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플 갑질에 시름하는 韓 게임사…"법 보완해야" 작성일 09-05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인앱결제 강제 금지법 '유명무실'…영업보복 막아야"</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4gy1plVZl9">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206393b9821adb1daf8cf0a1ee4d214f5cd8c5054696944738c06787142d753" dmcf-pid="8aWtUSf5y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은 한국게임이용자협회,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등과 함께 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구글·애플 인앱결제 피해기업 사례발표 및 대안마련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사진=비즈워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5/BUSINESSWATCH/20250905183315578plku.jpg" data-org-width="645" dmcf-mid="flu263LKS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5/BUSINESSWATCH/20250905183315578plk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은 한국게임이용자협회,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등과 함께 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구글·애플 인앱결제 피해기업 사례발표 및 대안마련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사진=비즈워치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83dcae2dd00c5f3997a8f36e75f2c1e053bb20b1ffa05bda40fa31f6f7fad5b" dmcf-pid="6NYFuv41vb" dmcf-ptype="general">국내 게임 개발사들이 구글과 애플에 내는 막대한 수준의 앱마켓 수수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들은 '인앱결제 강제 금지법'이 시행된 후에도 여전히 30% 수준의 수수료를 부담하고 있으며, 구글·애플의 보복이 두려워 실제로 문제제기를 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p> <p contents-hash="80854fb7e38c419acf19d703d566c148c21697f2d4f9b29c54026648baebafe7" dmcf-pid="PjG37T8tTB" dmcf-ptype="general">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을 맡고 있는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국게임이용자협회,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등과 함께 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구글·애플 인앱결제 피해기업 사례발표 및 대안마련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p> <p contents-hash="4208377ff8aa406cffabfb22110ba5c51e22bdbd7e922fc1fa967be12813b2e1" dmcf-pid="QAH0zy6Fyq" dmcf-ptype="general">이날 토론회에는 피해기업과 한국모바일게임협회, 게임이용자협회 등이 참석했다. 주최 측은 구글코리아와 애플코리아에 참석을 요청했으나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p> <p contents-hash="ec04c7b31f59637b759d818f7f4f401085c306c59815df1a13b11d21bda8d10b" dmcf-pid="xcXpqWP3Cz" dmcf-ptype="general">인앱결제는 앱에서 유료 콘텐츠를 결제할 때 각 앱스토어의 내부 결제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글과 애플은 각각 플레이스토어, 앱스토어를 운영하면서 이를 통해 입점된 앱 결제액의 30%를 수수료로 수취했다. 구글과 애플이 앱 마켓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사실상 강제로 수수료를 낼 수밖에 없다.</p> <p contents-hash="a56d95864d2250a2a3f24bd37b7eece147c360c51134ec69fed128f4c540b0f2" dmcf-pid="yuJjDMvaW7" dmcf-ptype="general">국내에서는 세계 최초로 앱스토어가 특정 결제방식을 강제하지 못하게 하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 이른바 '인앱결제 강젝 금지법'이 시행됐다. 