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네이처 자매지 통해 반도체 리더십 집중 조명 작성일 09-05 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GMtAHMUNn">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c7c0ea21fc189936171f4befb1fbe6067db72f48380baff005455bcf2f3702a" dmcf-pid="HujKh7j4j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의 최신현, 윤영규, 최성율, 유승협 교수, 신소재공학과 김경민 교수(왼쪽부터). 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5/fnnewsi/20250905094515621uxbl.png" data-org-width="638" dmcf-mid="YoXjqLXDk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5/fnnewsi/20250905094515621uxbl.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의 최신현, 윤영규, 최성율, 유승협 교수, 신소재공학과 김경민 교수(왼쪽부터). 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e7b077504b594e82311164e2de6104473e3b375dfcb68178fcae6cf14719f45b" dmcf-pid="X7A9lzA8AJ" dmcf-ptype="general"> [파이낸셜뉴스] KAIST(한국과학기술원)는 세계적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의 자매지 ‘네이처 리뷰스 일렉트리컬 엔지니어링(Nature Reviews Electrical Engineering)’에 지난 8월 18일 자로 KAIST의 반도체 연구와 교육 성과가 집중 조명됐다고 5일 밝혔다. </div> <p contents-hash="4d2ae6c2fcb4bcf05203d698cc9257f80e5027850b09b1fc3f3d46f7812f51f2" dmcf-pid="Zzc2Sqc6ad" dmcf-ptype="general">이번 특집(Focus) 기사는 KAIST가 차세대 반도체 연구와 인재 양성, 글로벌 산학협력에서 보여주는 리더십을 상세히 다루며, 한국 반도체 산업의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실비아 콘티(Silvia Conti) 편집장이 직접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KAIST에서는 신소재공학과 김경민 교수, 전기및전자공학부 윤영규, 최신현, 최성율, 유승협 교수 등이 인터뷰에 참여했다. </p> <p contents-hash="125dda7cdc6a94303bc4d5dfc1a9a4f71dfe766aea1087b82db70aaa7b8669c7" dmcf-pid="5qkVvBkPNe" dmcf-ptype="general">KAIST는 전기및전자공학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반도체공학대학원 등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뉴로모픽 컴퓨팅, 인-메모리 컴퓨팅, 2차원 신소재 기반 소자 등 차세대 반도체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연구진은 기존 실리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아키텍처와 소자를 개발하며, 인공지능·로보틱스·의료 등 다양한 응용 분야 혁신을 이끌고 있다. </p> <p contents-hash="6060df8b40462cc4745044a815c81ab0440e00b9dcff214c04c8d6eda18804fa" dmcf-pid="1BEfTbEQoR" dmcf-ptype="general">특히 RRAM, PRAM 등 신개념 메모리를 활용해 시냅스, 뉴런 등 생물학적 기능을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구현하는 연구는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로봇, 엣지 컴퓨팅, 온-센서 AI 시스템 등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열고 있다. </p> <p contents-hash="a1b99fa6aad25fd498068d6629c94167eaa00fa7242ef90bba565533f855860f" dmcf-pid="tbD4yKDxkM" dmcf-ptype="general">또 KAIST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의 오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EPSS(삼성반도체 고급인력양성프로그램), KEPSI(SK하이닉스반도체 고급인력양성프로그램)를 운영해 왔다. 이 과정에 참여한 대학원생은 전액 장학금과 졸업 후 취업이 보장되며, 2022년 신설된 반도체시스템공학과는 매년 100명의 학부생을 선발해 체계적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매년 70여 개 연구실이 참여하는 KAIST-삼성전자 산학협력센터는 장기적 산학 공동연구 거점으로서 산업계 현안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 </p> <p contents-hash="3d601cdd12ebe98d8e2ea5028273a30791b2b33d03b8ad7ae0f5123e41f5e9fb" dmcf-pid="FKw8W9wMox" dmcf-ptype="general">이번 기사는 KAIST가 단순한 연구기관을 넘어 국제적 연구 허브로 성장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KAIST는 여성 교수 임용 확대, 외국인 교수·학생 지원을 위한 글로벌 인재 비자센터 설립 등 다양성과 포용성을 강화하며 세계 각국의 우수 인재를 끌어들이고 있다. 또 대덕연구단지(대덕 특구, Daedeok Innopolis)의 핵심 대학으로서 ‘한국의 실리콘밸리’의 심장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p> <p contents-hash="b900bd465c50304949890f0a2b26180df194c8c64ecbba7404b9e8e8de4cea1f" dmcf-pid="39r6Y2rRAQ" dmcf-ptype="general">이번 기사는 이러한 KAIST의 전략적 연구 방향과 리더십이 글로벌 학계와 산업계에서도 주목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p> <p contents-hash="75a038c7bb502fcb477b0d7a32b615bf8d915bf2214653eac7f7475043214aae" dmcf-pid="02mPGVmekP" dmcf-ptype="general">이광형 KAIST 총장은 “KAIST가 세계적 과학 저널을 통해 반도체 연구와 교육 성과를 조명받게 된 것은 우리 대학 구성원들의 헌신과 도전 정신 덕분”이라며, “KAIST의 글로벌 연구 허브로서의 성장이 주목받게 되어 기쁘게 생각하며, 앞으로도 산학연 협력을 확대해 차세대 반도체 혁신을 선도하고 한국이 미래 반도체 강국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6f6ae4cc721cbb12dfb8c9689a706368e760aa9c2b21d09bd13d95c21b61620f" dmcf-pid="pVsQHfsdk6" dmcf-ptype="general">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조인철 의원, 'AI 데이터 이용 정책' 제1차 토론회 공동 주최 09-05 다음 25년 재임 'EPL 최장수 회장' 토트넘 레비, 사임 09-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