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장관 "AI 성과 내려면 과학 융합 통해 원천기술 확보해야" 작성일 09-04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AI로 바이오·반도체·에너지 R&D 대혁신 시동<br>'AI for S&T 국가전략' 본격 착수…산학연 전문가 TF 신설·운영</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00c0qc6rC"> <p contents-hash="ae68d1e79e1a0475745ab39e114791dc54278694adaac806864414c0357d50ee" dmcf-pid="uppkpBkPDI"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김아름 기자] “AI는 과학기술 연구 방식을 혁신하는 새로운 패러다임 입니다. AI가 실질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AI와 과학기술의 융합을 통해 세계를 선도할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산업을 혁신할 때 가능합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093568ae1922707972fb0a51b621311331da71c269c561b851d705ba5cf107e" dmcf-pid="7zzrz2rRr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배경훈 장관이 4일 대전에 위치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개최된 AI for S&T 전문가 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4/Edaily/20250904143850618ognt.jpg" data-org-width="670" dmcf-mid="p6zrz2rRE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4/Edaily/20250904143850618ogn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배경훈 장관이 4일 대전에 위치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개최된 AI for S&T 전문가 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과기정통부)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37c7b1474e3e24df3d2ba2391c3133b142a5c9509b164f9179c7aabfde0894cf" dmcf-pid="zqqmqVmems" dmcf-ptype="general">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배경훈 장관은 4일 대전에 위치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개최된 AI for S&T 전문가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div> <p contents-hash="0ee89ef2fc0c964f4998039328c17f2e6175d205306a860b837913ba65673ac6" dmcf-pid="qBBsBfsdDm" dmcf-ptype="general">이번 간담회에는 바이오, 반도체, 원자력, 에너지 등 국가 전략분야의 정부출연연구기관, 과학기술원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AI를 활용한 과학기술 연구개발 혁신을 위한 정부 정책 방향을 심도 깊게 논의했다.</p> <p contents-hash="ca3bea4cfd3ab475130903f11cd562e0f1b607c7f73d56af489e205c9ae42234" dmcf-pid="BbbOb4OJEr" dmcf-ptype="general">참석자들은 연구개발 과정에 AI를 활용함으로써 △바이오 신약 개발 가속화, △반도체 설계 최적화, △원자로 설계 및 안전성 강화, △에너지 신기술 개발 촉진 등 다양한 활용 사례를 공유하며, 연구개발의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과학적 난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p> <p contents-hash="feed41c3eeb160bb5dae17274963a26b772b55927e0b66077420fe6e448463dc" dmcf-pid="bKKIK8IiDw" dmcf-ptype="general">특히 이번 간담회에서는 출연연과 과기원의 정책 방향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이뤄졌다. 참석자들은 출연연과 과기원이 △AI 기반 융합연구의 허브 역할을 강화하고, △산학연 협력 플랫폼을 제공하며, △데이터·인프라 개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를 통해 연구성과가 사회적·산업적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p> <p contents-hash="c37800d0385a422f28a9bd91453e87424a103e38ffdb3110ee67092962422482" dmcf-pid="K99C96CnmD"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이번 논의를 계기로, 구혁채 1차관 주재 ‘AI for S&T 산학연 전문가 TF’를 신설·운영할 계획이다. TF는 출연연, 과기원, 대학, 산업계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여 △도메인별 특화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로드맵 마련, △공동 활용 가능한 데이터·인프라 체계 구축, △연구 전주기 자율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기반 마련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게 된다.</p> <p contents-hash="862390380ff1b3d3cf41e17692e0275a43a143ab2b4f409bbe3e0ec5618ad69a" dmcf-pid="922h2PhLmE" dmcf-ptype="general">TF 운영 결과를 토대로 과기정통부는 ‘AI for S&T 국가전략(가칭)’을 수립해 체계적으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가 AI 기반 과학기술 혁신의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중장기 비전과 실행계획을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p> <p contents-hash="a48b672649085186448957041aab56c64b4aebab35e94ed59827323aa25c95e4" dmcf-pid="2VVlVQlosk" dmcf-ptype="general">배경훈 장관은 “오늘 간담회에서 제시된 전문가 여러분의 고견은 앞으로 정책을 수립하는 데 큰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AI for S&T를 국가 과학기술 혁신전략의 핵심 축으로 삼아, 출연연과 과기원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연구개발 성과가 실질적인 사회적·산업적 가치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9230c608c08fcdf66ed4fc68c4cb0820ca3240c937436d9a4b9a74b0d3a210e" dmcf-pid="Vrr2rh2Xsc" dmcf-ptype="general">김아름 (autumn@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마이 유스' 송중기 "멜로, 항상 욕심 나는 장르…더 나이 들면 못 해" 09-04 다음 배경훈 과기장관 "연구개발특구 지원 확대해 국가균형성장 촉진" 09-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