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정재웅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작성일 09-03 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체온에 반응하는 가변강성 주사바늘 개발<br>환자·의료진 안전성 강화 기여</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Laedv41sg"> <p contents-hash="61f6ee1ba61783de40902be10d0558efb01442239d6403b96e912a5bf7600186" dmcf-pid="qoNdJT8two"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홍원화)은 9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정재웅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p> <figure class="s_img 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64d07cc2553640b6ac486a95d6c2d74a0756a5286f99154f3892bbfea985010" dmcf-pid="B7B30iGkr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정재웅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Edaily/20250903120255256gndo.jpg" data-org-width="155" dmcf-mid="H9medv41m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Edaily/20250903120255256gndo.jpg" width="155"></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정재웅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bb2cf0848969db9d2304b0fa28f25da634d7658b9fbf6c06a1ec9c1fe614870a" dmcf-pid="bzb0pnHEIn" dmcf-ptype="general">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최근 3년간 독보적인 연구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연구자를 매월 1명씩 선정해 장관상과 상금 1000만원을 수여하는 제도다. </div> <p contents-hash="cc99c136774fcaed444ab3686c99c61dab98f521c59b70fb8c38f49296ee9db3" dmcf-pid="KqKpULXDmi" dmcf-ptype="general"><strong>체온에 따라 변하는 주사바늘</strong></p> <p contents-hash="0a7ae6002d54aa8227336ded761e21faf89764cbea8f89c58120ada38900ff4d" dmcf-pid="9B9UuoZwwJ" dmcf-ptype="general">정 교수는 액체금속 갈륨의 상변화 특성을 활용해 체온에 닿으면 고체에서 액체로 변하며 부드러워지는 가변강성 주사바늘을 개발했다. 상온에서는 딱딱해 혈관 삽입이 가능하고, 체내에서는 생체조직처럼 부드러워져 혈관 손상과 합병증을 줄인다. 사용 후에도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해 의료 종사자의 찔림 사고와 재사용으로 인한 감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p> <p contents-hash="f1ea5922f3832f5b14adf8c95a284437ff59491d960c0abca7579d1fdf4b64ef" dmcf-pid="2b2u7g5rwd" dmcf-ptype="general">또한 주사 중 약물이 혈관 밖으로 새어나가면 체온이 낮아지는 현상을 포착해 나노박막 온도센서를 주사바늘에 탑재했다. 이를 통해 약물 누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구현했다. 이 연구성과는 지난 8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c0f92d13ac0e2153744fc724f3dfb77fca70a4915a56620ab94df541ab55675" dmcf-pid="VKV7za1mI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체온에 의해 부드러워지는 주사바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Edaily/20250903120257661ezia.jpg" data-org-width="310" dmcf-mid="7671teyjm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Edaily/20250903120257661ezi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체온에 의해 부드러워지는 주사바늘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f6532e0f5f3fa3b5d4cc1389f2298a8b64a8db518c5e9010601787712256bc12" dmcf-pid="f9fzqNtsER" dmcf-ptype="general"> <strong>환자·의료진 모두의 안전 지향</strong> </div> <p contents-hash="6e6a13e624b93bd3eee6195e44681af344045c05ac470b437ca61faea7d66b8b" dmcf-pid="424qBjFOIM" dmcf-ptype="general">정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딱딱한 의료용 바늘로 인한 통증과 합병증, 찔림 사고나 재사용 감염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며 “환자와 의료진 모두의 안전을 높이는 핵심 의료기술로 발전시키겠다”고 소감을 밝혔다.</p> <p contents-hash="19670e1466621b8d1ec25dab1714f1d5825a6a237a559a49a3a42f448c9e6425" dmcf-pid="8V8BbA3Iwx"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향후 이 같은 혁신 연구를 확대 지원하기 위해 2026년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예산을 4343억원으로 늘리고, 역대 최대 규모인 11.8조원의 R&D 예산안을 편성해 첨단 바이오 분야 투자를 강화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56f8e489c917fcd7ec837fdaaf9b1ffbcadf0fa32287842aec74ae7079e7050b" dmcf-pid="6f6bKc0COQ" dmcf-ptype="general">정 교수는 인터뷰에서 “연구실에서 개발한 기술이 실제 환자에게 쓰이고 사회적 관심을 받을 때 가장 큰 보람을 느낀다”며 “가변강성 기술을 기반으로 웨어러블·임플란터블 기기까지 확장해 인류 질병 극복과 의료 격차 해소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8400b5594c611bee52adf537c6237acb2b2c794ccf699b528a3bbcd65ac97f93" dmcf-pid="P8Q92EUlwP" dmcf-ptype="general">그는 “학생들이 성적에 얽매이지 않고 배움의 과정을 즐기며, 당연시되는 상식을 넘어 새로운 시선으로 세상을 상상하길 바란다”며 후학들에게 조언을 남겼다.</p> <p contents-hash="70cda5adf8f997f4fe9dd901ff71bfc405218dbfb1de068050a461259770ac01" dmcf-pid="Q6x2VDuSs6" dmcf-ptype="general">김현아 (chaos@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공명 "학창시절 인기, '산본 비타민' 서강준에 비하면 소소해" [엑's 인터뷰] 09-03 다음 韓 셋톱박스사에 갑질한 브로드컴, 자진시정…“국내 시스템반도체 상생 지원” 09-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