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변으로 옮긴 테니스 코트, '비치테니스' 이렇게 즐깁니다 작성일 09-03 5 목록 <strong class="media_end_summary">[베이스라인 밖에서] 스포츠가 되기 위한 제도는 갖춰진 '비치테니스'의 남은 과제</strong>실내 체육관에서 시작한 배구가 해변으로 나가자, 사람들은 고개를 갸웃했다. 하지만 이 스포츠는 지금 당당히 올림픽 무대에 서 있다. '비치발리볼'. 누구도 그것을 '가짜 배구'라 부르지 않는다.<br><br>테니스 코트가 해변으로 옮겨간 '비치테니스' 라는 종목도 있다. 하지만 사람들에게 여전히 낯선 종목이고, 한국에서는 "처음 듣는다"는 반응이 더 자연스럽다. 하지만 놀랍게도 이 스포츠, 규모가 꽤 크다. 국제테니스연맹(이하 ITF)이 규칙을 제정하고 대회를 운영하는 공식 제도권 종목이다. 국제배구연맹(FIVB)이 비치발리볼을 배구의 한 분과로 두듯, ITF도 비치테니스를 독립 분과로 운영한다.<br><br>비치테니스는 투어 체계가 마련되어 있지만, 대중적 인지도는 아직 뒤따르지 못하고 있다. 우리에게 비치테니스가 여전히 낯설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더 근본적으로, 우리는 무엇을 기준으로 어떤 종목을 스포츠라 부르는 걸까?<br><br><strong>놀이에서 스포츠로</strong><br><br> <table class="nbd_table"><tbody><tr><td><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047/2025/09/03/0002486751_001_20250903105815137.jpg" alt="" /></span></td></tr><tr><td><b>▲ </b> Beach tennis competition in Sanya</td></tr><tr><td>ⓒ fei_chao3 on Unsplash</td></tr></tbody></table><br>스포츠의 경계는 어디에서 생길까. 철학자 버나드 수이츠(Bernard Suits)는 이렇게 말했다.<blockquote style="margin: auto; border-left:5px solid #CCCCCC; padding:7px">"게임을 한다는 것은 불필요한 장애물을 자발적으로 넘어서려는 시도다(To play a game is the voluntary attempt to overcome unnecessary obstacles)."</blockquote><br>여기서 '불필요한 장애물'은 곧 규칙을 뜻한다. 축구에서 공을 손으로 들고 달리면 금방 골대에 넣을 수 있는데도 우리는 손을 쓰지 말라는 규칙을 받아들인다. 골프도 공을 집어넣으면 끝이지만, 클럽으로만 쳐서 보내야 한다. 더 빠른 길을 알면서도 일부러 돌아가는 이 수고로움을 "자발적으로 받아들이는 순간", 자유로운 놀이는 게임으로 바뀐다. 참고로 이때 경쟁이나 승패는 필수 조건이 아니다. 혼자 풀어보는 퍼즐도 충분히 '게임'이다.<br><br>그다음 단계에서 사회학자 앨런 구트만(Allen Guttmann)이 말하는 스포츠가 등장한다. 그는 <근대 스포츠의 본질>에서, 게임이 스포츠가 되려면 운영표, 심판, 규정집, 기록과 랭킹 같은 제도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동네에서 공 차던 모임이 리그를 만들고, 심판을 세우고, 성적표를 쌓고, 나아가 연맹이 일정을 관리하기 시작하면 사람들은 그것을 단순한 게임이 아니라 스포츠로 인정한다. 정리하면, 스포츠다움은 규칙 위에 제도와 기록까지 겹칠 때 완성된다.<br><br>이 기준에 따르면, 비치테니스는 이미 '게임'이다. 비치테니스(Beach Tennis)는 1970년대 이탈리아 해변에서 시작된, 말 그대로 '해변 버전 테니스'다. 비치발리볼과 똑같은 크기의 모래 코트(16m × 8m)에 줄 대신 구멍 뚫린 패들 라켓을 쥐고, 일반 공보다 압력을 낮춘 저압 테니스공을 쓴다. 이 공은 바운드가 낮고 속도가 느려 모래 위에서도 랠리가 길게 이어지도록 고안됐다.<br><br>네트는 배구만큼 높지도, 테니스만큼 낮지도 않은 1.7m 높이 안팎에 걸린다. 점수 체계는 테니스와 거의 유사하다. 하지만 테니스와 가장 다른 점은 서브가 한 번 뿐이라는 것이다. 더불어 공이 땅에 닿으면 바로 실점이 되고 바운드 플레이는 허용되지 않는다.