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내년 예산안 2373억 편성…재난방송·이용자보호 강화 작성일 09-05 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KvoeaBkPw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5e0c6a41cb0f113c1d27c3f7b9aa9386bf5fc2908dce45dbd2f4763bf7bef76" dmcf-pid="9TgdNbEQE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방통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5/etimesi/20250905144749063izxd.png" data-org-width="700" dmcf-mid="blN9Q5dzD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5/etimesi/20250905144749063izxd.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방통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d2dc38b345021624ddebf65aab6aa46c46667d517df60bd608035fecbfe29ab" dmcf-pid="2yaJjKDxIM" dmcf-ptype="general">방송통신위원회가 내년도 예산안으로 2373억원을 편성했다. 올해보다 50억원 감소한 규모다. 방통위는 재난방송 수신환경 개선과 불법 콘텐츠 모니터링 지원 등 이용자 중심의 안전하고 활력있는 방송미디어통신 환경 조성에 예산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p> <p contents-hash="c8f5a79e9506ef16aa417c689ddd26f69df95debff97cf88efb69a9190492fb4" dmcf-pid="VWNiA9wMEx" dmcf-ptype="general">5일 방통위는 2026년도 예산안(정부안)으로 총 2373억원을 편성해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edc47d30c0d3e0dcc1d45eb03f4862e9707b5d5703c3e43d86ec5eb9170332cb" dmcf-pid="f1wjmPhLDQ" dmcf-ptype="general">세부적으로 안전한 방송미디어통신 환경 조성에 178억원, 활력 있는 방송미디어통신 생태계 구축에 398억원, 방송미디어통신 이용자 보호 강화에 45억원 등을 편성했다.</p> <p contents-hash="d84a248313fa4e5409a0f2ef1d948f4b89d6a8aeb18b2795ae4578bb2c46b04c" dmcf-pid="4trAsQlomP" dmcf-ptype="general">우선 터널 등 재난방송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재난방송 수신환경 개선 사업에 33억원을 편성하기로 했다. 신속한 재난방송 송출과 운영을 위해 재난방송 주관방송사인 한국방송공사(KBS) 지원 및 재난상황실 운영 등에도 33억원을 편성해 국민 안전 사업에 대한 예산 지원을 강화했다.</p> <p contents-hash="f5ae44a0a183c25eff7df37337800d22ebc8f517962bfcf8f1e3d2a060a11a71" dmcf-pid="8FmcOxSgI6" dmcf-ptype="general">불법스팸 대응 예산도 1억원 증액하고, 주요 온라인 관계망 모니터링 예산 10억원과 디지털 구독형서비스 불법음란정보 모니터링 예산 6억원을 신설해 각종 불법·유해 보로부터 안전한 디지털 세상 만들기에 나선다.</p> <p contents-hash="2850318b1e3536a49146bc80fc1d01244dffe3d3a9bda2491fd438116b332b78" dmcf-pid="63skIMvaI8" dmcf-ptype="general">급속한 인공지능(AI) 서비스 확산에 따라 역기능 대응을 위한 이용자 참여 및 정보제공 사업을 통해 AI 서비스 이용자 피해 예방에도 힘쓸 예정이다.</p> <p contents-hash="69922bbaa8f7d3f15496651580a6571b8cfe251ac2162c6950887bd3dc80b16e" dmcf-pid="P0OECRTNO4" dmcf-ptype="general">활력 있는 방송미디어통신 생태계 구축의 경우 급속한 미디어 환경 변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방송의 성장과 콘텐츠 제작 역량 강화를 위해 50억원을 지원한다. 시민 참여형 미디어 문화 확산 및 우수 지역밀착 방송 프로그램 제작 지원을 위해 공동체라디오 관련 예산도 2억원 편성했다.</p> <p contents-hash="6aa8b022f3ae8a9ce26eae8b22323174586aa1390d618a76736ab2e3002fb8cd" dmcf-pid="QpIDheyjOf" dmcf-ptype="general">평생교육 프로그램, 유아·어린이 프로그램 등 고품질의 교육방송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예산을 올해 대비 10억원 증액하고,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산업 활성화와 해외 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예산도 6억원을 편성·지원한다.</p> <p contents-hash="925bf4ee5bf112f13122b668776deae7818047c1b7ef83e93bd28e997b87af05" dmcf-pid="xUCwldWADV" dmcf-ptype="general">국내 위치정보 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고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위치정보 관련 사업 예산에는 30억원을 편성했다.</p> <p contents-hash="f499d50cbe2fab0b8ee6501df6e4ddaca11623d7141d3df4ea451ea2e13411c0" dmcf-pid="yAfB8HMUs2" dmcf-ptype="general">방송미디어통신 이용자 보호 강화의 경우 방통위는 최근 SK텔레콤 해킹 사태 등으로 분쟁조정 신청이 급증함에 따라 통신분쟁조정위원회 예산을 증액해 신속하고 적극적인 분쟁조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p> <p contents-hash="c88a675b9ab3d158edc76ebd64b6495d55dde1f6d90fe809caa2c6deaf6dcb94" dmcf-pid="Wc4b6XRuw9" dmcf-ptype="general">또 글로벌 빅테크 등 해외 사업자에 대한 국내 대리인 운영 실태 점검 예산을 통해 해외 사업자에 대한 규제 실효성을 확보한다.</p> <p contents-hash="3c158618acdfb776d376360db37b40eab4e5decde52b7914e22a0571f50b9de1" dmcf-pid="Yk8KPZe7OK" dmcf-ptype="general">국민들이 효과적으로 온라인 피해에 대한 구제 상담과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온라인피해365센터 운영 예산도 증액한다. 방송시장 불공정행위 조사와 외주제작 시장의 불공정 관행 개선을 위한 예산도 편성해 공정한 방송시장 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d4b3f133e073a0bb638c0e560abd0fabb0f2ca8e039f8ab82857b2750de6d92c" dmcf-pid="GE69Q5dzwb" dmcf-ptype="general">방통위는 이와 함께 주요 사업 추진을 위해 기존 사업 우선순위 조정, 공공부문 경비절감 등 지출구조조정을 실시했다. 관련 사업으로 방송통신위원회 시설운영 사업 등이 있다.</p> <p contents-hash="6720816e1a257f335a1d14b776998c17928a7fd0494d1f83a53971a965057552" dmcf-pid="HDP2x1JqwB" dmcf-ptype="general">내년도 방통위 예산안은 국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방통위는 정책 수혜자를 위한 이번 정부 예산안이 편성 취지대로 반영될 수 있도록 국회 심의 과정에 적극 대응해 국정과제 및 주요 정책과제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필요 예산이 편성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b06f9c6f56c4b5ffbd412bf5d645789e84a65bf8cb0326329be0b2e80a615354" dmcf-pid="XwQVMtiBsq" dmcf-ptype="general">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키스오브라이프, 공식 팬클럽 'KISSY' 2기 모집 09-05 다음 거대한 카메라섬, 아이폰 이어 갤럭시도?…갤S26 엣지 보니 09-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