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2026년 예산 7조 7962억원 편성…"2020년 이후 최대 증가 폭" 작성일 09-05 7 목록 <strong class="media_end_summary">K-컬처 300조 시대 연다…콘텐츠·문화예술·관광·체육 전방위 투자<br>청년예술인 지원·공연형 아레나·글로벌 허브·지역관광 프로젝트 포함</strong><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21/2025/09/05/0008467954_001_20250905080044964.jpg" alt="" /><em class="img_desc">문화체육관광부 2026년 예산안 7조 7962억 원 개요</em></span><br><br>(서울=뉴스1)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가 '케이-컬처' 300조 원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2026년 예산안을 7조 7962억 원으로 편성했다.<br><br>2026년 예산안은 2025년보다 10.3%(7290억 원) 늘어난 것으로, 2020년 이후 최대 증가 폭이다.<br><br>문체부는 이번 편성을 통해 '케이-컬처' 성장을 가속화하고 국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br><br>부문별로는 문화예술 2조 6388억 원(10.8%↑), 콘텐츠 1조 6103억 원(26.5%↑), 관광 1조 4740억 원(9.4%↑), 체육 1조 6795억 원(0.3%↑)을 배정했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21/2025/09/05/0008467954_002_20250905080045026.jpg" alt="" /><em class="img_desc">내년부터 달라지는 주요사업 콘텐츠 분야</em></span><br><br>문체부는 콘텐츠산업 국가전략산업화를 비롯해 문화예술 향유·창작·복지 확대와 모든 국민이 즐기는 스포츠·관광 환경 조성을 3대 전략으로 제시했다.<br><br>콘텐츠산업 육성에서 주요 사업을 살펴보면 공연형 아레나 구축 연구 5억 원, 케이-콘텐츠 펀드 출자 4650억 원, 인공지능(AI) 특화 콘텐츠 아카데미 192억 원 등이 눈에 띈다.<br><br>아울러 인공지능 콘텐츠 제작 지원 238억 원, 문화기술 연구개발(R&D) 1515억 원, '케이-게임 라키비움' 조성 15억 원, '청년 케이-컬처 글로벌 프런티어' 70억 원도 신설됐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21/2025/09/05/0008467954_003_20250905080045082.jpg" alt="" /><em class="img_desc">내년부터 달라지는 주요사업 문화예술 분야</em></span><br><br>문화예술 분야에서는 예술산업 금융지원(융자 200억 원, 보증 50억 원), 예술인 복지금고 50억 원, 케이-아트 청년창작자 지원 180억 원 등 신규사업이 포함됐다.<br><br>케이-뮤지컬 지원은 31억 원에서 241억 원으로, 케이-문학 지원은 99억 원에서 206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대폭 확대됐다. 국립단체 전막공연 지역 순회, 전시 투어 지원 예산도 7억 원에서 82억 원으로 증액했다.<br><br>스포츠·관광 분야는 금융지원과 생활체육 인프라 확대가 중심이다. 스포츠 부문에서는 공공체육시설 개·보수 883억 원, 어르신 스포츠 프로그램 75억 원, 예비국가대표 양성 30억 원 등이 포함됐다.<br><br>관광산업 융자 규모는 6195억 원에서 7135억 원으로, 관광기업 펀드는 730억 원 규모로 확대됐다. '케이-지역관광 선도권역 프로젝트' 50억 원, '케이-푸드로드 문화관광 활성화' 25억 원 등 신규사업도 신설됐다.<br><br>또한 통합문화이용권(문화누리카드) 지원액을 연 15만 원으로 상향하고, 청소년과 생애전환기 대상자는 1만 원을 추가 지원한다. '청년문화예술패스' 지원 대상도 기존 19세 16만 명에서 19~20세 28만 명으로 확대된다. 장애인·어르신·임산부 등 관광취약계층을 위한 무장애 관광 지원도 강화했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21/2025/09/05/0008467954_004_20250905080045127.jpg" alt="" /><em class="img_desc">내년부터 달라지는 주요사업 스포츠·관광 분야</em></span> 관련자료 이전 한국 남자하키, 아시아컵 결선리그서 중국에 영패 09-05 다음 2025 태권도의 날 기념식 4일 개최, 500여 명 참석 09-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