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만년 전 살아있는 매머드 감염시킨 세균 DNA 복원" 작성일 09-03 1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보도기사</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4TDdbPhLul">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f59e939deca55f6e81e10cece630e49ef39d47adf8cb1cd1246a98f571b0e39" dmcf-pid="8SkRq8IiU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매머드 이빨"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551724-22lyJQR/20250903101305079dour.jpg" data-org-width="600" dmcf-mid="fyFlNmqyz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551724-22lyJQR/20250903101305079dou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매머드 이빨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db06cf4dfacf9afd3f126c74492a0dffe8286fcab6b8beae4a9d9ee28d1d0690" dmcf-pid="6vEeB6CnzC" dmcf-ptype="general"> <div> <br> </div> <div> <br> </div>110만년 전 살아있는 매머드를 감염시킨 고대 세균의 DNA가 일부 복원됐습니다. </div> <p contents-hash="0dd46a9c9dc1351f035ab81535d855e1866a4b07fe02145b111ccf0d9b8ed096" dmcf-pid="PTDdbPhLpI" dmcf-ptype="general">이는 지금까지 숙주와 병원체 관계가 확인된 고대 세균 가운데 가장 오래된 세균 DNA로 평가됩니다. </p> <p contents-hash="094c201f45a282f250eaeeaeffdb71706341d96e4c87d1e38f287d68b3990ea7" dmcf-pid="QywJKQlo0O" dmcf-ptype="general">스웨덴 자연사박물관·스톡홀름대 고대유전체연구센터(Centre for Palaeogenetics) 벤자민 기네 박사팀은 3일 과학 저널 셀(Cell)에서 100만년이 넘은 매머드 표본 483개 속 미생물 DNA를 분석, 살아있을 때 매머드를 감염시킨 세균 6개 계통의 DNA를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p> <p contents-hash="9dcd368ce9980ab5eb1d2f01eaba2135888c0ee9fb98a163ff8f1c70f5a3ea10" dmcf-pid="xWri9xSgus" dmcf-ptype="general">또 이 중 110만년 전 초원매머드 표본에서 발견된 세균의 DNA를 일부 복원했으며, 발견된 세균 중 하나는 현대 코끼리에게도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와 친척 관계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p> <p contents-hash="565b1ab8a761c2feea70df71e859ae58f5fce251a7fb7c8bc12a3cf7a1c18a5d" dmcf-pid="yMbZsy6Fpm" dmcf-ptype="general">과학자들은 그동안 고대 게놈(유전체) 연구에서 인간과 미생물 간 상호작용은 폭넓게 연구해 왔지만, 인간이 아닌 동물과 미생물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었습니다. </p> <p contents-hash="5c272d934dba510d9af1d2265a1d94f80ee273c8ea7b1edddd6fc544ac39a6d3" dmcf-pid="WRK5OWP3pr" dmcf-ptype="general">많은 관심을 끌어온 매머드는 DNA 염기서열 분석이 활발해 매머드의 진화와 생물지리학, 생태학 등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가능해졌지만, 매머드와 미생물 간 상호작용은 거의 연구되지 않았습니다.</p> <p contents-hash="e70eb03d19737534706b3b1364e4e6cc938d8cb80a7d0401740e24b0f2d1dd25" dmcf-pid="Ye91IYQ0zw"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매머드와 미생물 관계를 조사하면 극한 환경 적응에서의 미생물 역할, 빙하기-간빙기 매머드 개체 수 변동이 미생물에 미친 영향, 시간에 따른 식단 변화, 미생물이 매머드 멸종에 미친 영향 등을 연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p> <p contents-hash="7f238bbc82c50ac8442ee078f97c608d63db0c7373ffa4785294d6415790c303" dmcf-pid="GL8pv5dzUD" dmcf-ptype="general">이들은 이 연구에서 100만년 이상 이전의 털매머드(woolly mammoth)와 초원매머드 표본 483개에 들어 있는 미생물 DNA를 분석했습니다. 