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노란봉투법 대비하는 통신업계…KT, 그룹사 사례 조사 작성일 09-04 1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통신업계, 하청업체 의존도 높아…유지보수·고객응대 중요<br>KT "노동환경 변화 따른 그룹사 질의사항 파악 차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Z80ZUaVYS">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fd52a9a461c13e57877e0bfb555fd624abdfb1b91050dc5e33528617baf8160" dmcf-pid="WtQutzA8X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빌딩 2023.8.28/뉴스1"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4/NEWS1/20250904151726678syzs.jpg" data-org-width="1400" dmcf-mid="x8cxfRTNt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4/NEWS1/20250904151726678syz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빌딩 2023.8.28/뉴스1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3f19c8fb60b9636215eba7e42825ed1c9181c50a3ec4e0e42fd8da7bd79e5f7" dmcf-pid="YFx7Fqc6Zh"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김정현 기자 =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의 여파가 하청업체 의존도가 높은 통신업계로도 본격 확산하고 있다.</p> <p contents-hash="4b2b498acfb78828e7559201513d84632f3e30345a9ed445bf340fc8b6e9e3a0" dmcf-pid="G3Mz3BkP5C" dmcf-ptype="general">4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KT(030200)는 노란봉투법 시행과 대비해 산하 그룹사에 최근 5년 사이 발생한 관련 사례 조사를 요청했다.</p> <p contents-hash="17dc60daa54fb1fc6d605ca23642ab68402417b47825b1b7d8cd4140a6d545c6" dmcf-pid="H0Rq0bEQHI" dmcf-ptype="general">지난달 24일 국회를 통과한 노란봉투법은 하청 근로자에게 원청 교섭권을 부여하고, 파업 근로자에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p> <p contents-hash="d0895e7864a3b688821d705891648feb123c6a519c315dac395c0ac91e924a95" dmcf-pid="XpeBpKDxXO" dmcf-ptype="general">이번 사례조사 역시 향후 노란봉투법 시행으로 통신업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동쟁의의 사전 대비로 풀이된다.</p> <p contents-hash="234559a8cdf420915e3cd8bc25d88d6a0ecb993e89a06408fe410073b8779b3f" dmcf-pid="ZUdbU9wMXs" dmcf-ptype="general">통신업계는 기간통신사업자인 SK텔레콤·KT·LG유플러스 통신3사와 자회사가 하청업체와 협력하는 구조다. 업종 특성상 네트워크 설치 및 유지보수, 고객 응대 등이 중요해, 해당 업무와 관련해 통신사들의 자회사 및 하청업체 의존도가 높다.</p> <p contents-hash="76c2d4ecb21e9818992f97481313fbf61fa90d28cdf60f20f89e76ff00607f91" dmcf-pid="5uJKu2rRHm" dmcf-ptype="general">노란봉투법이 사용자의 범위를 확대하는만큼, 향후 '원청'에 해당하는 통신3사가 하청업체 직원들의 노동쟁의에 직접 교섭에 나서야 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p> <p contents-hash="50c28d71022f8ed2a5d872263d162cc5dc228ddf36a6689dfab1543c6297d750" dmcf-pid="17i97VmeZr" dmcf-ptype="general">KT의 경우, 고객센터 및 통신유통 사업을 담당하는 ktis·ktcs, IT서비스 전문기업 ktds 등의 하청 계열사를 두고 있다. 올해부터는 경영효율 개선을 위해 통신망 설치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자회사 KT OSP, KT P&M를 설립하고 본사 인력을 전출시키기도 했다.</p> <p contents-hash="495bc71c9dfb828b48ca5ab188bde664e17d3406a9735397fd9e33df783e08da" dmcf-pid="tzn2zfsdXw" dmcf-ptype="general">그간 KT의 하청 노동자들은 원청인 KT가 임금 체불 문제 및 고용조건, 노동 환경 개선과 관련해 여러 차례 책임을 요구한 바 있다.</p> <p contents-hash="eff189b20c83529b2559aafdfec9ff0eee1ec05ef2a42f6933c858d1a5e76568" dmcf-pid="Fs0SsT8t5D" dmcf-ptype="general">당장 지난달에도 KT 그룹사 'KT 서비스 남부'가 발주한 폐전선 철거 공사에서 임금을 받지 못한 하청업체 노동자들이 '원청인 KT가 임금체불 문제를 해결해달라'고 요구하는 일이 있었다.</p> <p contents-hash="3f1f501f2ddfa48821100ae422e3d8b916b0b59ba9f894d547b3dcbb0aee346b" dmcf-pid="3OpvOy6FYE" dmcf-ptype="general">KT 측은 이번 사안은 노동시장환경 변화 상황에서 그룹사들을 지원하기 위한 차원이었다는 설명이다.</p> <p contents-hash="7fd229aca48a60515b5ec015318b9edcc95185815ae0668b9fd3f51baac3b992" dmcf-pid="0IUTIWP3Yk" dmcf-ptype="general">KT 관계자는 "회사 차원에서 5개년 사례의 공식 조사를 진행하진 않았다"며 "이는 노동시장환경 변화에 따라 현장의 궁금한 사항 등을 청취하는 차원에서 그룹사의 질의사항을 파악한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f53e4960c1f6bfc02c83ffcc27ade9cb6c0343a4ce40969dd8ea6a6622e8d6f6" dmcf-pid="pCuyCYQ0tc" dmcf-ptype="general">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통신전반적이 노란봉투법과 관련 관련해 긴장하고 대비하는 움직임이 있는 게 사실"이라며 "다만 통신사들은 현재 AI 투자나 서비스 확장이 필요한 시점인데, 노란봉투법으로 노사관계가 복잡해지면 기업의 민첩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큰 상황"이라고 귀띔했다.</p> <p contents-hash="8781c6fb5a4a99b61805711d47f521d5ef4f4412fc06f1075450e8f40b57de84" dmcf-pid="Uh7WhGxpGA" dmcf-ptype="general">실제로 KT 외의 다른 통신사들 역시 노란봉투법 시행을 대비해 법률 검토 등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p> <p contents-hash="d2f37fea5e43dbca6434ae75c002d85d59aadd4044298cd882a07e97fcf06d23" dmcf-pid="ulzYlHMUYj" dmcf-ptype="general">한편 노란봉투법은 6개월 유예기간을 둔 뒤 오는 2026년 2월 말 또는 3월 초부터 시행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af63fb2322e07d1e01b2dcd1175c73e92bbcff98fefd1d71281da0bf5396b457" dmcf-pid="7SqGSXRuZN" dmcf-ptype="general">Kris@news1.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SC현장] 고현정X장동윤, 소름돋는 母子 공조 ‘사마귀’로 SBS 금토명가 계보 잇는다 09-04 다음 국내 기업 70% '지난 1년간 AI 사이버 공격 경험'…방어 자신 있는 곳 13%뿐 09-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