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레인보우로보틱스’ 키운다…KAIST, 대전 로봇밸리 조성 박차 작성일 09-03 2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 3년 6개월 간 총 136억 사업비 확보<br>- 글로벌 유니콘 기업 15개 발굴 목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Jeirv41GX">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29ff03fa1cc9639b7e70fe54c338497e418a8f36e644f4db63d478b3938641b" dmcf-pid="Bq7BRa1mX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명현 교수팀이 개발한 드림워커가 사족로봇 자율보행 경진대회에서 계단을 오르고 있다.[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ned/20250903084052065ljmz.gif" data-org-width="600" dmcf-mid="uNuqMg5rH1"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ned/20250903084052065ljmz.gif" width="600"></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명현 교수팀이 개발한 드림워커가 사족로봇 자율보행 경진대회에서 계단을 오르고 있다.[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19293124cb6d74c9a40ba9512834a4a9b04b12dee165b73a0a92078a88af392" dmcf-pid="bBzbeNtsH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오준호 KAIST 명예교수와 그가 만든 인간형 로봇 휴보.[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ned/20250903084052642xsie.jpg" data-org-width="640" dmcf-mid="7724oDuS55"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ned/20250903084052642xsi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오준호 KAIST 명예교수와 그가 만든 인간형 로봇 휴보.[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bad09bf68d1f9e7e3bf0b53207ed8ab51afc66d866b02aad3fcb50cad51b9b1" dmcf-pid="KbqKdjFOZY"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딥테크 로봇기술 상용화를 촉진해 15개 이상 글로벌 유티콘 기업을 키워내겠다.”</p> <p contents-hash="3ad19bb0a78614a9199500892ac16b0ceef897642511f9a209a3683490228f77" dmcf-pid="9KB9JA3IHW" dmcf-ptype="general">KAIST는 3일 대전시와 협업을 통해 2025 딥테크 스케일업 밸리 육성사업에 최종 선정, 3년 6개월간 총 136억 5천만원 사업비 확보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b3879283588e32f2e4714f32659a1fc55141f09e9cf63fa4eb4f6d9c5e657a54" dmcf-pid="29b2ic0CGy" dmcf-ptype="general">KAIST는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혁신 로봇기업을 집중 육성하고, 대전을 글로벌 로봇산업 거점 도시로 발전시키는데 주력할 방침이다.</p> <p contents-hash="edaf014908be8f722a47b3bab53c5d2547e2ad2d4a7f428fa0a4dff0d04d6b64" dmcf-pid="V2KVnkphtT" dmcf-ptype="general">KAIST가 추진하는 ‘인간친화형 로봇(Human-Friendly Robot, HFR)’은 단순 자동화 기계를 넘어 인간과 공간·역할·감정을 공유하는 협력적 동반자를 지향한다.</p> <p contents-hash="343620d0ef43ade9b9278ce9a307e625ad0ba1d0e1bb313e2a0992e39eb2e0d2" dmcf-pid="fV9fLEUltv" dmcf-ptype="general">이번 사업에서는 로봇 기술의 사업화 촉진, 창업 생태계 지원, 글로벌 기술경쟁력 확보, 로봇 상용화 플랫폼 개발 등 단계별 전략을 추진하며, 기술개발 → 창업 및 투자 성장→ 재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639ef56f9029de497cb38301ba64039d2f2391de78ffe82380a1203dde6b985a" dmcf-pid="4COhtqc6GS" dmcf-ptype="general">기존 창업지원·스케일업 사업과 달리, 개별 기업 지원을 넘어 로봇산업 전체의 동반 성장을 목표로 한다. KAIST와 (주)엔젤로보틱스, 유로보틱스(주) 등 로봇 분야 선도 기업들이 구동기, 회로, 인공지능, 표준 데이터 등 공통 요소기술을 오픈 이노베이션 형태로 공유하고, 스타트업은 이를 바탕으로 고객 수요에 맞춘 로봇 제품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7af58b51a69b336e814207d04c06dd7693051d378d41d8d4967ac172ee6898f" dmcf-pid="8hIlFBkP1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김승환 KAIST 연구원이 2025 이노베이트코리아에서 공경철 교수가 개발한 웨어러블 로봇을 시연하고 있는 모습 .[대전=임세준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ned/20250903084052873ikfi.png" data-org-width="730" dmcf-mid="zKqKdjFOG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ned/20250903084052873ikfi.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김승환 KAIST 연구원이 2025 이노베이트코리아에서 공경철 교수가 개발한 웨어러블 로봇을 시연하고 있는 모습 .[대전=임세준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84edfb32b993eba01ea47e652e3931c5714ddae7077a65f0a5636d36923f984" dmcf-pid="6lCS3bEQ1h" dmcf-ptype="general">이번 과제에는 과제책임자 기계공학과 김정 교수(한국로봇학회 회장)를 비롯해,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휴먼 증강 센서 연구),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세계 로봇학회 IEEE ICRA에서 개최된 사족로봇 자율보행 경진대회인 QRC 2023 우승), 기계공학과 공경철 교수(사이보그 올림픽인 사이배슬론 국제대회 2연패, 엔젤로보틱스 창업), 산업디자인학과 배석형 교수(세계 컴퓨터 그래픽스·인터랙션 학회 ACM SIGGRAPH 로봇 스케치 경진대회 우승) 등 KAIST 로봇 분야 핵심 연구진이 대거 참여한다.</p> <p contents-hash="9070f25cccabff694b8ed55085dd6991468ccfa94239a8afb406d597f6e4cfb6" dmcf-pid="PShv0KDxtC" dmcf-ptype="general">또한 이번 과제를 기획한 KAIST 기술가치창출원을 비롯, KAIST 홀딩스, 글로벌 테크노밸리 랩(GTLAB),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가 기술사업화 및 밸리 구축을 담당하고, 상용화를 전방위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대전테크노파크가 참여한다.</p> <p contents-hash="8ccb2bcbafa50c9112ec17f4a55d0193cf911b82af55af7ef01de34a09a028b0" dmcf-pid="QvlTp9wM5I" dmcf-ptype="general">총괄책임자인 김정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KAIST에서 개발한 딥테크 로봇기술의 상용화를 촉진하여, 미래의 유니콘 기업 15개 이상을 발굴·육성하는 데 앞장서겠다”면서 “연구개발 성과가 실제 산업과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KAIST 로봇 분야 연구진이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942d395dd61af4b34f78fd2b7b5261541e905cfc0b696075a27832622606d2d9" dmcf-pid="xTSyU2rRtO" dmcf-ptype="general">이광형 KAIST 총장은 “KAIST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연구중심대학으로서, 대전이 세계적 로봇 허브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다. 이번 사업은 단순한 연구 개발을 넘어, 지역과 국가의 미래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KAIST가 글로벌 로봇 생태계의 중심에 서는 전환점이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세븐틴 에스쿱스·민규, 유닛 결성…29일 첫 미니앨범 09-03 다음 SK하이닉스, 메모리업계 최초 양산용 차세대 D램 생산장비 도입 09-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