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엔 밤 꼴딱 새워야겠네"···3년 만에 '블러드문' 국내서 관측된다 작성일 09-03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eXAbPhLW4">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7928348569035a71c7615802453c699b021560ed2bd24bcb9f16a81ac4ac32b" dmcf-pid="GdZcKQloh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천문연구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seouleconomy/20250903062813897svti.jpg" data-org-width="500" dmcf-mid="y5mZNmqyv6"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seouleconomy/20250903062813897svt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0d5177f8bffa0a2dd79c8fb75b73058a4e4b242eebd0642dfcdf260b8e1fb38b" dmcf-pid="HJ5k9xSglV" dmcf-ptype="general"> [서울경제] <p>오는 8일 새벽 국내 하늘에서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개기월식 현상이 관측될 전망이다. 지난 2022년 관측 이후 3년 만이다.</p> </div> <p contents-hash="fe6972bafcfbbd0461b03e14b3e6ad4b6690a295910418a0389d7be428f4306f" dmcf-pid="Xg0m8JYch2" dmcf-ptype="general">3일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8일 오전 1시 26분 48초에 달의 일부분이 가려지는 부분월식이 시작된다. 달이 지구 본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개기월식은 오전 2시 30분 24초에 시작돼 오전 3시 11분 48초에 최대가 된 뒤 3시 53분 12초에 끝난다.</p> <p contents-hash="8f314900026ecf077c72ebbee32c109ef9636f7f1899356a907ddb89d2f00187" dmcf-pid="Zaps6iGkS9" dmcf-ptype="general">이후 다시 달의 밝은 부분이 보이기 시작해 오전 5시 56분 36초에 월식의 전 과정이 끝난다. 달이 지구 그림자에 가장 깊게 들어가는 '최대식' 시각은 오전 3시 11분으로, 남서쪽 하늘에서 관측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a0943cd77ed255be38af8631ca3d4254bccfcc8c5d6a76466fc7f5d112d3f222" dmcf-pid="5NUOPnHEyK" dmcf-ptype="general">월식은 지구가 달과 태양 사이에 위치해 지구의 그림자에 의해 달이 가려지는 현상이다. 이번 월식은 아시아, 러시아, 호주, 인도양, 아프리카, 유럽에서 볼 수 있다.</p> <p contents-hash="8a2bb0a8c56800ba6d9047d44014d8ac11641e2775acea1fa873187013429f37" dmcf-pid="1juIQLXDWb" dmcf-ptype="general">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개기월식은 2022년 11월 8일 있었고, 내년 3월 3일에 있을 예정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5a207053c4bc20bff748be979ee5c40342ed73a6a3942a4302166d3de731c07" dmcf-pid="tA7CxoZwy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천문연구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seouleconomy/20250903062815174mrly.jpg" data-org-width="500" dmcf-mid="Wy7CxoZwh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seouleconomy/20250903062815174mrl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b27ad2ae5b54628b7e0f06be20c14425f017b4fae042e484ffb2464a97a9f0bd" dmcf-pid="FczhMg5rhq" dmcf-ptype="general"> <p>이번 개기월식 관련 관측 행사는 국립과천과학관과 국립광주과학관 등 각 지역 과학관과 천문대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p> </div> <p contents-hash="60ceb4a1a097b17636ab675a0349d2a928155acfec834af9c64096b5b86d4772" dmcf-pid="3kqlRa1mvz" dmcf-ptype="general">한편, 개기월식 때 달이 붉게 보이며 일명 '블러드문'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지구 대기를 통과한 태양빛 중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은 산란돼 사라지고 파장이 긴 붉은빛만 달까지 도달하기 때문이다. 노을도 같은 원리에 의해 하늘이 붉게 물든다.</p> <div contents-hash="8b9055c62af3e8790d737da29258e8d7b8c20de5c826c741d11a82a2a37ba1f4" dmcf-pid="0EBSeNtsh7" dmcf-ptype="general"> 강신우 기자 seen@sedaily.com </div>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윤정수 아내, '1000만원' 다이아+유럽여행 자랑…"오빠 고마워" 09-03 다음 '결혼 적령기' 임영웅, 돌발 고백..."결혼 타이밍"이란 말에 반응은? ('섬총각') 09-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