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만 년 전 매머드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미생물 DNA 작성일 09-03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6oTVRTNij">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ac3bdcf002286574b76be079e0ccac3a5370398a63bedc7ec0755444e7b0fdc" dmcf-pid="QPgyfeyje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매머드의 화석화된 어금니. 러브 달렌 교수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dongascience/20250903090143377ovjk.jpg" data-org-width="680" dmcf-mid="67KaXUaVL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dongascience/20250903090143377ovj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매머드의 화석화된 어금니. 러브 달렌 교수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c75f01201de43c1c809baa5251ee7ba8614ff3d4679d399d1c30295354a0775" dmcf-pid="xQaW4dWAda" dmcf-ptype="general">약 110만 년 전 매머드 화석에서 가장 오래된 미생물 DNA가 발견됐다. 멸종 동물과 미생물의 관계를 밝히고, 고대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p> <p contents-hash="e8c179d318c5c67121d073b107d2699ca6d0d9dc4f1383f25788b22f011ea54c" dmcf-pid="yT3MhHMULg" dmcf-ptype="general">러브 달렌 스웨덴 스톡홀름대 교수 연구팀 등 공동 연구팀은 매머드 화석에서 '숙주와 연관된 고대 미생물 DNA' 중 가장 오래된 DNA를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셀(Cell)'에 발표했다. </p> <p contents-hash="dac0adc6dd4747c0e94fec749d79b8eab6d96e9827ca6e6038b190086ce0a3f2" dmcf-pid="Wy0RlXRuMo"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총 483개의 매머드 표본에서 미생물 DNA를 분석했다. 483개의 매머드 표본 중 염기서열 분석이 처음으로 이뤄진 표본은 440개에 달한다. 약 110만 년 전 살았던 '스텝 매머드'의 표본도 포함됐다. 스텝 매머드는 약 20만년 전까지 유라시아 지역에 살았던 것으로 알려진 멸종된 매머드의 한 종이다.</p> <p contents-hash="67e1861fb9773d3edff90f6d8a8004f039d0ebb6649e3fd59afc4e0b322a9132" dmcf-pid="YWpeSZe7RL"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첨단 유전체학 및 생물정보학 기술을 활용해 매머드와 함께 살았던 미생물과 사후에매머드 사체에 침투한 미생물을 구별했다. 매머드가 살던 시기와 지역이 달라져도 늘 같이 살았던 것으로 보이는 6개 미생물 그룹을 식별한 것이다. </p> <p contents-hash="beaec90202f4b867733cf42ef3c4c2ee8364b6ee883f1ef89ba72a232fc856fa" dmcf-pid="GRAHPnHEnn" dmcf-ptype="general">6개 미생물 그룹에 아크티노바실루스(Actinobacillus), 파스퇴렐라(Pasteurella), 스트렙토코쿠스(Streptococcus), 그리고 에리시펠로트릭스(Erysipelothrix)의 친척 격인 박테리아들이 포함됐다.</p> <p contents-hash="0a3db525dbc74b67216fdb9713a77965ce6ecdf2b24f002644a1e9e6b57255cd" dmcf-pid="HecXQLXDdi" dmcf-ptype="general">이 중 일부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특히 파스퇴렐라 관련 박테리아는 아프리카 코끼리에게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균과 매우 유사했다. 연구팀은 매머드 역시 비슷한 감염에 취약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p> <p contents-hash="a496977cd77bed302b631a05833fbcdc814f92fe2534bd6d786d6909e1224a02" dmcf-pid="XdkZxoZwLJ"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약 110만 년 된 스텝 매머드 화석에서 에리시펠로트릭스라는 미생물의 유전체 일부를 재구성하는 데도 성공했다. 보통 미생물 DNA는 시간이 오래 지나면 부서져서 100만 년 이상 오래된 것은 남아 있기 힘들다. 이번 복원에 성공하면서 지금까지 알려진 것 중 가장 오래된 ‘숙주와 함께 살던 미생물 DNA’ 기록을 세웠다.</p> <p contents-hash="7e63ac1493295c7bf469d84eab481840faba7f85e63f7513da7be059a64238a4" dmcf-pid="ZJE5Mg5rRd"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이번 발견으로 과거 동물과 미생물이 어떤 관계를 맺으며 살아왔는지 더 깊이 추적할 수 있게 됐다"고 연구의 의미를 설명했다.</p> <p contents-hash="9f948ba517991b44310d6aed1cf9fb499cfcf063a5419875e081866484572f5e" dmcf-pid="5iD1Ra1mee" dmcf-ptype="general">DNA가 많이 손상된 데다 비교할 자료도 제한적이라 확인된 미생물이 매머드 건강에 정확히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단정하기 어렵다. 일부 미생물 무리는 수십만 년 동안 매머드와 함께 살아온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이들은 약 100만 년 전부터 매머드가 4000년 전 멸종할 때까지 아주 오랜 시간과 넓은 지역에 걸쳐 존재했다"며 <span>"이번 연구는 멸종한 종의 생물학을 이해하는 새로운 장을 연 것"이라고 밝혔다.</span></p> <p contents-hash="b3e44362e63e0f5dc35d9b29d330938bace975782f40987b8d4253098c673e5d" dmcf-pid="1nwteNtsiR" dmcf-ptype="general"><참고 자료></p> <p contents-hash="61c26992740eade4365f9dcfcf3c107bc5b4e6e3082b6bf323b68b655301d7a4" dmcf-pid="tLrFdjFOnM" dmcf-ptype="general">- doi.org/10.1016/j.cell.2025.08.003</p> <p contents-hash="dfc7bbffe170763d21aa11b8e8160a7553277fa4e90e18207644ff019a74821f" dmcf-pid="Fom3JA3Idx" dmcf-ptype="general">[정지영 기자 jjy2011@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블랙핑크 제니, 월세 6천만원 쯤이야…건축법 위반 건물 떠난다 09-03 다음 韓 연구진 일냈다…지능형 감시 국제대회 “세계 1위” 09-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