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 혁신에 AI 적용한다 작성일 09-04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과기정통부, ‘AI for S&T 국가전략’ 본격 착수</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trHnjFOh0"> <p contents-hash="754f04e9c849bafd1f8af6af4ea76630e9390007401be8ecc59ad03b7a9c88de" dmcf-pid="3gKJ1UaVT3" dmcf-ptype="general">[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바이오·반도체·원자력·에너지 등 강점 연구개발(R&D) 분야 연구혁신을 위해서는 AI가 필요하다.”</p> <p contents-hash="a1547689e1e7ff20fcc522392afeb22b599e87e6a5010398a21c6166d0e16633" dmcf-pid="0a9ituNfWF" dmcf-ptype="general">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4일 대전에 있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원장 이창근)에서 AI for S&T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p> <p contents-hash="8e46b08beebcbb74eb1aa71dc2bcae07202402fc06102d98deb138b3b23cac5b" dmcf-pid="pN2nF7j4yt" dmcf-ptype="general">이번 간담회에는 바이오, 반도체, 원자력, 에너지 등 국가 전략 분야의 정부출연연구기관, 과학기술원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AI를 활용한 과학기술 연구개발 혁신을 위한 정부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84f5877cf500a391814f9285f5a6c380133185d119a7b40d0056089735ccf87" dmcf-pid="UjVL3zA8S1"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4/inews24/20250904120147656kzab.jpg" data-org-width="580" dmcf-mid="tFh5gkphy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4/inews24/20250904120147656kza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20037b7d4a8025f10af60d7004182fbaf3949fea3337afbcb63725df5dcb5ca" dmcf-pid="uAfo0qc6S5" dmcf-ptype="general">배경훈 장관은 모두발언을 통해 “AI는 과학기술 연구 방식을 혁신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라며 “AI가 실질적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AI와 과학기술의 융합을 통해 세계를 선도할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산업을 혁신할 때 가능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c142b1ebdfdcb3ef99e15a8f81ff33ea3c1e7b78222174f8244b78e4341ae435" dmcf-pid="7c4gpBkPyZ" dmcf-ptype="general">참석자들은 연구개발 과정에 AI를 활용함으로써 △바이오 신약 개발 가속화 △반도체 설계 최적화 △원자로 설계와 안전성 강화 △에너지 신기술 개발 촉진 등 다양한 활용 사례를 공유하며 연구개발의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과학적 난제 해결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p> <p contents-hash="b3342d2d98032be9813b841a486bb159879b8c1bef737d0abdccb4fb45bbcda7" dmcf-pid="zk8aUbEQCX" dmcf-ptype="general">이번 간담회에서는 출연연과 과기원의 정책 방향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이뤄졌다. 참석자들은 출연연과 과기원이 △AI 기반 융합연구의 허브 역할을 강화하고 △산학연 협력 플랫폼을 제공하며 △데이터·인프라 개방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p> <p contents-hash="a1c9141b21a75f43e80290302c077dbf550dec4153ff9bca757060a4ae7c5ce8" dmcf-pid="qE6NuKDxCH" dmcf-ptype="general">이를 통해 연구성과가 사회적·산업적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p> <p contents-hash="55c96b2f305cd2dc9ff95cbc835bd4382f1c36b4121a1d20d11a59faac4f0936" dmcf-pid="BHcTRLXDhG"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이번 논의를 계기로 구혁채 1차관 주재 ‘AI for S&T 산학연 전문가 TF’를 신설·운영할 계획이다. TF는 출연연, 과기원, 대학, 산업계 전문가가 함께 참여해 △도메인별 특화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로드맵 마련 △공동 활용 가능한 데이터·인프라 체계 구축 △연구 전주기 자율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기반 마련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게 된다.</p> <p contents-hash="b587158e1d0a84d2b23e14c72ebdf69c4fbd3a6ffb43c566fcd693a9e8b060ff" dmcf-pid="bXkyeoZwyY" dmcf-ptype="general">TF 운영 결과를 토대로 과기정통부는 ‘AI for S&T 국가전략’을 수립해 체계적으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가 AI 기반 과학기술 혁신의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중장기 비전과 실행계획을 구체화한다는 방침이다.</p> <p contents-hash="5fe3d7e7fab4e980639a2455a915747fd4d496c6a856511c1f828a90d800767d" dmcf-pid="KZEWdg5rSW" dmcf-ptype="general">배 장관은 “오늘 간담회에서 제시된 전문가 여러분의 고견은 앞으로 정책을 수립하는 데 큰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AI for S&T를 국가 과학기술 혁신전략의 핵심 축으로 삼아 출연연과 과기원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연구개발 성과가 실질적 사회적·산업적 가치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p> <address contents-hash="7058c61e118e5176cb3007679b19a1874536fd5ca4d0cee603c3b11852ab2bed" dmcf-pid="95DYJa1mTy" dmcf-ptype="general">/정종오 기자<span>(ikokid@inews24.com)</span> </address>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원안위 내년 예산안 157억 증액…상시검사 확대·해외직구 방사능감시 09-04 다음 “석·박사급 AI도 반도체 도면 판독 못해…산업 특화 AI로 초생산성 시대 열겠다” 09-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