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비행, 인간 줄기세포 노화 가속화 작성일 09-05 1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hRqa6CniL">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404816feb4eeac75160c928581f74550809d03a48828f041c669933baed0e63" dmcf-pid="xleBNPhLM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카트리오나 제이미슨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샌포드줄기세포연구소 교수가 팀원들과 국제우주정거장(ISS) 임무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UC San Diego Health Sciences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5/dongascience/20250905000142697nrdq.jpg" data-org-width="680" dmcf-mid="PhaFebEQR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5/dongascience/20250905000142697nrd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카트리오나 제이미슨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샌포드줄기세포연구소 교수가 팀원들과 국제우주정거장(ISS) 임무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UC San Diego Health Sciences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f809ae601a0212139215021fcdfb43a24db69b02c6d714bc92c3f15719f5169" dmcf-pid="y8Gw0v41Ri" dmcf-ptype="general">우주 비행이 인간 줄기세포의 노화를 앞당긴다는 점이 확인됐다. 장기 우주 여행 시 발생하는 노화 및 질병에 대처하는 법을 찾는데 참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p> <p contents-hash="63426fc272a49881ce3b30f5f4961af03c655e378763e7d683e7908eeaa91498" dmcf-pid="W6HrpT8tJJ" dmcf-ptype="general">카트리오나 제이미슨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SD) 샌포드줄기세포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우주 비행 시 인간 조혈모세포와 전구세포(HSPC)의 노화가 가속화된다는 점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4일 국제학술지 '셀 스템 셀'에 발표했다. </p> <p contents-hash="02acf056ca14517ed1c1a33b9eb6835964b43d47c0420a1f3bcfe76138b5ecdf" dmcf-pid="YPXmUy6FMd" dmcf-ptype="general">조혈모세포는 혈액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줄기세포이고 HSPC는 조혈모세포에서 유래해 성숙한 혈액세포로 분화되기 전 단계의 세포다. 두 세포 모두 혈액 및 면역체계 건강을 위해 필수적인 세포들이다. </p> <p contents-hash="6ce823e9f2ff8c924f453cf0488afa1da58d1e8e26c12ecd766e9ccb74dad30e" dmcf-pid="GM1IzGxpne"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인간 줄기세포를 배양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영상 도구로 줄기세포를 추적 관찰하기 위한 소형 3D 바이오센서 플랫폼을 개발했다. </p> <p contents-hash="a142c0329a93162b842c1cf765015dbd0b73757dafc1dd7d97cda00e1fea4817" dmcf-pid="HRtCqHMUeR" dmcf-ptype="general">추적 관찰 결과 우주 환경에 노출된 줄기세포는 새로운 건강한 세포를 만드는 능력을 부분적으로 소실했다. DNA 손상에 취약해졌고 노화가 가속화되는 징후가 관찰됐다. </p> <p contents-hash="9cfb72f06af0e71d94ff519d5ff7cc794cb53d58ec5f6ba7808a92e4e26b8417" dmcf-pid="XeFhBXRuRM" dmcf-ptype="general">32~45일 우주에 머문 HSPC는 특히 노화의 특징이 두드러졌다. 인간이 나이가 들었을 때 HSPC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유사한 변화가 관찰됐다. 텔로미어(염색체 말단) 길이가 짧아지는 등 분자 수준에서 마모 징후가 나타났다. HSPC는 휴식 및 회복 능력을 상실했는데 이는 줄기세포 재생 능력이 떨어졌다는 의미다. </p> <p contents-hash="1e2972e6e9ae73b0ef34bcb2c508d9f597d2c6fd93e617668a7ac070e949720f" dmcf-pid="Zd3lbZe7ix" dmcf-ptype="general">세포 내 에너지 발전소인 미토콘드리아에서는 염증과 스트레스 징후가 나타났다. 염증 및 스트레스 반응 증가는 면역 기능 손상, 질병 위험 증가 등으로 이어졌다. </p> <p contents-hash="2c9139c520370b9d8d76052f66e462de3d5c1fb24c6c1647bddd283b3feaa5c5" dmcf-pid="5J0SK5dzeQ" dmcf-ptype="general">우주 공간에 노출된 줄기세포들이 건강한 환경으로 돌아오면 일부 손상이 회복된다는 점도 확인됐다. 적절한 개입은 노화된 세포를 재생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p> <p contents-hash="959d0701fd5f90cd716202624c78604f6b3d99297b0f1782690fcd7e99b2ac0e" dmcf-pid="1ipv91JqiP" dmcf-ptype="general">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선행 연구에서 우주 비행은 면역 기능과 텔로미어 길이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된 바 있다. ISS에 340일간 머문 우주비행사를 대상으로 유전학, 생리학, 인지학,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군집) 전반에 걸친 조사를 진행한 결과 유전자 발현, 텔로미어 길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등에서의 변화가 관찰됐다. 짧아진 텔로미어 수 증가, 일부 유전자 발현 중단 등 지속된 변화도 있었지만 상당수는 지구로 돌아온 뒤 정상으로 돌아갔다. </p> <p contents-hash="73dbc3d75be5ca892e7e34f78be808ad4e7d75fbb8ff355e47ac8219afc4c624" dmcf-pid="tnUT2tiBL6"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이번 발견은 미세중력, 우주배경복사 같은 우주에서의 스트레스 요인이 혈액 줄기세포의 노화를 가속화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장기간 우주 임무를 수행하는 우주비행사를 보호하는 방법을 찾고 노화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생물학적 마커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0b4becfad1bcd6724ad863e51036356162f3df5621bad3fd19fb80f1f6758c1b" dmcf-pid="FLuyVFnbL8" dmcf-ptype="general">[문세영 기자 moon09@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인기녀' 23기 옥순, 男 선택 안 하자…24기 옥순 "어장이냐" (나솔사계)[종합] 09-05 다음 강원도회장배 생활체육유도대회 내일부터 정선서 개최 09-0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