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장관 “AI로 노벨상 배출하자…연구현장에 GPU 최대 30% 개방" 작성일 09-04 1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4일 대전에서 AI for S&T 전문가 간담회 개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9YjwZ0o9jx">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720c19a9f79fffeca5bd6225b31d80d75be7da76526a4d7b9978a44990b643e" dmcf-pid="2GAr5pg2k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장관은 대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AI for S&T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과기정통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4/chosunbiz/20250904144450281yple.jpg" data-org-width="4500" dmcf-mid="bvNWBfsdk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4/chosunbiz/20250904144450281ypl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장관은 대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AI for S&T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과기정통부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092b523ef4fae7994458bc0ce0e7692c7cc3400d04bf4edceada63249807e12" dmcf-pid="VyaEHFnbA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4/chosunbiz/20250904144450601aurf.png" data-org-width="1232" dmcf-mid="KcUemlVZa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4/chosunbiz/20250904144450601aurf.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14e1b0a6d26ed27cd3f8d8e3c26136f890059a649fba50055ec2a5945ae6ff06" dmcf-pid="fWNDX3LKk6" dmcf-ptype="general">과학기술 연구개발(R&D) 전반에 인공지능(AI) 활용을 확대하기 위한 논의가 본격화됐다. 연구자들은 그래픽처리장치(GPU) 같은 AI 연구 인프라 부족과 제도적 미비를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고 제안했고, 정부는 대규모 지원 의지를 밝혔다.</p> <p contents-hash="5ae08432a4cf0e5281e3b83327d9e1ac485c3c3520298de6f824c119c4584b27" dmcf-pid="4YjwZ0o9g8" dmcf-ptype="general">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대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AI for S&T 전문가 간담회’를 열고 바이오, 반도체, 원자력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과 AI 활용 방안을 논의했다.</p> <p contents-hash="7ac35ae691c5315f80ed3b3233661c282805b9c9c3267bf31aeb7780aef4650e" dmcf-pid="8GAr5pg2g4" dmcf-ptype="general">배경훈 장관은 “AI가 많은 과학 분야를 바꿀 수 있는 만큼, AI를 잘 적용하면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다”며 “2028년까지 확보할 GPU 5만 장 중 20~30%를 학계, 연구소에 개방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45ee3665d46a83924dd492c4044cbf59106e75a568cf17fcb3f4e0865d9fc5c9" dmcf-pid="6Hcm1UaVgf" dmcf-ptype="general">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들도 AI가 바이오 신약 개발을 가속하며, 반도체 설계 최적화, 원자로의 설계와 안전성 강화에서 R&D 혁신을 이끌 수 있다고 했다. 이를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p> <p contents-hash="dabd3a15525f7a72a106a3797e5c1e53854f9a8da658341de4f4a9de19f511ce" dmcf-pid="PXkstuNfaV" dmcf-ptype="general">김정호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는 “10년 내 반도체 분야에 AI를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서 엔비디아, 삼성전자의 운명이 갈라질 것”이라며 “엔지니어가 점점 줄어드는 상황에서 AI를 잘 활용하는 국가가 살아남을 거라 본다”고 했다.</p> <p contents-hash="e4e683d28312e2572aa00283c2795d179b18c437a70bff331e2da33c932ce4fd" dmcf-pid="QZEOF7j4c2" dmcf-ptype="general">연구 현장에서 느끼는 현실적 어려움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김우연 KAIST 화학과 교수는 “GPU를 구매하는 과정이 너무 복잡하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이미 GPU를 보유하고 있으면 왜 추가로 구매해야 하는지 설명해야 한다. 비용이 5억원을 넘으면 전문 관리자가 필요한데, 개별 연구실에서 관리자는 뽑을 수 없다는 점도 지적했다.</p> <p contents-hash="bdf81cb39ef5513bbfefaa12261fac70cc0e1f74140c4d854968fc87dc4bf605" dmcf-pid="x5DI3zA8c9" dmcf-ptype="general">유용균 한국원자력연구원 인공지능응용연구실장은 “차세대 원자로 설계와 인허가 등 전주기에 AI 기술이 도입돼야 경쟁력을 가질 수 있지만, 관련 부서 간의 협력이 잘 이뤄지기 위한 평가 시스템과 제도가 부족한 상황”이라며 “AI를 활용하는 과제에 선정되더라도 GPU 자원을 활용하려면 따로 신청해야 하는데, 한 번에 해결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p> <p contents-hash="99aee16f85a89369c251e0085e2563de47e0a5f6d0f8a8bfa619d6493e2dd6f7" dmcf-pid="ynqVaEUljK" dmcf-ptype="general">이제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AI·계산과학실장은 “클라우드(가상 서버) 형태의 자원을 활용하더라도 연구소 시설이 노화돼 데이터를 주고받는 속도에 한계가 있다”며 “적합한 인프라를 갖추려면 건물 하나당 1억원이 들고, 연구원 단위에서는 최소 5~10억원이 든다”고 투자 필요성을 말했다.</p> <p contents-hash="873a7ab0bce28b10970da69323ea38176348954cddfa932c5291f8266af52162" dmcf-pid="WLBfNDuScb"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이번 논의를 계기로 구혁채 1차관 주재 ‘AI for S&T 산학연 전문가 TF를 신설·운영할 계획이다. 과기부는 TF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AI for S&T 국가전략을 수립해 체계적으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7b353773dfded0b4ff3b6aa5f84818216992849724e23e825e93c89d497fd25e" dmcf-pid="Yob4jw7vAB" dmcf-ptype="general">-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배경훈 과기장관 "연구개발특구 지원 확대해 국가균형성장 촉진" 09-04 다음 삼성, 두 번 접는 '트라이폴드폰' 이달 말 첫 선…中 화웨이와 정면승부 09-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