamedonga/20250909160010852doca.jpg" data-org-width="1000" dmcf-mid="UBy3I8A8v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gamedonga/20250909160010852doc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런 식으로 연기를 펼치게 된다 사진은 코리아보드게임즈 공식 유튜브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19b0c3d2c8ac9f3342cf59a160b9472fbb1ce3d255c14933e4aa58f2bac3e8d" dmcf-pid="6HdMUEHEWD" dmcf-ptype="general">구체적으로 빨간색 단어는 ‘깜찍한’, ‘잔망스러운’, ‘애교 부리는’처럼 성격이나 상태를 나타내고, 파란색 단어는 ‘굼벵이’, ‘거미’, ‘매미’처럼 구체적인 동물이 등장한다. 이 둘이 합쳐지면 ‘애교 부리는 거미’, ‘잔망스러운 매미’ 같은 제시어가 만들어지는 셈이다. 주사위 결과는 출제자만 볼 수 있으므로 다른 이용자들은 오직 연기만 보고 제시어를 추리해야 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d61d5750b7a25aa7d07302bb9935b053e696f49ecbaa68b71282bf93e4c10df" dmcf-pid="PXJRuDXDC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gamedonga/20250909160012211dzyj.jpg" data-org-width="1000" dmcf-mid="uZQmeZVZW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gamedonga/20250909160012211dzyj.jpg" width="658"></p>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ebf473d47f7ba497f708ebf57ac49551a4cb6f1e7063c55f6e7fb6761001894" dmcf-pid="QZie7wZwC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 경우에는 '서러운 개미'가 제시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gamedonga/20250909160013459cknu.jpg" data-org-width="1000" dmcf-mid="7fzLKI3IS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gamedonga/20250909160013459ckn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 경우에는 '서러운 개미'가 제시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53ebccd26856525b28d1ff1c5ae59349566f167997a9a28b44f40643c54301c" dmcf-pid="x5ndzr5ryc" dmcf-ptype="general">정답을 맞히면 출제자와 맞힌 이용자 모두 점수 토큰을 얻는다. 점수 토큰에는 1~3개까지의 무작위의 별이 그려져 있는데, 최종적으로 가장 많은 ‘별’을 가지고 있는 이용자가 이기게 된다. 적은 수의 토큰이라도 별이 많은 경우 마지막에 역전승을 거둘 수 있어 매 라운드가 긴장감 있게 진행된다. 실제로 플레이했을 때 토큰 3개 모은 친구가 총 9개의 별을 얻는 반전을 일으켜 토큰 5개를 모은 친구를 제치는 상황도 있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d289b4cc7007020b277e6ec07c589c532bfb94a15da397a3b2555c1f09cf537" dmcf-pid="yn5HEbnbS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토큰. 뽕망치 모양이 뒷면이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gamedonga/20250909160014696hsgt.jpg" data-org-width="1000" dmcf-mid="za2A8TzTW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gamedonga/20250909160014696hsg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토큰. 뽕망치 모양이 뒷면이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b92218a40c2059a1e96644c04b7ea6bb4f982a29c1b079d8185d07d2ec35ccb" dmcf-pid="WL1XDKLKWj" dmcf-ptype="general">플레이에 익숙해졌거나 서로 친한 사이라면 난도를 더 올려도 된다. 왓더벅에는 제시어의 난도에 따라 크게 ‘순한맛 카드’와 ‘매운맛 카드’가 구분돼 있다. ‘순한맛 카드’는 비교적 쉬운 상황과 흔한 동물이 들어 있어 아이들과 함께하거나 서로 서먹한 자리에서 쓰기 좋고, 반대로 ‘매운맛 카드’에는 ‘도플갱어를 마주친’, ‘번지 점프를 하는’ 같은 독특한 상황이나 ‘누에고치’, ‘집게벌레’ 같은 비교적 생소한 동물이 포함돼 있다. 