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꽃처럼 격렬하던 사랑의 흔적 담은 이 영화의 매력 작성일 09-03 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리뷰] 영화 <너는 나를 불태워></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OWf98Ii0k"> <p contents-hash="7d8e43f91e9ea705cb6fa4372e9bcc9bfc5c65bb20a1b861fb18eb7628967aa1" dmcf-pid="bIY426Cn3c" dmcf-ptype="general">[김승기 기자]</p> <p contents-hash="32545578c18b77362d80377c69e382183a582d1cfa0db2b7a23fa3c2e5836428" dmcf-pid="KCG8VPhLuA" dmcf-ptype="general">(* 이 글은 영화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f8758d5e7aa55e281d238ff29c2addc528de6cd2d2155e5d5202898ca3b3b5bc" dmcf-pid="9hH6fQloUj" dmcf-ptype="general">영화는 불을 지피듯 관객을 당혹스럽게 만든다. 이야기를 따라가려 하면 각주가 끼어들고, 익숙한 번역 문장이 조각나면서 이미지와 결합한다.</p> <p contents-hash="bffb7ad6cf983c540a82c146364363e7c39902275d6fa75d8997ab8c89a47f7d" dmcf-pid="2lXP4xSgFN" dmcf-ptype="general">마티아스 피녜이로 감독의 <너는 나를 불태워> (Tú me abrasas, 2024)는 2024년 베를린국제영화제와 전주국제영화제를 거쳐 2025년 8월 27일 국내 개봉했다. 첫인상은 단순하다. 실험적이다. 그러나 그 실험은 언어와 사랑, 신화와 번역을 둘러싼 질문으로 이어진다. 고대 시인 사포와 20세기 작가 체사레 파베세의 목소리가 오늘의 스크린 위에서 다시 살아나, 관객에게 사랑과 고독을 묻는다.</p> <div contents-hash="cfce1f0e5ae92e85aad15730e9a4dc88bf7a9fccc8def4c4bec13804b93ed7e0" dmcf-pid="VSZQ8Mva7a" dmcf-ptype="general"> <strong>사포, 파편 속에서 살아남은 목소리</strong>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38021992c7401ca1ef2f5a086248f5865b1694425e52851475eaee5e4315f103" dmcf-pid="fhH6fQlopg"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ohmynews/20250903160001678llmz.jpg" data-org-width="1280" dmcf-mid="um1hOSf53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ohmynews/20250903160001678llmz.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너는 나를 불태워》에 나온 사포의 모습.</td> </tr> <tr> <td align="left">ⓒ 시네마토그래프</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07ed6f9c4061f6e7995e37eebdb5bc9d5d9987e3e0b7a36567ee13dd72f8ac75" dmcf-pid="4lXP4xSg3o" dmcf-ptype="general"> 기원전 7세기 레스보스 섬에서 태어난 고대 그리스 시인 사포는 서양 문학사에서 가장 오래된 여성 시인의 목소리다. 그녀는 여성의 사랑과 욕망을 노래했으며, 후대에는 '제10의 뮤즈'라 불렸다. '레즈비언(lesbian)'이라는 단어가 원래 지명에서 여성 동성애의 의미로 확장된 것도 사포의 시와 무관하지 않다. </div> <p contents-hash="f710d5709d623bd27dbc783fd999492478c749a696a803e2fdc547037d1aacbe" dmcf-pid="8SZQ8MvauL" dmcf-ptype="general">오늘날 전해지는 시편은 파피루스 조각이나 인용 속 파편뿐이다. 그러나 그 단편들 속에서도 사랑의 황홀과 상실의 고통이 강렬히 드러난다. 영화는 사포가 바다 위에서 님프 브리토마르티스와 대화하는 장면을 차용한다. 실연의 고통과 추격의 두려움이 파도와 거품 사이에서 교차하며, 사포의 목소리는 2500년을 넘어 현재의 관객 앞에 다시 살아난다.