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 HBM 상용화 총력…4분기 범용 D램 가격 상승 '압박' 작성일 09-04 1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설비투자 및 웨이퍼 투입 HBM에 집중…내년까지 D램 시장에 큰 영향</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J18gkphaU"> <p contents-hash="d3612ea400e0597a378468f016229b6002e2bb447040f13fc2d7b44114ff85a4" dmcf-pid="QQYKdg5rjp"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장경윤 기자)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주요 메모리 기업들이 차세대 HBM(고대역폭메모리) 상용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범용 D램 생산능력 및 웨이퍼 투입량이 줄어들면서 가격 상승 압박을 받고 있다. </p> <p contents-hash="b17a5b7d8a8e660fe79cea89a41ce425eb106cd5d15e8e839e0e7dc86fed7a72" dmcf-pid="xxG9Ja1mc0" dmcf-ptype="general">4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및 내년 초 범용 D램 가격은 당초 예상보다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544a475e8f94e7f4064df3273039c3924facf0e9d71719b6ef0143e953c2767" dmcf-pid="yyesX3LKg3"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조감도(사진=삼성전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4/ZDNetKorea/20250904132513123vrfd.jpg" data-org-width="640" dmcf-mid="PnREyZe7c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4/ZDNetKorea/20250904132513123vrf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조감도(사진=삼성전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5d0dd28a6aee18e2d7fb964d23d2d4814235d657c27e54e0c205cccef94ef91" dmcf-pid="WWdOZ0o9oF" dmcf-ptype="general">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주요 메모리 기업들은 올해부터 엔비디아향 HBM4(6세대 HBM) 공급 준비에 집중하고 있다. 올 3분기 엔비디아가 HBM4 샘플을 대량으로 요청함에 따라, 두 회사 모두 HBM4 샘플 제작을 위한 웨이퍼 투입량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추산 규모는 월 1만~2만장 수준으로, 샘플인 점을 고려하면 매우 많은 양에 해당한다.</p> <p contents-hash="82956cbe707c41ee4b9a136c17d9d462a2b65026aaafeef7ef362b0a2b0c4670" dmcf-pid="YYJI5pg2jt" dmcf-ptype="general">HBM은 D램 여러 개를 수직으로 적층해 데이터 처리 성능을 끌어올린 메모리다. 현재 상용화된 HBM3E는 8단과 12단 적층으로 제작된다. 현재 샘플 단계에서 테스트가 진행 중인 HBM4 역시 12단이다. </p> <p contents-hash="9d9bb3ab0980d460d0f523342f1c766ab969aac8f3767a69edc5a48216f1498c" dmcf-pid="GGiC1UaVj1" dmcf-ptype="general">다만 HBM4는 이전 세대 대비 I/O(입출력단자) 수가 2배 많고, D램 크기가 확대되는 등 기술적 진보가 많아 초기 수율 확보에 불리하다. 수율이 낮을 경우, 고객사 조건을 맞추기 위해선 웨이퍼 투입량을 더 늘릴 수밖에 없다.</p> <p contents-hash="627fb16cec53d8c92680fb54201fd14c8c1f0dedbec1740d1451a59c97492896" dmcf-pid="HHnhtuNfA5" dmcf-ptype="general">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주요 메모리 기업들이 내년 엔비디아향 HBM 사업 확대를 위한 준비에 사활을 걸고 있다"며 "HBM에 투입되는 웨이퍼가 많아질수록 범용 D램 수급은 더 타이트해지고, 올 하반기와 내년 가격 인상을 부추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14c9796514e571b8a7610c3795dcc7b131479d0f2c1d9998702d1af8a208e6b0" dmcf-pid="XXLlF7j4cZ" dmcf-ptype="general"><span>설비투자도 대부분 </span><span>HBM에 집중되면서, 범용 D램 생산능력이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span><span>. </span><span>삼성전자는 </span><span>HBM4에 </span><span>탑재될 </span><span>1c(6세대 </span><span>10나노급) </span><span>D램 </span><span>생산능력을 </span><span>올해 </span><span>월 </span><span>6만장까지 </span><span>늘리기 </span><span>위한 </span><span>투자를 </span><span>집행 </span><span>중이다. </span><span>SK하이닉스는 </span><span>1b(5세대 </span><span>10나노급) </span><span>D램 </span><span>생산능력 </span><span>확대를 </span><span>위한 </span><span>전환투자를 </span><span>꾸준히 </span><span>진행해 왔다. </span></p> <p contents-hash="b27603bf06e5d042c64e54c333804f0e0ed542776fc8ee3c2d559c4b945e9a97" dmcf-pid="ZZoS3zA8jX" dmcf-ptype="general">실제로 시장조사업체 옴디아는 최근 서버용 64GB(기가바이트) DDR5의 올 4분기 가격 전망치를 당초 255달러에서 276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모바일 8GB DDR5도 18.7달러에서 19.2달러, PC 16GB DDR5는 44.7달러에서 46.5달러로 높였다.</p> <p contents-hash="aeea8eac2047a369c12cdcfa049e09f63fe8816a6d6220d7ce26337b1f2b2d7d" dmcf-pid="55gv0qc6kH" dmcf-ptype="general">김운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설비투자가 사상 최고 수준임에도 웨이퍼 캐파는 HBM이 점점 더 많이 잠식하고 있어 레거시(성숙) D램은 구조적으로 제약을 받는다"며 "범용 D램의 수요가 증가해도 생산을 공격적으로 확대하지 못하는 구조적 불균형이 내년에도 재현될 수 있어, 시장이 급격한 가격 상승에 직면할 수 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fd0be6fdb4a3798e76ae536c7bc54658e68ee8e92d20da6ddbae86b2ef051c1a" dmcf-pid="11aTpBkPaG" dmcf-ptype="general">장경윤 기자(jkyoon@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곽도원, 복귀무대 불발…캐스팅 싹 물갈이, 극단측 “제작사 사정?” 09-04 다음 다니엘, 고향서 열린 마라톤 26위…활동 중단에도 빛난 도전 09-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