친한 친구들끼리라면 몸개그가 난무하게 되는 매운맛 카드를 적극 추천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b5ffade8860260e894fa5fee3f30c8c67d472b69bd7bea3b81b424ff65aecc5" dmcf-pid="YotZw9o9C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붉은색이 매운맛 카드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gamedonga/20250909160015924dsya.jpg" data-org-width="1000" dmcf-mid="qmGyj7e7C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gamedonga/20250909160015924dsy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붉은색이 매운맛 카드다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2dfaac4aa13bfb09d5eb197b1ffce86573f6836508ba2f75b3acca2722a21a4" dmcf-pid="GgF5r2g2l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확실히 제시어가 조금 더 어렵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9/gamedonga/20250909160017208bsry.jpg" data-org-width="1000" dmcf-mid="BrRQ0cYcl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9/gamedonga/20250909160017208bsr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확실히 제시어가 조금 더 어렵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e2f2b9b2d8a1e77035e7f35ab782a6963b92acd3ad841f9246984c3e10c7c22" dmcf-pid="Ha31mVaVTg" dmcf-ptype="general">기본 규칙으로는 최대 6명까지 즐길 수 있지만, 많은 인원을 모으기 어려울 때는 2명이서 즐길 수 있는 특별 규칙을 활용하면 된다. 필자 역시 일정을 맞추기 번거로워 주로 2인 규칙으로 플레이를 진행했다. 이 경우 경쟁이 아닌 협력 구조로 바뀌어, 번갈아 문제를 출제하고 상대가 정답을 맞히면 함께 성공하는 방식이다.</p> <p contents-hash="58464df99ccaa1afd062038682c65dbdb4fac5b93baa4b0c86e8f4d390de80ef" dmcf-pid="Xl8VZoloho" dmcf-ptype="general">플레이 결과는 단순한 승패가 아니라 호흡을 평가하는 ‘칭호’로 정리된다. 두 사람이 각각 5번씩, 총 10번의 문제를 내고 맞힌 개수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데, 10개를 모두 맞히면 ‘환상의 바퀴벌레 커플’, 8~9개면 ‘찰떡궁합 공벌레 듀오’, 0~3개면 ‘덤 앤 더머 쇠똥구리 2인조’ 같은 칭호가 주어진다. </p> <p contents-hash="560e9256335b9cb565545659afa9ca6befe665f1f7e8aff7f167d2ef3e4d33f5" dmcf-pid="ZS6f5gSghL" dmcf-ptype="general">게임의 플레이 시간은 15분 남짓으로 짧고, 길어도 30분이면 충분하다. 카드와 주사위만 있으면 어디서든 진행할 수 있고, 패키지 크기가 성인 손바닥 정도라 휴대성도 뛰어나다. 다만 연기를 하며 웃고 떠드는 게임 특성상 너무 조용해야 하는 장소보다는 어느 정도 떠들 수 있는 공간에서 하는 것이 좋았다.</p> <p contents-hash="6e03ddda54fae9c56368aea971415b4d56f54402fa296b9e967944d8e6701791" dmcf-pid="5vP41avavn" dmcf-ptype="general">결론적으로 ‘왓더벅’은 누구나 알 법한 ‘몸으로 말해요’를 보드게임이라는 틀로 재해석해 색다른 재미를 제공한다. 제시어 조합의 예측 불가성과 상황극 같은 웃음 포인트가 매번 새로운 즐거움을 만들어주고, 규칙이 간단해 바로바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점도 큰 장점이다. </p> <p contents-hash="b0dbddcfcc98086c6457ff49752c47b8251b9b140cff8a3b76d5e3d6f0bdd539" dmcf-pid="1TQ8tNTNhi" dmcf-ptype="general">가격 부담도 크지 않은 1만 원 이하의 게임인 만큼, 파티 분위기를 가볍게 끌어올리고 싶을 때나 다양한 표현을 접해야 할 시기인 어린 자녀와 놀거리를 찾는 부모에게도 잘 어울리는 게임이 되리라 본다.</p> <p contents-hash="923a5f52a825a7073a0e029332b2724f5529257b8468def8eb04007105365713" dmcf-pid="tyx6FjyjyJ" dmcf-ptype="general">사용자 중심의 게임 저널 - 게임동아 (<span>game.donga.com</span>)</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게임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부키, 루머 사실이었다…'스우파3' 이면 계약 요구→오조갱 불화설 [엑's 이슈] 09-09 다음 [AI와 디지털전환]피지컬 AI, The next big thing 09-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