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기고]과도한 시험기관 형벌, ICT 중소기업만 울린다 작성일 09-04 1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fWJ5uNfIC">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6c0823ebe9a3dcc53f610cf0eb90c129d7d4a8939b7e56f27554f39a90caebf" dmcf-pid="44Yi17j4I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송효택 한국스코프쓰리협회 부회장"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4/etimesi/20250904160315755tjon.jpg" data-org-width="233" dmcf-mid="VOL1gDuSO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4/etimesi/20250904160315755tjo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송효택 한국스코프쓰리협회 부회장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e00eca04121f932e8689567356b1cab3a204e6975a24841abcb931b4047ffa3" dmcf-pid="88GntzA8IO" dmcf-ptype="general">이재명 정부가 출범과 동시에 내세운 핵심 국정과제 중 하나는 '기업 규제 완화'다. 산업 활성화를 위해 과도한 행정규제를 걷어내고 혁신 기업들이 숨 쉴 수 있도록 제도 환경을 재설계하겠다는 의지를 반복적으로 밝혀왔다.</p> <p contents-hash="425350415e979c1f199d8f2bbb5f9c0d45b80e7f8c3bdce614d62b540e9a112a" dmcf-pid="66HLFqc6ss" dmcf-ptype="general">하지만 현장의 목소리는 정부 약속이 여전히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전반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대표 사례가 시험·인증기관에 대한 과도한 '업무정지' 처분이다.</p> <p contents-hash="2d3672fda2a4cb761537868e504dd1762c380029cb09393d372d8e2e4b22ac66" dmcf-pid="PPXo3BkPsm" dmcf-ptype="general">ICT 제품은 시험기관 없이는 한 걸음도 시장에 발을 들일 수 없다. PC, 모뎀, 셋톱박스, 네트워크 장비, 사물인터넷(IoT) 기기 등 ICT 제품은 모두 전파법과 전기안전법 등 각종 규제에 따른 시험·인증을 거쳐야 출시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ed2f7b2ecc0db0c675413db882986b9f46f60bc84535de83dc1219594d4eca99" dmcf-pid="QQZg0bEQsr" dmcf-ptype="general">국내에서 이 역할을 수행하는 공인시험기관은 대부분 중소형 민간기관과 일부 정부 산하 시험기관이다. 대기업은 대부분 자체 시험기관을 보유한 것과 달리 중소 ICT 제조 기업은 공인시험기관의 인증 없이는 단 한 대의 제품도 합법적으로 출시할 수 없다.</p> <p contents-hash="d798cfe4098cfad6bfec18ef2a01b6252411eeea2288be2ceb0ebf063d3cafd3" dmcf-pid="xx5apKDxsw" dmcf-ptype="general">문제는 시험기관이 경미한 행정 실수나 위반으로도 업무정지 처분을 받으면 그 여파가 중소 제조기업에 고스란히 확산되는 것이다. 특정 시험기관이 몇 개월간 업무가 중단되면, 해당 기관을 이용해온 수많은 중소 ICT 제조사 인증 절차에 큰 지장이 생긴다. 제품 출시가 지연되고, 글로벌 시장 진출 일정도 차질이 생긴다.</p> <p contents-hash="e52cf7caa454bb9f59da46a765a454e4218caa6ae77802c450db1c1eaf6b9f72" dmcf-pid="yyn3jmqymD" dmcf-ptype="general">“다른 시험기관이 많이 있으니 옮기면 되지 않느냐”는 반론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현실은 다르다.</p> <p contents-hash="400dfe32d2e5b9ae954d991b41e31a2db16759677a2afe957d9f40233d5a3d60" dmcf-pid="WWL0AsBWmE" dmcf-ptype="general">중소 제조사는 대부분 자사 제품 특성을 깊이 이해하고 디버깅 등 문제 해결 경험이 많은 특정 시험기관을 꾸준히 이용한다. 