</p> <div contents-hash="b975b3c9e45d65a131b1e7511a0efdfb7b9b7fbfd0f76a1ca6ee611892663926" dmcf-pid="6v5x6RTNFn" dmcf-ptype="general"> <strong>파베세, 신화와 고독을 기록하다</strong>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bc1c4200c61f3165422c6f38716808bcc08e6feb97e6f6dc2250401a57b6bcc6" dmcf-pid="PT1MPeyj7i"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ohmynews/20250903160003043wcez.jpg" data-org-width="1280" dmcf-mid="7cqaLjFO3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ohmynews/20250903160003043wcez.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너는 나를 불태워》에 나온 체사레 파베세의 사진.</td> </tr> <tr> <td align="left">ⓒ 시네마토그래프</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e0e0665cd88e6af694fbe78e4899d7a48ed0d2f790a2c2d410081265d4060ed3" dmcf-pid="QytRQdWAzJ" dmcf-ptype="general"> <너는 나를 불태워>는 이탈리아 작가 체사레 파베세(1908~1950)의 <레우코와의 대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 파베세는 미국 문학을 번역하면서 동시에 소설가·시인으로 활동했다. <달과 모닥불>은 전후 사회의 상실을 다뤘고, <레우코와의 대화>(1947)는 신화적 인물들이 나누는 짧은 대화를 통해 인간 존재의 덧없음을 탐구했다. </div> <p contents-hash="fd8e259fa6d41cb8141666fe09c0294f2d2a10d194f733e0bc8831d775c27095" dmcf-pid="xWFexJYcpd" dmcf-ptype="general">그러나 그는 종전 후에도 좌절과 고립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1950년 8월, 로마의 한 호텔 방에서 생을 마감했는데, 그의 머리맡에는 <레우코와의 대화>가 놓여 있었다. 거기엔 다음과 같은 짧은 문장이 적혀 있었다.</p> <blockquote class="talkquote_frm" contents-hash="de984b366dcd58538cf025de85203d701b4809d5e86c209c114993b35721eb5a" dmcf-pid="yMgGyXRuue" dmcf-ptype="blockquote2"> "나는 모든 사람을 용서하고 <br>모든 사람에게 용서를 구한다. <br>됐지? 너무 떠들지 말기를." </blockquote> <div contents-hash="622cb690adba7ecfbd26baac7122876c2c28905039647f7c2cc69d6b64cb43b3" dmcf-pid="Wic1XFnb7R" dmcf-ptype="general"> <br>이 간결한 문장은 그의 고독을 그대로 담아내는 동시에, 자신과 타인, 세상을 향한 마지막 요청으로 읽힌다. </div> <p contents-hash="673f08864a4a72f00dc875fcc7e40745aa1aad6bcbb08fb7beadf0b42fdf038c" dmcf-pid="YnktZ3LK0M" dmcf-ptype="general">마티아스 피녜이로는 아르헨티나 출신 감독으로, <로잘린>, <비올라>, <프린세스 오브 프랑스>, <허미아와 헬레나>, <이사벨라>, <시코락스>에 이르는 '셰익스피어 연작'으로 주목받았다. 고전을 충실히 재현하기보다는 언어의 리듬과 파편을 이미지로 옮기는 실험을 이어온 것이다.</p> <p contents-hash="8e6e3d0e42e58ec218895b9747152739f3f96e5e575a6ec007e4f571b7bc1359" dmcf-pid="GLEF50o90x" dmcf-ptype="general">신작 <너는 나를 불태워>는 셰익스피어 대신 파베세와 사포를 호출해, 언어가 스크린 위에서 타오르고 흔적을 남기는 과정을 보여준다. 화면 구석에 등장하는 각주는 단순한 해설이 아니라 관객에게 "영화를 읽고 있다"는 감각을 환기시킨다.