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대전 로봇밸리 조성 '글로벌 유니콘 로봇기업 키운다' 작성일 09-03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RuOhy6Fgs">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8ee49de47df69340de545b4b06222836542c086d181824163c3d0b868288fc5" dmcf-pid="te7IlWP3A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AIST 대전 로봇밸리 조성을 위해 3일 열린 '2025년 딥테크 스케일업 밸리 육성사업' 킥오프 미팅 현장 모습. 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fnnewsi/20250903165825609gvqr.jpg" data-org-width="800" dmcf-mid="5iYgjDuSc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fnnewsi/20250903165825609gvq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AIST 대전 로봇밸리 조성을 위해 3일 열린 '2025년 딥테크 스케일업 밸리 육성사업' 킥오프 미팅 현장 모습. 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6f3828983046ff536e1baef0fd885e45829b88ff00a765ee8d1aad6b5b541c9c" dmcf-pid="FdzCSYQ0kr" dmcf-ptype="general"> <br>[파이낸셜뉴스] KAIST(한국과학기술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 추진하는 ‘2025년 딥테크 스케일업 밸리 육성사업’에 최종 선정돼 ‘로봇 밸리(Robot Valley)’ 조성에 나선다. </div> <p contents-hash="2f61f26c3dc056c27de413256e53b606746042a0becf2acf78f892892a95edce" dmcf-pid="3JqhvGxpow" dmcf-ptype="general">KAIST는 3일 KAIST 기계공학과에서 ‘2025년 딥테크 스케일업 밸리 육성사업’의 공식 출범을 알리는 킥오프 미팅(Kick-off Meeting)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KAIST는 3년 6개월간 총 136억5000만 원 규모의 사업비를 확보했다. KAIST는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혁신 로봇기업을 집중 육성하고, 대전을 글로벌 로봇산업 거점 도시로 발전시키는데 주력한다. </p> <p contents-hash="84d867d8d0d90745e9a22304e7e2eb06b6e65717d9294868482c141eb32ff911" dmcf-pid="0iBlTHMUjD" dmcf-ptype="general">특히 대전이 보유한 우수한 연구인력, 창업 및 투자 생태계를 상호 연계해 지역 활성화 모델을 창출하고, 로봇산업을 미래형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 </p> <p contents-hash="23681be850031c2255cef1214c38922c6201cacc1d59372f66c91fca66e5acad" dmcf-pid="pqyLakphcE" dmcf-ptype="general">KAIST가 추진하는‘인간친화형 로봇(Human-Friendly Robot, HFR)’은 단순 자동화 기계를 넘어 인간과 공간·역할·감정을 공유하는 협력적 동반자를 지향한다는 설명이다. </p> <p contents-hash="66c7d29b7abc1642f65dbd16964cb065c59dd6dca0ee7db1d9360c2a28db62c9" dmcf-pid="UBWoNEUlAk" dmcf-ptype="general">이번 사업에서는 로봇 기술의 사업화 촉진, 창업 생태계 지원, 글로벌 기술경쟁력 확보, 로봇 상용화 플랫폼 개발 등 단계별 전략을 추진하며, 기술개발 → 창업 및 투자 성장→ 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예정이다. </p> <p contents-hash="8b29cb9c7945672e866ddd33322d12ad39d627132d31d38d769e590d7e563cba" dmcf-pid="ubYgjDuSac" dmcf-ptype="general">이번 사업은 기존 창업지원·스케일업 사업과 달리, 개별 기업 지원을 넘어 로봇산업 전체의 동반 성장을 목표로 한다. KAIST와 엔젤로보틱스, 유로보틱스 등 로봇 분야 선도 기업들이 구동기, 회로, 인공지능, 표준 데이터 등 공통 요소기술을 오픈 이노베이션 형태로 공유하고, 스타트업은 이를 바탕으로 고객 수요에 맞춘 로봇 제품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p> <p contents-hash="c8e19a495b716de68f4c39c1d4f0d72ffd737076b2cc3f41cad1a960bdf8cff4" dmcf-pid="7KGaAw7vNA" dmcf-ptype="general">이번 과제에는 과제책임자 기계공학과 김정 교수(한국로봇학회 회장)를 비롯해,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휴먼 증강 센서 연구),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세계 로봇학회 IEEE ICRA에서 개최된 사족로봇 자율보행 경진대회인 QRC 2023 우승), 기계공학과 공경철 교수(사이보그 올림픽인 사이배슬론 국제대회 2연패, 엔젤로보틱스 창업), 산업디자인학과 배석형 교수(세계 컴퓨터 그래픽스·인터랙션 학회 ACM SIGGRAPH 로봇 스케치 경진대회 우승) 등 KAIST 로봇 분야의 핵심 연구진이 대거 참여한다. </p> <p contents-hash="f232a421934f5960bcb9f0d956b0528a4f55d5a328a25d6aeada972abbaa8258" dmcf-pid="z9HNcrzToj" dmcf-ptype="general">또 이번 과제를 기획한 KAIST 기술가치창출원을 비롯해 KAIST 홀딩스, 글로벌 테크노밸리 랩(GTLAB),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가 기술사업화 및 밸리 구축을 담당하고, 상용화를 전방위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대전테크노파크가 참여한다.</p> <p contents-hash="6f6ae4cc721cbb12dfb8c9689a706368e760aa9c2b21d09bd13d95c21b61620f" dmcf-pid="q2XjkmqycN" dmcf-ptype="general">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아들 낳고파”…‘딸 둘 맘’윤진이, 셋째 원하는 남편에 질색 09-03 다음 세계 한 대뿐인 5000억 반도체 장비, SK하이닉스가 끌어안았다 09-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