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과학기술 혁신"…정부, 바이오·원자력 등 전략 기술별 특화 AI모델 개발 작성일 09-04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AI for S&T 전문가 간담회 개최<br>산학연 전문가 TF 신설…향후 AI for S&T 국가전략 수립</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mnuDIKGHb">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c19847e2793296730d63e5bcdf8a0d2e46525be8535ffd5d78f374653aa5255" dmcf-pid="bOozrh2XH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뉴시스] 제약바이오 산업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사진은 '보건산업정책연구 PERSPECTIV' 내 삽입된 이미지. (사진=보건산업정책연구 보고서 갈무리) 2025.07.2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4/newsis/20250904120225472jeke.jpg" data-org-width="720" dmcf-mid="qLkVlYQ05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4/newsis/20250904120225472jek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뉴시스] 제약바이오 산업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사진은 '보건산업정책연구 PERSPECTIV' 내 삽입된 이미지. (사진=보건산업정책연구 보고서 갈무리) 2025.07.2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7a0fa853514a0c83d34aea60b5239271f5414b4354b824d9e2702e21092434a" dmcf-pid="KIgqmlVZHq" dmcf-ptype="general">[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정부가 바이오, 반도체, 원자력 등 국가전략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한 연구개발 혁신 방안 모색에 나섰다. 연구개발에 AI를 접목해 신약 개발이나 반도체·원자로 설계의 효율을 높여간다는 목표다.</p> <p contents-hash="759615e962f0db5ad536953fe3c4caa13f946ab9f68b59836f0b9ab620fc063a" dmcf-pid="9CaBsSf5Yz" dmcf-ptype="general">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4일 대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AI for S&T(사이언스&테크놀로지)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p> <p contents-hash="00d37e6cb2a32fb733030743880138563092c1489df6a1240aee499426b441ac" dmcf-pid="2hNbOv41t7" dmcf-ptype="general">이번 간담회에는 바이오, 반도체, 원자력, 에너지 등 국가 전략분야의 정부출연연구기관과 과학기술원 전문가들이 참석해 AI를 활용한 과학기술 연구개발 혁신을 위한 정부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p> <p contents-hash="6cd6e9b97e397b0e6aef0f501b5210be9d1e09ace8e516f53587e719cb1dca25" dmcf-pid="VljKIT8tYu" dmcf-ptype="general">배 장관은 모두발언을 통해 "AI는 과학기술 연구 방식을 혁신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라며 "AI가 실질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AI와 과학기술의 융합을 통해 세계를 선도할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산업을 혁신할 때 가능하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5ad99fc771840bf51945ea0afae9d755e194c740eaa4987bfd93dffbd891de5c" dmcf-pid="fSA9Cy6FHU" dmcf-ptype="general">참석자들은 연구개발 과정에 AI를 활용함으로써 ▲바이오 신약 개발 가속화 ▲반도체 설계 최적화 ▲원자로 설계 및 안전성 강화 ▲에너지 신기술 개발 촉진 등 다양한 활용 사례를 공유하며 연구개발의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과학적 난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p> <p contents-hash="150e35b2a80c958643227ca0e1e158fba5fc04fa4051f9974afbd8daf0af7dd1" dmcf-pid="4vc2hWP3Gp" dmcf-ptype="general">특히 이번 간담회에서는 출연연과 과기원의 정책 방향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이뤄졌다. </p> <p contents-hash="c5a40d209c7b30d857f76ffeab3db84702a5cec51bf526d88cfc4acc1ecc476a" dmcf-pid="8TkVlYQ0Y0" dmcf-ptype="general">참석자들은 출연연과 과기원이 AI 기반 융합연구의 허브 역할을 강화하고, 산학연 협력 플랫폼을 제공하며, 데이터·인프라 개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정책 정비를 통해 연구성과가 사회적·산업적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p> <p contents-hash="a6222f9a00757255cf1b43f20d654e0b39d6af479a5654d6c1000f4e38fa1fcc" dmcf-pid="6yEfSGxpZ3"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이번 논의를 계기로, 구혁채 1차관 주재 AI for S&T 산학연 전문가 TF를 신설·운영할 계획이다. TF는 출연연, 과기원, 대학, 산업계 전문가가 함께 참여해 ▲도메인별 특화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로드맵 마련 ▲공동 활용 가능한 데이터·인프라 체계 구축 ▲연구 전주기 자율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기반 마련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게 된다.</p> <p contents-hash="264fc646b8dd0c133a0af2818826eb805dc7ae7011b95d03708a8f839e2722e2" dmcf-pid="PWD4vHMUXF" dmcf-ptype="general">TF 운영 결과를 토대로 과기정통부는 AI for S&T 국가전략을 수립해 체계적으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가 AI 기반 과학기술 혁신의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중장기 비전과 실행계획을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p> <p contents-hash="733f2e07a3e53da792b6569915c5ac7364350cabbc861551eb65c8f71d6209d8" dmcf-pid="QYw8TXRuXt" dmcf-ptype="general">배 장관은 "오늘 간담회에서 제시된 전문가 여러분의 고견은 앞으로 정책을 수립하는 데 큰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AI for S&T를 국가 과학기술 혁신전략의 핵심 축으로 삼아 출연연과 과기원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연구개발 성과가 실질적인 사회적·산업적 가치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09552e9f47f41b94bca125dc1de366c73e24cbe85ab661928b42bcbd73c7812a" dmcf-pid="xGr6yZe7t1"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앞으로도 산학연 전문가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AI가 우리나라의 미래를 책임질 과학기술 혁신의 핵심 동력이 될 수 있도록 정책적 역량을 집중해 나갈 계획이다.</p> <p contents-hash="3e625ba5939cd4e17223e26bd541bd498b30d2ebbebfbedd4560fdfb694ec182" dmcf-pid="yebSxiGkY5"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hsyhs@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박수홍♥김다예 딸, 협찬 쏟아진다더니..애니메이션 주인공도 섭렵 "어디서 봤는데" 09-04 다음 변우석, '유재석 캠프' 합류 …"민박집 직원으로, 웃음 전파" 09-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