그러나 구글과 애플은 외부결제를 허용하면서도 개인정보 보호 등의 명목으로 26%의 수수료를 별도 부과하면서 법망을 빠져나갔다. </p> <p contents-hash="8dea8bcbdcf91f35ad80ca9c520f2fb9dd2d11461dae08065107e54479775e7c" dmcf-pid="W7iAwRTNCu" dmcf-ptype="general">외부 지급결제(PG)사에 내야하는 수수료율이 5~10%라는 점을 고려하면, 앱 개발사들은 인앱결제와 다름없는 수준으로 금액을 부담해야만 한다. 구글과 애플에 이의를 제기하면 앱 심사가 지연되거나 부당하게 앱이 삭제되는 경우도 있어, 쉽사리 문제를 제기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p> <p contents-hash="4e0f1598d567e3aa53a7d6b14419d25972a8622b9cc895426a5644971673872c" dmcf-pid="Y6DhyA3ITU" dmcf-ptype="general">피해기업 P사의 대표는 인앱결제 수수료와 광고·마케팅 비용으로 총 매출에서 50% 가량을 지출한다면서 어려움을 호소했다. 또한 앱 마켓 사업자들이 보복을 위해 앱 심사를 지연하더라도, 개발자의 경우 과정이 불투명하고 이의를 제기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p> <p contents-hash="7bdde732ec52878e99dc5c6f966d4dbef43831b86da59cfe8951a1b186da85c0" dmcf-pid="GPwlWc0CSp" dmcf-ptype="general">크리스토퍼 랩소크 변호사는 구글과 애플이 독점구조를 활용해 비싼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구글과 애플의 내부 분석에 따르면 더 낮은 인앱결제 수수료 책정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경쟁이라는 압박이 없으면 낮출 요인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5666fd85ea775c1a42ab822e8d53439076b0466aa1c3c83677a306eae77a00e0" dmcf-pid="HQrSYkphW0" dmcf-ptype="general">지난 4월 방통위의 보고서에 따르면 아직도 76%에 달하는 개발자들이 과도한 수수료 부담을 지적하고 있으며, 30.8%에 달하는 개발자들은 앱 심사 지연이나 등록 거절 행위를 겪고 있다. </p> <p contents-hash="ccea0e9adb9520cde53e22d4387cc636de5a1c4823c1f2364c10843899194eb9" dmcf-pid="XxmvGEUll3" dmcf-ptype="general">이날 토론회에 발제자로 나선 이영기 위더피플 법률사무소 미국 변호사는 "인앱결제 금지 방지법이 있지만, 누구도 손해배상을 청구하고 신고한 사례가 없다는 건 절차적으로 하자가 있다는 걸 보여준다"면서 영업보복 금지 조항을 담은 법안이 빠르게 통과돼야 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a323aac039b7489d81cefcbc3b08ca2d3e1414c1eed2b0bbd692470ae003782a" dmcf-pid="ZMsTHDuSSF" dmcf-ptype="general">앞서 최 의원은 지난 5월 앱 마켓 사업자의 영업보복 금지 조항을 담은 전기통신사업법을 발의했다. 최 의원은 "관련 법안은 현재 과방위 상임위원회 전체회의에 상정된 상태"라면서 "개혁 입법들이 처리된 후 바로 통과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2ad8df22258821b5f31699a2eca749e2ec1c60abb6f77ea1c4abe52b54ce7145" dmcf-pid="5ROyXw7vvt" dmcf-ptype="general">방송통신위원회 역시 조속히 구글·애플이 거래상 지위를 남용해 특정 결제방식을 강제한 데 따른 과징금을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방통위는 2023년 10월 구글에 475억원, 애플에 205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는 내용의 시정조치안을 발표했으나, 2인 체제의 한계로 의결하지 못하고 있다.</p> <p contents-hash="e025710b879efbb2f727e5cb7fc13177b0801f7f3820768d707f3ec97001ed9e" dmcf-pid="1eIWZrzTT1" dmcf-ptype="general">성재식 방통위 부가통신조사팀장은 "방통위가 정상화되는대로 빠르게 의결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b419dcb0591df308b76c5f87fc44ad5b364fc37f0d9b0b13fef361cfeff75a94" dmcf-pid="tdCY5mqyC5" dmcf-ptype="general">편지수 (pjs@bizwatch.co.kr)</p> <p contents-hash="ffc6921eb2aa289d8477e451893aaab5a2ad2c47219e65a8edc369ab01d033a1" dmcf-pid="FJhG1sBWTZ" dmcf-ptype="general">ⓒ비즈니스워치의 소중한 저작물입니다.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합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비즈워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빅뱅 대성, 트레저와 YG 신사옥 투어…"내 전 직장" 09-05 다음 쇼트트랙 김선태 임시 총감독 퇴촌…상위기관 유권해석 필요 09-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