<br><br>하지만 꽤나 간결한 규칙 덕분에 누구나 쉽게 배우고 즐길 수 있었고, 해변 레저 문화가 강한 이탈리아와 브라질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됐다. 그리고 지금은 50여 개국, 50만 명 이상이 즐기고 있다.<br><br><strong>모래 위에 선 프로 무대</strong><br><br>게다가 '게임'이던 비치테니스는 제도권에 편입됐다. 2008년 국제테니스연맹(ITF)이 비치테니스를 연맹의 정식 분과 종목으로 채택했고, 이듬해 열린 로마 세계선수권은 그 출발점이 되었다. 게다가 이제는 국제적 규모와 구조를 갖췄다. 2024년 한 해에만 수백 개의 국제대회가 열렸고, 투어 총상금은 200만 달러(약 27억 원)를 넘어섰다.<br><br>포르투갈 마토지뉴스에서는 총상금 10만 달러 대회가 새로 생겼고, 시즌 마지막 브라질리아 파이널의 상금은 12만5천 달러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이제 비치테니스는 남자 프로테니스협회(ATP)와 여자테니스협회(WTA)가 운영하는 투어처럼, 독립된 구조와 무대를 갖춘 종목으로 성장했다.<br><br>프로 테니스 선수였다가 비치테니스로 전향한 나디아 존스턴(Nadia Johnston)은 이렇게 말한다.<blockquote style="margin: auto; border-left:5px solid #CCCCCC; padding:7px">"(비치테니스의) 수준 높은 경기를 해봤거나 지켜본 사람들은 이 종목이 올림픽 종목이 되어도 손색없다고 믿고 있다" (Those of us who play or have seen the game played at a high level believe the sport deserves to be in the Olympics)</blockquote><br>이미 비치테니스가, '게임' 단계를 넘어선 스포츠임을 보여주는 증언이다.<br><br><strong>테니스계가 선택한 이유</strong><br><br>보수적인 테니스업계는, 수많은 변형 라켓 종목 중에서 왜 하필 비치테니스를 가족으로 품었을까.<br><br>국제테니스연맹(ITF)은 이 종목이 대중에게 낯설던 시절부터 과감히 ITF의 거버넌스에 편입시켰다. 그 선택에는 저마다의 계산이 숨어 있다.<br><br>무엇보다 테니스와 닮은 점이 많았기 때문일 것이다. 득점 체계가 게임·세트 단위를 그대로 따르고, 듀스에서는 노애드 방식(40–40에서 한 포인트로 승부)을 쓴다. 모래라는 환경에 맞게 조정되었을 뿐, 규칙의 뼈대는 테니스와 연결된 셈이다. 덕분에 ITF는 기존 운영 방식과 심판 체계를 거의 그대로 옮겨올 수 있었다.<br><br>그러나 유사성만으로 설명되지는 않는다. 비치테니스 외에도 테니스와 닮은 종목은 있었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패델(Padel)이다. 패델은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했지만, 이미 국제패델연맹(FIP, International Padel Federation)이 주도권을 쥐고 있었다. ITF가 뒤늦게 개입을 시도했을 때, FIP는 이를 "적대적 인수 시도(hostile takeover)"라 규정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최근인 2022년까지도 ITF 연차총회(AGM)에서 패델을 ITF 관리 범위에 포함하자는 안건이 올랐지만, 공식 합의나 병합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br><br>비치테니스는 상황이 달랐다. 당시 비치테니스는 다른 종목과 달리 독립적인 국제 연맹이 없었기에, ITF가 규칙과 랭킹을 직접 만들어가며 초창기부터 제도를 주도할 수 있었다. 게임의 유사성만 놓고 보면 비치테니스가 테니스의 '완벽한 분신'이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ITF로서는 독자적 권위를 확보할 수 있는 종목이라는 점에서, 매력적인 선택지였을 가능성이 크다.<br><br><strong>무엇을 스포츠라 부를 것인가</strong><br><br> <table class="nbd_table"><tbody><tr><td><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047/2025/09/03/0002486751_002_20250903105815178.jpg" alt="" /></span></td></tr><tr><td><b>▲ </b> Unsplash Image</td></tr><tr><td>ⓒ yohfernads01 on Unsplash</td></tr></tbody></table><br>비치테니스의 제도권 편입은 특별한 예외가 아니다. 