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장관 “AI·과학기술 융합해 원천기술 확보·산업 혁신해야” 작성일 09-04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gBHvg5rOS">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54c541492bc8b98f25a5265d20fbf2d4e70afcde5bf0d618f69c53842449829" dmcf-pid="5abXTa1mw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4일 대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열린 'AI for S&T 간담회' 에서 정책 제시를 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4/etimesi/20250904192340653zfjj.jpg" data-org-width="700" dmcf-mid="XO1IDQlom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4/etimesi/20250904192340653zfj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4일 대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열린 'AI for S&T 간담회' 에서 정책 제시를 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30f4acf593d50c092f631da000bea60fde03d87f081b626c324f6a068bbf803" dmcf-pid="1oqGSoZwOh" dmcf-ptype="general">“인공지능(AI)은 과학기술 연구 방식을 혁신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입니다. AI와 과학기술의 융합으로 세계를 선도할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통 산업을 혁신할 때 AI가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p> <p contents-hash="5ae35d6afd176ebe88e3e9b4e4232e766902012cb72138f3f596c3ad9ffc82f2" dmcf-pid="tgBHvg5rwC" dmcf-ptype="general">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4일 대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열린 'AI for S&T' 전문가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바이오, 반도체, 원자력, 에너지 등과 관련된 정부출연연구기관·과학기술원 전문가들이 참석, AI를 활용한 과학기술 연구개발 혁신을 위한 정책을 논의했다.</p> <p contents-hash="f6bcf200d5efd9597f85efde1c8c9da30cbc3b55ef1dcc39b9a03cd6c681f5cf" dmcf-pid="FabXTa1mII" dmcf-ptype="general">참석자들은 연구개발 과정에 AI를 활용한 바이오 신약 개발 가속화, 반도체 설계 최적화, 원자로 설계와 안전성 강화, 에너지 신기술 개발 촉진 등 다양한 활용사례를 공유했다. 연구개발의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과학적 난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의견을 모았다.</p> <p contents-hash="7bfe19b75e771659d0cbebbcb1c1546f2993302394f132b9912860a91f1d946b" dmcf-pid="3NKZyNtsDO" dmcf-ptype="general">또 출연연과 과기원이 AI 기반 융합연구의 허브 역할을 강화하고 산학연 협력 플랫폼을 제공하며, 데이터·인프라 개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 정비 필요성도 제안했다. 연구성과가 사회·산업적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게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한 것이다.</p> <p contents-hash="54259ab64e44ffcd64954dfd366d0622489a540138719255ead70b848645a131" dmcf-pid="0j95WjFOws"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이번 논의를 계기로 구혁채 과기정통부 1차관 주재 'AI for S&T 산학연 전문가 TF'를 신설·운영할 계획이다. 도메인별 특화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로드맵 마련, 공동 활용 가능한 데이터·인프라 체계 구축, 연구 전주기 자율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기반 마련 등을 종합 검토할 예정이다. 'AI for S&T 국가전략'(가칭)도 수립해 체계적으로 정책 추진에 반영한다.</p> <p contents-hash="5d8893888cf4c64965abd85b9845068602d3c4a86bceaaeb7ac131ac58cb21fc" dmcf-pid="pA21YA3Ism" dmcf-ptype="general">배 장관은 “AI for S&T를 국가 과학기술 혁신전략 핵심축으로 삼아 출연연과 과기원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연구개발 성과가 실질적인 사회적·산업적 가치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97493894a0ac315ed524d94f9b44ae3a9d0d11439395b3713cc105dbcc80ce7" dmcf-pid="UcVtGc0CEr" dmcf-ptype="general">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문원과의 신혼집까지 준비한 신지, 본업 근황 “오늘도 열일” 09-04 다음 MC몽, 이다인에 “낄 데 껴라” 공개 저격…‘1년 전 사진’으로 시작된 설전 09-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