</p> <p contents-hash="4cf17c4d2e9b0817811a579be5fbe147e8f6296548fa5a03d72c9d1f0b577668" dmcf-pid="HoD31pg20Q" dmcf-ptype="general">"너는 / 나를 / 불태워"라는 문장이 어절 단위로 쪼개져 이미지와 결합할 때, 언어와 영상은 서로 충돌하며 긴장을 만든다. 언어는 불꽃처럼 타오르고, 이미지는 그 불꽃에 휩싸여 변형된다.</p> <div contents-hash="3dc8e42ad73bc58fd74a216884e5e3b076a34034bf3e367011e702e2828f15f2" dmcf-pid="Xgw0tUaV3P" dmcf-ptype="general"> <strong>사랑은 불태움에서 애태움으로</strong>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f633d1b2c87f1c369344a7f2d7d9ad41c52e3a2060245269f8b90a82443f991b" dmcf-pid="ZarpFuNfz6"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ohmynews/20250903160004417zdqs.jpg" data-org-width="1280" dmcf-mid="q7qaLjFOF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ohmynews/20250903160004417zdqs.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너는 나를 불태워》의 마지막 장면. "너는 나를 애태워"라는 문장이다.</td> </tr> <tr> <td align="left">ⓒ 시네마토그래프</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4787f70beb5bbae8fef6ac13bdf1c1363ba7d1c87ca5ae6cc0961ff3d302128e" dmcf-pid="5NmU37j478" dmcf-ptype="general"> 이 영화는 아르헨티나, 미국, 그리스, 스페인 등지에서 촬영된 파편적 풍경을 이어 붙여 다국적 감각을 자아낸다. 16mm 필름의 시적 질감은 바다의 흔들림, 햇빛의 번짐, 거품의 소멸을 세밀하게 포착한다. </div> <p contents-hash="fb173e258f08d2e08ec24b688d7ec563a95c19fbaffe128fe7c836059f541e4b" dmcf-pid="1jsu0zA8U4" dmcf-ptype="general"><너는 나를 불태워>의 러닝타임은 64분. 줄거리를 좇는 대신 언어와 각주, 이미지의 실험을 이어가기 때문에 난해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바로 그 불편함 속에서 영화의 울림이 살아난다. 사포의 시가 파편으로만 전해지듯, 영화 역시 파편적 이미지와 언어로 사랑과 고독을 말한다.</p> <p contents-hash="8b96850b546439a7daac453a6c3f791ee2b0be8937a50d117ff40204a8763d90" dmcf-pid="tB6mDObYUf" dmcf-ptype="general">영화는 마지막에 "너는 나를 애태워"라는 문장을 남긴다. 불태움으로 시작된 언어가 결국 애태움으로 바뀌어 돌아온다. 불꽃처럼 격렬히 타올랐던 사랑은 마음속에 잔열처럼 남아, 오래도록 가슴을 조이는 기다림과 그리움으로 이어진다.</p> <p contents-hash="12f14dd7d54590d200a2b8c7d96509724f2bcd79fff600a8909e9d06454dfb8d" dmcf-pid="FbPswIKGUV" dmcf-ptype="general"><너는 나를 불태워>는 쉽지 않은 영화다. 그러나 언어와 이미지, 신화와 번역이 서로를 불태우며 만들어낸 긴장은 독창적이다. 사포의 파편적 목소리와 파베세의 고독한 생애가 스크린 위에서 만날 때, 관객은 단순한 신화를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 우리에게 여전히 유효한 질문을 받는다.</p> <p contents-hash="3047d492df2e6a9852defe02a05a71f93346d93e8cd7232c7ec25a44d29ac7da" dmcf-pid="3KQOrC9H72" dmcf-ptype="general">불태움과 애태움 사이에서, 우리는 사랑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혼' 윤민수, 전처와 동거→여행까지 떠났다…윤후도 신났네 [RE:스타] 09-03 다음 K팝 드라마 '네뷸라', 日서도 방영 시작…임나영·큐리 연기 '호평' 09-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