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쿠폰' 미끼문자 주의보…링크 잘못 누르면 돈 털린다 작성일 09-04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방통위, 악성스팸 피해 주의보 발령…출처 불분명 문자 주의해야<br>URL 누르면 개인·금융정보 탈취…무단 송금 등 추가 피해 우려</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KEJHG2rRXY">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4b70ce637c7fdf80453f3e1a802fae138e69d4e8431c388a11f4a3eeff70a70" dmcf-pid="9DiXHVme1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뉴시스] 방송통신위원회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악용해 불법도박 사이트 등의 인터넷주소를 눌러 확인하도록 유도하는 악성스팸 피해 주의보를 발령했다. (사진=챗GPT 이미지)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4/newsis/20250904104317214putt.jpg" data-org-width="720" dmcf-mid="bikuUeyjZ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4/newsis/20250904104317214put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뉴시스] 방송통신위원회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악용해 불법도박 사이트 등의 인터넷주소를 눌러 확인하도록 유도하는 악성스팸 피해 주의보를 발령했다. (사진=챗GPT 이미지)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0e1f552078dca690e27b2a4e9d5109ea7b76d34f66c8c8d3302f9fec90e1264" dmcf-pid="2wnZXfsdGy" dmcf-ptype="general"><br> [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이달 중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을 앞두고 관련 내용을 사칭해 불법도박 사이트 등으로 유도하는 미끼문자에 대한 이용자 주의가 요구된다.</p> <p contents-hash="ef7440f5ace2e352f4e2e869a356aace50c2473ae5ab0ae3872c3289068a4426" dmcf-pid="VrL5Z4OJYT" dmcf-ptype="general">방송통신위원회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악용해 불법도박 사이트 등의 인터넷주소를 눌러 확인하도록 유도하는 악성스팸 피해 주의보를 4일 발령했다.</p> <p contents-hash="e8bf743d55841cc467cc7cdcff4a7be25ca6a7e117ebecd1f44bf5addefb71a7" dmcf-pid="fmo158Ii5v" dmcf-ptype="general">방통위는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에 포함된 인터넷주소(URL)는 누르지 않고 전화를 받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다.</p> <p contents-hash="02173060a06b11fca699d297b230b237baafb905b3ac337625dfa9f60e0c0a3a" dmcf-pid="4sgt16Cn5S" dmcf-ptype="general">확인되지 않은 상대방이 보낸 문자에 포함된 URL을 눌러 정부기관 등을 위장한 가짜 사이트에 접속하게 되면 개인정보·금융정보 탈취를 위한 프로그램과 앱이 설치돼 무단 송금 및 휴대폰 원격 제어 등의 추가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p> <p contents-hash="06d39bbe0c6e9b9d7e1f129ef99b1aa948d0ad2acf41e20da109fad72e44eb1c" dmcf-pid="8Cj03xSgGl" dmcf-ptype="general">방통위는 또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을 악용한 불법스팸에 대응하기 위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카카오와 협력해 이용자에게 주의 문자를 순차적으로 발송하고 있다. 아울러 이통3사와 삼성전자 등 단말기 제조사에 지능형 스팸 걸러내기(필터링) 강화도 요청했다.</p> <p contents-hash="5c35d379d6f5340ecd3e095541154c110ab5cdd324d021d03497749d0ce3e3e1" dmcf-pid="6hAp0MvaYh" dmcf-ptype="general">출처가 불분명하고 URL을 포함하고 있는 문자는 카카오톡 ‘보호나라’ 채널을 실행한 후 해당 문자를 복사·붙여넣기 해 정상 문자인지 여부를 우선 확인하면 피해를 막을 수 있다.</p> <p contents-hash="6d310427621f75d1f7fb9e1397ddcd2bddf2bf8bbb0186818a691e1c06f50ee3" dmcf-pid="PlcUpRTNXC" dmcf-ptype="general">또한 불법스팸을 받은 경우 해당 문자와 전자메일 등을 불법스팸 간편신고 앱과 휴대전화 간편신고 등을 통해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신고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1c6784711ff3d0c672234f323f06d97e26dac42a49cdf37b31cc7451b34cfbcb" dmcf-pid="QSkuUeyjtI" dmcf-ptype="general">방통위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이용자가 신고한 스팸의 불법 여부를 확인하고 통신사업자, 삼성전자 등 단말기 제조사와 협력해 즉시 차단 조치를 취하고 있다. 또 해당 데이터를 경찰청, 금융위 등과 공유해 금융사기 문자(피싱·스미싱) 등 이용자 피해 확산 방지에 활용한다.</p> <p contents-hash="0750ed950e3fdb5281c4b17418307778179a0e8522ca88277813d5aec68343ec" dmcf-pid="xvE7udWA5O"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siming@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결혼 압박’에서 ‘돌싱포맨’까지…김대호가 밝힌 리얼 토크 09-04 다음 iii, '리얼 아이아이아이'에 담긴 '특별한 세계관' [일문일답] 09-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