스포츠 역사에서 많은 종목들이 처음에는 단순한 '게임'이나 '변형 경기'로 취급되다가, 제도화와 사회적 수용을 거치며 정식 스포츠로 자리 잡았다.<br><br>비치발리볼이 대표적이다. 해변에서 여름 놀이처럼 시작했지만, 관객이 해변 코트로 몰려들고 국제배구연맹(FIVB)이 대회를 주관하면서 독자적인 종목으로 성장했다. 올림픽 무대에 오르자 사람들의 인식도 바뀌었다. 이제는 배구의 아류가 아니라, 배구와 나란히 서는 종목으로 누구도 의심하지 않는다.<br><br>농구의 3대3도 비슷하다. 오랫동안 길거리 농구로만 불리던 경기가 국제농구연맹(FIBA)의 관리 아래 규칙과 대회가 마련되자,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팬층이 생기고 선수들이 이 종목에 전업으로 뛰어들기 시작했다. 결국 2020년 도쿄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이 되었고, 지금은 세계 각지에서 프로 리그까지 운영된다.<br><br>풋살 역시 작은 체육관에서 즐기던 미니 축구에서 출발했지만, 국제축구연맹(FIFA)이 직접 규칙을 표준화하고 월드컵을 주관하자 관중의 관심과 미디어 노출이 늘어났다. 대표팀 유니폼을 입고 국제 대회에 나서는 순간, 선수뿐 아니라 관객들 또한 이 종목을 '정식 스포츠'로 받아들이게 되었다.<br><br>이처럼 스포츠다움은 단순히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도의 유무도 중요하다. 하지만 종목을 받아들이는 사회의 태도, 관객의 열광, 선수들의 커리어 선택이 모두 합쳐져 하나의 스포츠로서의 정체성이 완성된다.<br><br><strong>비치테니스의 과제</strong><br><br>어떤 이들은 비치테니스가 진짜 스포츠로 자리 잡으려면 결국 IOC(국제올림픽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도 말한다.<br><br>하지만 IOC의 올림픽 경기 종목 승인 기준을 뜯어보자. 국제연맹의 관리, 규칙·도핑·랭킹 체계, 방송 친화성, 성평등성이다. 이 모든 건 이미 갖췄다. 남은 한 칸은 보급, 곧 얼마나 널리 퍼졌는가이다. 현재 50여 개국에 퍼져있지만, IOC가 요구하는 최소 보급 기준(남성 75개국·여성 40개국)에는 아직 조금 부족하다. 그렇지만, 말하자면 "거의 다 왔다."<br><br>확산의 경로는 어렵지 않다. 해변을 넘어 도시 공원과 학교 운동장, 실내 체육관으로 들어가는 것, 인공 모래 코트와 임시 시설로 접근성을 높이는 것, 청소년 리그와 학교 체육 속에 자리 잡는 것. 어느 작은 동네에서라도 첫 경기의 경험이 이어질 때, 숫자는 저절로 따라온다.<br><br>IOC의 문턱을 넘는 일은 그래서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닐지 모른다. 하지만 그것은 목표라기보다 결과에 가깝다.<br>진짜 과제는 더 많은 사람들이 라켓을 들고 모래 위에서 공을 주고받으며, 그것을 자연스럽게 '스포츠'로 받아들이는 순간을 만들어내는 것이다.<br><br>비치테니스는 여전히 많은 테니스 팬들에게조차 낯선 풍경이다. 한국의 경우는 더하다. 언론 보도도 드물고, 생활체육 차원의 기초 통계조차 찾아보기 힘들다. 테니스의 정숙한 이미지를 떠올릴수록, 비치테니스의 축제 같은 색깔은 쉽게 어울리지 않아서 일까.<br><br>하지만 비치테니스는 이미 규칙과 무대, 그리고 팬을 갖췄다. 세계 팬들은 경기에 열광하고, 선수들은 이 스포츠를 자신의 커리어로 삼고 있다. 이제 새로운 세대가 자연스럽게 이 무대를 받아들이는 순간, 종목의 정체성은 더욱 단단해질 것이다.<br><br>그렇다면 남은 과제는 단 하나가 아닐까. 바로 우리가 직접 라켓을 들고 함께 뛰며, 이 경기를 '스포츠'라고 동의하는 것. 그것이 마지막 퍼즐이다.<br> 관련자료 이전 홍명보호, 미국서 본격 훈련…손흥민은 회복 집중 09-03 다음 말과 함께 즐기는 가을…농식품부 장관배 승마대회 개최 09-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