이 중 440개는 이번에 처음으로 염기서열이 해독됐습니다.</p> <p contents-hash="36e89f6cb8b3cd0564a8a81ff69a6a1cf9bdb5b7923ce1999cfd125958607cc3" dmcf-pid="Ho6UT1Jq3E" dmcf-ptype="general">이어 첨단 유전체학 및 생물정보학 기법을 적용해 매머드가 살아 있을 때 감염돼 공존했던 미생물과 죽은 후 사체에 침입한 미생물을 구분해냈습니다.</p> <p contents-hash="6ff9991228deb0674b14911683cfd7fdc7377ab0a24a1f28bbdafa90289f8ad0" dmcf-pid="XgPuytiB3k" dmcf-ptype="general">분석 결과 오랜 기간 매머드와 연관돼 있던 6개 계통 미생물이 확인됐습니다. 여기에는 액티노바실러스속(Actinobacillus), 파스퇴렐라속(Pasteurella), 연쇄상구균속(Streptococcus), 에리시펠로트릭스속(Erysipelothrix) 미생물이 포함됐습니다.</p> <p contents-hash="26e84d850bcad86319858b07f5188d1e2f936ea80ed2aa841ed04a52faf521df" dmcf-pid="ZaQ7WFnbzc" dmcf-ptype="general">특히 파스퇴렐라속 미생물은 현대 아프리카 코끼리에게 치명적인 집단 발병을 일으킨 병원체와 가까운 관계로 밝혀져 이 세균이 코끼리와 가까운 매머드에게도 질병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p> <p contents-hash="4a4956fcde0c622e03bb65495543bca0c28c835d5d5cb0114c0967d299e764aa" dmcf-pid="5NxzY3LKzA"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또 110만년 전 초원매머드에서 발견된 에리시펠로트릭스속 미생물의 DNA를 일부 복원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p> <p contents-hash="d1bb1b4af7548f0900cb8b94e51d83d4e6837335f312e0f468d461c02e0bd716" dmcf-pid="1jMqG0o9Fj" dmcf-ptype="general">이는 지금까지 숙주와 병원체 관계가 확인된 미생물 DNA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고대 숙주 동물과 이를 감염시킨 미생물 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한계를 크게 확장한 성과라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p> <p contents-hash="4327d4cf19703fbdac0814375507334f67049f9db8460f1d684cc910e2e158ab" dmcf-pid="tARBHpg2pN" dmcf-ptype="general">이들은 미생물이 매머드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이 연구는 일부 미생물 계통이 100만년 이상 전부터 4천년 전 프랭겔섬의 털매머드 멸종 때까지 광범위한 지역과 긴 시간에 걸쳐 매머드와 공존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습니다.</p> <p contents-hash="5853041936dfb04d33fc2d8d9a8f7cf5cb7f7f108fce7a721288dc721ea5f2c6" dmcf-pid="FcebXUaVUa" dmcf-ptype="general">기네 박사는 "이 연구 결과는 미생물 DNA 연구를 100만년 전 너머까지 확장해 숙주 동물을 감염시킨 미생물이 어떻게 숙주와 함께 진화해 왔는지 탐구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08b94396868afa658c8f223f79cd4133fbd7d6a0fa3ce3917a0d8707abf2c236" dmcf-pid="3kdKZuNfFg" dmcf-ptype="general">◆ 출처 : Cell, Benjamin Guinet et al., 'Ancient host-associated microbes obtained from mammoth remains', https://www.cell.com/cell/fulltext/S0092-8674(25)00917-1</p> <div contents-hash="89c613c0c3749aaffb424a9022b7f831058f165d58d8e9f512d5d5f74b18689b" dmcf-pid="09FlNmqy3o" dmcf-ptype="general"> TJB 대전방송 <div> <br> </div> <div> <br> </div> <div> (사진=연합뉴스) <br> </div> </div> <p contents-hash="b29119de99a1fef59b63a0d6ea7d0e57b53a58cc68cb47e1bed0129dfe816fbc" dmcf-pid="p23SjsBW3L" dmcf-ptype="general">김건교 취재 기자 | kkkim@tjb.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TJB 대전방송</p> 관련자료 이전 류혜영, 세련美+시크 새 프로필 공개 09-03 다음 "혼합 폐플라스틱 분리수거 안해도 돼"…기계연, 3분기 여수산단서 신기술 "실증" 09-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