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테크+] "110만년 전 살아있는 매머드 감염시킨 세균 DNA 복원" 작성일 09-03 3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스웨덴 연구팀 "100만년 전 매머드 유해 표본서 6개 세균 계통 확인"</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uorWC9HYT"> <p contents-hash="dddd02215f4ddb2cae8eb0fdff0fd062b152b1fdabf91a1cab53b17d22159b0c" dmcf-pid="G7gmYh2XZv" dmcf-ptype="general">(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110만년 전 살아있는 매머드를 감염시킨 고대 세균의 DNA가 일부 복원됐다. 이는 지금까지 숙주와 병원체 관계가 확인된 고대 세균 가운데 가장 오래된 세균 DNA로 평가된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2c18d373eda2b066d8c52b04729f7f01f60cf4dd423926188f23ac2a1b8831f" dmcf-pid="Hs78LMvaX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매머드 이빨 [Love Dalén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yonhap/20250903050123888jrjv.jpg" data-org-width="1200" dmcf-mid="xpACZT8tZ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yonhap/20250903050123888jrj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매머드 이빨 [Love Dalén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d58fe47d022fb9bab43202f7b1a2681f5f116fecf139bf46b46f83c1b6dda86" dmcf-pid="XOz6oRTNYl" dmcf-ptype="general">스웨덴 자연사박물관·스톡홀름대 고대유전체연구센터(Centre for Palaeogenetics) 벤자민 기네 박사팀은 3일 과학 저널 셀(Cell)에서 100만년이 넘은 매머드 표본 483개 속 미생물 DNA를 분석, 살아있을 때 매머드를 감염시킨 세균 6개 계통의 DNA를 발견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433250bd868bb1c987521f18e01f01b2bdaada2df381221ee25c6e26440bb46f" dmcf-pid="ZIqPgeyjYh" dmcf-ptype="general">또 이 중 110만년 전 초원매머드 표본에서 발견된 세균의 DNA를 일부 복원했으며, 발견된 세균 중 하나는 현대 코끼리에게도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와 친척 관계인 것으로 밝혀졌다.</p> <p contents-hash="b8868234cd317d18a4732d7334cfef5ed4fd3e6bc9b6c02fa456dd7375ad2b45" dmcf-pid="5CBQadWA1C" dmcf-ptype="general">과학자들은 그동안 고대 게놈(유전체) 연구에서 인간과 미생물 간 상호작용은 폭넓게 연구해 왔지만, 인간이 아닌 동물과 미생물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p> <p contents-hash="116b7298a1aac3b5057d4f595fe7ea29619f4719c8ab4b78e117551d535dbcfb" dmcf-pid="1hbxNJYcGI" dmcf-ptype="general">많은 관심을 끌어온 매머드는 DNA 염기서열 분석이 활발해 매머드의 진화와 생물지리학, 생태학 등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가능해졌지만, 매머드와 미생물 간 상호작용은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p> <p contents-hash="3fe0252481b97c6415a35072f54ec8cecf90973ec1a2bc87e045745c0e2d5e91" dmcf-pid="tlKMjiGkHO"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매머드와 미생물 관계를 조사하면 극한 환경 적응에서의 미생물 역할, 빙하기-간빙기 매머드 개체 수 변동이 미생물에 미친 영향, 시간에 따른 식단 변화, 미생물이 매머드 멸종에 미친 영향 등을 연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2bfb6ac27b360be2d2d36acb9d8eb69987eb3e65b7dc03d23828583f9a796f5" dmcf-pid="FS9RAnHEt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털매머드·초원매머드 표본 483개 속 미생물 DNA 연구 연구팀은 100만년 이상 전부터 멸종 직전까지 살았던 털매머드와 초원매머드의 표본 483개 속 미생물 DNA를 분석, 살아있을 때 감염된 6개 계통의 미생물 DNA를 발견했다. 이 중 110만년 전 초원매머드를 감염시킨 에리시펠로트릭스 속(Erysipelothrix spp.) 미생물의 DNA를 일부 복원했다. [Cell, Benjamin Guinet et al.(2025)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yonhap/20250903050124080jmse.jpg" data-org-width="500" dmcf-mid="y4JkSmqy5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yonhap/20250903050124080jms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털매머드·초원매머드 표본 483개 속 미생물 DNA 연구 연구팀은 100만년 이상 전부터 멸종 직전까지 살았던 털매머드와 초원매머드의 표본 483개 속 미생물 DNA를 분석, 살아있을 때 감염된 6개 계통의 미생물 DNA를 발견했다. 이 중 110만년 전 초원매머드를 감염시킨 에리시펠로트릭스 속(Erysipelothrix spp.) 미생물의 DNA를 일부 복원했다. [Cell, Benjamin Guinet et al.