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韓서 앱 사용자 1200만명 돌파… 전 세대서 쓰는 국민앱 됐다 작성일 09-05 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국내 MAU 2년 만에 233배 폭발적 성장<br>40·50·60대만 400만명 돌파, 전체의 3분의 1<br>글로벌 하루 사용 8600만시간… 검색 엔진 위협</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Hn6GEUlA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ee39585d6cdebfb4ef6d15b4ed0a491706cca6acb1d1e9fe25bf4bda78122fe" dmcf-pid="1XLPHDuSc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그래픽=정서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5/chosunbiz/20250905155540894zfuz.jpg" data-org-width="640" dmcf-mid="Zkq1A6CnA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5/chosunbiz/20250905155540894zfu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그래픽=정서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41c21f3e63a59da343b96244efe5abba096f12091f2e15edca8ad515b6d61de" dmcf-pid="tZoQXw7vNM" dmcf-ptype="general">챗GPT 앱 이용자가 국내에서 1200만명을 넘어섰다. 2년 전 5만명 수준에서 출발해 200배 넘게 증가했고, 20·30대 중심이던 사용자층은 40·50·60대까지 확대되며 전 세대를 아우르는 국민앱으로 자리 잡았다.</p> <p contents-hash="0cbf040f3831e0db6d5e281b620b91e4d97142b74b9e44956d866549e78a201a" dmcf-pid="F5gxZrzTcx" dmcf-ptype="general">5일 앱 통계 분석 플랫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챗GPT 앱의 월간활성이용자(MAU)는 1203만942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7월 5만1552명에서 불과 24개월 만에 233배 성장한 수치다. 지난해까지는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지만, 올해 들어 상승 곡선이 가팔라지며 폭발적인 확산세로 돌아섰다.</p> <p contents-hash="0de64bdfcf332d59757ed763e605ff59511d5be9929d8539e86f2a6c755f710d" dmcf-pid="31aM5mqyoQ" dmcf-ptype="general">특히 올해 4월부터 성장세가 본격화됐다. 3월 509만명에 머물렀던 이용자는 단 한 달 만에 1072만 명으로 두 배 이상 급증했다. 국내에서 챗GPT 앱 사용자가 1000만명을 돌파한 첫 순간으로, 대중 확산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 받는다. 이후 5월 1017만명, 6월 1038만명으로 잠시 주춤했지만, 7월 1129만명, 8월 1203만명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p> <p contents-hash="0b17d7aada7d409fb775708ec2b199ecea0a71f320b13db839429d5a54740674" dmcf-pid="0tNR1sBWkP" dmcf-ptype="general">세대별 확산세도 뚜렷하다. 지난달 기준으로 40대 이용자는 259만명, 50대는 129만명, 60대 이상은 23만명으로 집계됐다. 중장년층만 합쳐도 400만명이 넘으며 전체 사용자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2년 전 이들 세대의 이용자가 1만7000명 수준에 불과했던 점을 고려하면, 수백만명대로 급격히 불어난 셈이다.</p> <p contents-hash="8a6335d0bfccbb2ac62f5551d494c023854503ccdbe06049c4ee342d6a222aee" dmcf-pid="pFjetObYN6" dmcf-ptype="general">젊은 층은 여전히 핵심 사용자층을 형성하고 있다. 20대는 323만명, 30대는 263만명으로 전체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고, 10대도 200만명을 넘어섰다. 초기에 20·30대가 확산을 주도하고, 이후 학령층과 중장년층이 뒤따르는 구조다. 이는 대학생과 사회 초년생을 중심으로 퍼졌던 AI 서비스가 이제 직장인과 가정 단위까지 동시다발적으로 확산하고 있다는 것으로 분석된다.</p> <p contents-hash="bfd21e330569c5b75185bc65d6ed89cf953fc3c2c9ec324f801f66309f7f03b9" dmcf-pid="U3AdFIKGa8" dmcf-ptype="general">이러한 확산은 글로벌 흐름과도 맥을 같이한다. 시장조사업체 센서타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 세계 생성형 AI 앱 사용 시간은 156억시간으로 하루 평균 8600만시간에 달했다. 총 세션 수(4260억회)는 이미 검색 엔진과 맞먹는 수준이다. 특히 챗GPT는 글로벌 세션 수에서 주요 검색 엔진 앱을 뛰어넘으며 ‘검색 대체 플랫폼’으로 급부상했다. 영국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전 국민에게 챗GPT 유료 버전을 제공하는 방안까지 논의되는 등 AI 확산이 국가적인 의제로 확대되고 있다.</p> <p contents-hash="c4d39a648a26c5d0cb487d4208ac090472bc28708e68c49a92e827bbb52c743e" dmcf-pid="u0cJ3C9Hk4" dmcf-ptype="general">업계에서는 이러한 확산세를 두고 AI 앱이 본격적인 대중화 단계에 들어섰다고 분석한다. 기능적 완성도와 함께 대중의 흥미를 유발하는 전략이 결합된 결과라는 것이다. 특히 GPT-4o 기반의 이미지 생성 기능이 SNS에서 ‘밈’으로 퍼지며 이용자 유입을 이끌었고, 직관적인 대화 경험이 더해져 전 세대를 아우르게 됐다.</p> <p contents-hash="086f491b6943bc84903390c87f7de0d2ecb3ef6461f40fda3e37bd06c02b862c" dmcf-pid="7UEnplVZgf" dmcf-ptype="general">AI 업계 관계자는 “처음엔 젊은 층이 호기심에 깔아보는 경우가 많았지만 지금은 보고서 작성이나 생활 전반으로 활용이 넓어졌다”며 “제미나이 등 다른 생성형 AI와 함께 쓰이며 사실상 필수 도구가 되고 있다”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96c8dcbc61429304d49ea86fa92ba9523847ccc6e026b71bdd8744ced23072c2" dmcf-pid="zuDLUSf5NV" dmcf-ptype="general">-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드디어 장가갑니다" 김종국, 오늘 비연예인과 백년가약···사회는 유재석 09-05 다음 "모바일 피싱, PC보다 6배 위험…생태계 차원 대응 시급" 09-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