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성 미결론'인데 '메탄 재사용 발사체'로 방향 트는 최상위 우주개발계획 작성일 09-03 1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일각에선 2032년 달착륙선 발사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zZUyXRuLN">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7bcf32138c63f576c7c197e1a63a85ee33a9735d11de5c09ea5c67b8bab2010" dmcf-pid="5Pq40zA8n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우주청은 3일 대전 IBS 과학문화센터에서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수정계획 공청회'를 개최하고 기본계획 수정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우주청 유튜브 캡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dongascience/20250903174944032numr.jpg" data-org-width="680" dmcf-mid="XJSXslVZL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dongascience/20250903174944032num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우주청은 3일 대전 IBS 과학문화센터에서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수정계획 공청회'를 개최하고 기본계획 수정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우주청 유튜브 캡처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1f1b5a1842b42adc9058bbb81f96792b23b6ec5e43d48bafa7cfb789d6854be" dmcf-pid="1QB8pqc6Mg" dmcf-ptype="general">우주항공청(우주청)이 국가 우주 개발의 최상위 계획인 ‘제4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기본계획)’ 수정에 본격 착수했다. 골자는 우주청이 사업 계획 변경을 통해 추진 중인 '메탄 기반 재사용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기본계획에 넣겠다는 것이다.</p> <p contents-hash="69262ffd4d39624e759d14b7c8ff1d1bd69a74f9171e605cd370446743a5a26b" dmcf-pid="txb6UBkPJo" dmcf-ptype="general">우주청은 3일 대전 기초과학연구원(IBS) 과학문화센터에서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수정계획 공청회'를 개최하고 기본계획 수정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우주청은 뉴스페이스 시대 우주수송서비스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제4차 기본계획이 3년차에 접어들며 대표적 첨단 기술분야인 우주개발을 둘러싸고 급변하는 환경에 발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p> <p contents-hash="8db0efd7b6244c31224e11a1cfe215da9d1b812bc9819283dc7d1167170bdac8" dmcf-pid="FMKPubEQRL" dmcf-ptype="general">먼저 기본계획에는 메탄 기반 재사용 차세대 발사체 개발에 주력한다는 내용이 담긴다. 박순영 우주청 재사용발사체 프로그램장은 "기존 계획에서는 통신·항법위성 등 위성 공공 수요가 연 50회 정도로 추산됐다"며 "하지만 새로운 사업 등으로 예상 수송 물량이 더 많아지면서 2030년대 중후반에는 연간 100회 가량 우주 수송을 공공부문에서 맡아야 할 것이다"며 우주 수송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재사용 발사체 개발이 필수라고 설명했다. </p> <p contents-hash="0039dfd2ea3b3e5e8ab696764081e535347a5ca6b4981110e9c97cdcc91e4d27" dmcf-pid="3R9Q7KDxdn" dmcf-ptype="general">허환일 충남대 교수는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이 계획 변경을 위해 기획재정부의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심사를 받고 있다"며 "심사가 잘 이뤄지려면 기본계획 같은 상위계획과의 부합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기본계획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아직 계획 변경이 확정되지 않아 결과에 따라 기본계획을 또 수정해야 하는 부담이 발생할 개연성이 있는 지적이다. </p> <p contents-hash="5586f359bc0fe2ef19fc7c95ebe4754e36dc2c8d43e1a26dacec8ac83d8dd6a4" dmcf-pid="0e2xz9wMni" dmcf-ptype="general">현장에서는 메탄 기반 재사용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두고 다양한 우려 의견도 나왔다. 한 공청회 참가자는 "메탄을 이용하면 차세대 발사체를 이용한 2032년 달착륙선 발사가 현실적으로 가능한 일인가"를 질문했다.</p> <p contents-hash="865066fd72dcdb47d408133655f308af4e27c18cc76a81a0b00cc4b45bc0cb2d" dmcf-pid="pdVMq2rRMJ" dmcf-ptype="general">박 프로그램장은 "큰 예산을 들이지 않고 기존 가스발생기사이클 적용 로켓을 이용해 메탄을 전환해 2033년까지 차세대 발사체 조기 개발을 목표로 제시하는 인도의 사례를 참고해 한국도 2032년 달착륙선 발사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130e741bed5044d83a9e3c3f6ac878250518ecddc8a31abda8e952a68f6f6c22" dmcf-pid="UJfRBVmeLd" dmcf-ptype="general">이날 우주청이 마련한 기본계획안이 분야별로 내용의 균형이 맞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다. 허 교수는 "수송 부문만 변경 계획이 자세하다"며 "분야별로 변경 내용이 균형을 이뤄야 다음 기본계획을 마련할 때 비슷하게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고 조언했다. </p> <p contents-hash="c45b84703588ea1b649144a8e033be5d279bb19a0b9096940aaeece57792f414" dmcf-pid="ui4ebfsdJe" dmcf-ptype="general">우주청은 우주개발 산업을 촉진하기 위한 법·제도 마련 전담기구인 ‘우주항공산업진흥원’ 설립을 추진한다는 내용도 기본계획에 넣을 계획이다.</p> <p contents-hash="42c35ae9f8fd864172ee3f5393ae93dae02e9e710bfc732226f2dc4b548384e6" dmcf-pid="7n8dK4OJRR" dmcf-ptype="general">곽신웅 국민대 교수는 "기존 기본계획에 ‘우주개발진흥원’을 설립해서 정책개발과 사업의 기획·관리를 한다고 적혀 있다"며 "우주항공산업진흥원은 사업의 기획·관리 기능은 빠져 있어 다른 부처처럼 사업의 기획·관리를 전문기관에 맡기는 것이 아니라 우주청이 직접 하면 다부처 사업을 할 때 우주청이 힘을 받기 어렵다"고 했다. <br> </p> <p contents-hash="d0997e651114abda56f861edb121cb487f39ff2b9840c179c81c443e3ec638be" dmcf-pid="zL6J98IieM" dmcf-ptype="general">[이채린 기자 rini113@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지방소멸 막을 해법, AI에 있다"…정부·지자체 머리 맞댄다 09-03 다음 추억이 부활했는데, 평가도 좋다. 닌자가이덴, 시노비 신작에 아저씨들 환호 09-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