(2025)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73889c2fa9593861e5b276c21eb7943d9fd44fcacc572a10eda44f5b85c7069" dmcf-pid="3v2ecLXDGm" dmcf-ptype="general">이들은 이 연구에서 100만년 이상 이전의 털매머드(woolly mammoth)와 초원매머드 표본 483개에 들어 있는 미생물 DNA를 분석했다. 이 중 440개는 이번에 처음으로 염기서열이 해독됐다.</p> <p contents-hash="ebe89871153ecd594f20e7ee92deea6d6992787a6b5e9eabe924899c00395c20" dmcf-pid="0TVdkoZwXr" dmcf-ptype="general">이어 첨단 유전체학 및 생물정보학 기법을 적용해 매머드가 살아 있을 때 감염돼 공존했던 미생물과 죽은 후 사체에 침입한 미생물을 구분해냈다.</p> <p contents-hash="4cb3664dfe6433b296622282ab94fae3ecf6986706522a9553f11aee54cd460d" dmcf-pid="piy327j45w" dmcf-ptype="general">분석 결과 오랜 기간 매머드와 연관돼 있던 6개 계통 미생물이 확인됐다. 여기에는 액티노바실러스속(Actinobacillus), 파스퇴렐라속(Pasteurella), 연쇄상구균속(Streptococcus), 에리시펠로트릭스속(Erysipelothrix) 미생물이 포함됐다.</p> <p contents-hash="fe580589cacd4ef1403097d8f7a463728719cdc0793db578139cd6c075660152" dmcf-pid="UnW0VzA8HD" dmcf-ptype="general">특히 파스퇴렐라속 미생물은 현대 아프리카 코끼리에게 치명적인 집단 발병을 일으킨 병원체와 가까운 관계로 밝혀져 이 세균이 코끼리와 가까운 매머드에게도 질병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f5afd889a1a1c6fc9d6d696564571be1b490921b4a9cd3293b6e21e0a23b5c8" dmcf-pid="uLYpfqc6Z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매머드의 발 [Love Dalén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3/yonhap/20250903050124300pdgj.jpg" data-org-width="1200" dmcf-mid="W278LMvaZ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3/yonhap/20250903050124300pdg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매머드의 발 [Love Dalén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28ec617260b042b69a674b93998b5704b13059d507e0b6ae721dcd4e1942db0" dmcf-pid="7oGU4BkPZk"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또 110만년 전 초원매머드에서 발견된 에리시펠로트릭스속 미생물의 DNA를 일부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p> <p contents-hash="1f454ecc97717e2afc8abffa0ca0b97ae704a3522528745baa014644face57b2" dmcf-pid="zgHu8bEQ5c" dmcf-ptype="general">이는 지금까지 숙주와 병원체 관계가 확인된 미생물 DNA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고대 숙주 동물과 이를 감염시킨 미생물 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한계를 크게 확장한 성과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p> <p contents-hash="26a9b2dc859a30f5a549ea390b4dbb83a2a14a35f00791d15e44eee9000d645b" dmcf-pid="qaX76KDxGA" dmcf-ptype="general">이들은 미생물이 매머드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이 연구는 일부 미생물 계통이 100만년 이상 전부터 4천년 전 프랭겔섬의 털매머드 멸종 때까지 광범위한 지역과 긴 시간에 걸쳐 매머드와 공존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b2101b94386f63dd0da51a1e2b941cb3f78c79defa120cfdff958fafc1a5cf6c" dmcf-pid="BNZzP9wMXj" dmcf-ptype="general">기네 박사는 "이 연구 결과는 미생물 DNA 연구를 100만년 전 너머까지 확장해 숙주 동물을 감염시킨 미생물이 어떻게 숙주와 함께 진화해 왔는지 탐구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e43f1ec015b4815cb5f4783fdd0d25196eb559dd12345576434c804ac2df0055" dmcf-pid="bj5qQ2rRHN" dmcf-ptype="general">◆ 출처 : Cell, Benjamin Guinet et al., 'Ancient host-associated microbes obtained from mammoth remains', https://www.cell.com/cell/fulltext/S0092-8674(25)00917-1</p> <p contents-hash="c4ec97223630c62207ed404d7834c99296b400e1086e9e7a989edafeba36bcd9" dmcf-pid="KA1BxVmeGa" dmcf-ptype="general">scitech@yna.co.kr</p> <p contents-hash="cd958ee83760e93c1dbf0ce46eba2dd9f9512f6f722716d6acbd88898af60cfc" dmcf-pid="2oGU4BkPXo"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뼈마디 욱신거리는 바디 호러로 가장한 로맨스 '투게더'[최영주의 영화관] 09-03 다음 "얼굴로 계산할게요"…이제 지갑·폰 없이 1초만에 결제 끝 09-0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