시험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 문제까지 해결하는 동반자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54fe0e02d6369bbc82e59f720fbec7ea33936c166e9ebaeb3ac7a00303ab770d" dmcf-pid="YprVhGxpwk" dmcf-ptype="general">반면 다른 시험기관으로 옮기면 자사 제품 이해도가 낮아 기술적 적합성 문제 해결이 더뎌지곤 한다. 이미 밀려 있는 타사 주문 때문에 인증 일정도 지연될 수밖에 없다. 결국 중소기업은 치명적인 매출 손실을 감내해야 한다.</p> <p contents-hash="cec2a9c15f10c5514fe34e84e8d497cf805ce02bce99d266b03d77b8880ecdac" dmcf-pid="GUmflHMUsc" dmcf-ptype="general">산업통상자부 국표원 소관 인증기관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파연구원 소관 인증기관 간 형평성도 문제다.</p> <p contents-hash="21e949057eeb3c89c46e1e31da61a88d0a992664df433a0954cc729ff66e0b5f" dmcf-pid="Hus4SXRusA" dmcf-ptype="general">산업부 산하 제품 시험기관들은 경미한 위반 시 500만원 이하 과태료나 시정명령 중심으로 처분이 이뤄진다.</p> <p contents-hash="a4612bcfe44c133e06399ffca99196326b8a11047d16bc2cfa7bad683739a238" dmcf-pid="X7O8vZe7rj" dmcf-ptype="general">반면 전파·통신 장비 인증을 담당하는 과기정통부 전파연구원은 곧바로 업무정지라는 강력한 제재를 내린다. 과징금 제도가 지난해 도입됐지만 실제 처분은 지금까지 한 번도 없었다.</p> <p contents-hash="50fe3df4c1613ecdbdcd3b4fee9f51203ee255b4fbe7f51a52d7af6b3aebf304" dmcf-pid="ZzI6T5dzsN" dmcf-ptype="general">시험분석 업무는 대부분 행정규정에 따라 엄격하게 이뤄진다.</p> <p contents-hash="983cd0de3995442d23a070cedef3d6195e1b4d0214326a759d766d8795276cd6" dmcf-pid="5qCPy1Jqsa" dmcf-ptype="general">하지만 경미한 사안까지 업무정지로 이어지면, 해당 시험기관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에도 피해가 돌아간다. 과징금 중심의 합리적 처분 기준이 절실하다.</p> <p contents-hash="17c034e3afc7ec3dfec18d794b9418c58c0de98626decb9312282d194ba5868a" dmcf-pid="1BhQWtiBDg" dmcf-ptype="general">규제 완화는 선언만으로는 의미가 없다. 산업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어야 한다. 시험기관의 위반 행위에 대한 책임은 필요하지만, 업무정지로 인한 연쇄 피해를 제조사가 떠안아야 하는 방식은 개선돼야 한다.</p> <p contents-hash="1df24da5853c003140f96c6cbd12e4043a89b1f137c1d2d3b647503e3a5a126e" dmcf-pid="tblxYFnbso" dmcf-ptype="general">중소 ICT 기업이 제때 제품을 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규제가 아닌 정책의 몫이다.</p> <p contents-hash="8a8f7e89946b4934c82a6bfdd2c98932df3a7a5600c77c74b71391dabfc93190" dmcf-pid="FKSMG3LKmL" dmcf-ptype="general">'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표방한 정부라면, 시험기관 업무정지 제도의 문제점을 기업 입장에서도 귀 기울이고, 정부 간 규제 형평성과 합리성도 고려해야 한다.</p> <p contents-hash="c00e3f1f3d7426c15679675fadef3e03b89c3221bc2a5f9faaecd8df66a90638" dmcf-pid="39vRH0o9mn" dmcf-ptype="general">송효택 한국스코프쓰리협회 부회장 htsong1@daum.net</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데스크라인]TV, 영원한 1등은 없다(?) 09-04 다음 “이런 불운이” 韓주니어당구대표 손준혁-김현우, 김도현-이규승 세계주니어3쿠션 예선부터 격돌 09-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