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건비 높은 박사 1명 대신…대학원생 3명 쓰는 게 현실" 작성일 09-02 2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값싼 대학원생으로 연구실 운영 <br>학생들 주말 반납하고 일하지만<br>최저임금도 못받는 경우 수두룩<br>구본경 유전체교정연구단장</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L9ilFnbT7"> <p contents-hash="b61ba3dc968930eaf86cc502534be1009c6e1a540ce1775d6d8962438f453e3c" dmcf-pid="1o2nS3LKSu" dmcf-ptype="general">“대학원생을 졸업시키는 순간 인건비가 두세 배로 뜁니다. 연구실을 운영하는 교수로서는 학생의 졸업을 최대한 늦추고, 박사 한 명 대신 대학원생 세 명을 쓰는 게 경제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밖에 없겠죠.”</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7ed8e91ffc7433686e93ce591b938beee7a753f714950a63e46c7bd3aafb6f7" dmcf-pid="tgVLv0o9y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2/ked/20250902171949553ymow.jpg" data-org-width="288" dmcf-mid="ZPZKaC9Hv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2/ked/20250902171949553ymow.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32640b77ce04850829702659efc8ce3fb58dbffa83bd71d9413e24337960a823" dmcf-pid="FcPjGzA8lp" dmcf-ptype="general">2일 대전 도룡동 기초과학연구원(IBS)에서 만난 구본경 유전체교정연구단장(사진)은 국내 연구 생태계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값싼 대학원생에게 의존하는 구조’를 꼽았다. 연구 역량을 갖춘 전문 인력 대신 대학원생이 연구실을 지탱하는 기형적 현상이 만연해 있다는 것이다.</p> <p contents-hash="0d288726b0c2af832bb24affefdeedbb4793acd75a4201f7b1b57d9649d46845" dmcf-pid="3kQAHqc6T0" dmcf-ptype="general">현행법상 석사는 220만원, 박사는 300만원 이상을 받도록 인건비가 정해져 있지만 서류상 숫자일 뿐이다. ‘참여율’을 조정해 얼마든지 꼼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학생이 밤낮으로 연구실에 있어도 서류상 50%만 근무한 것으로 조정해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2022년 실시한 ‘2021년 대학원 인건비 실태조사’에 따르면 석사과정 연구원이 손에 쥐는 평균 인건비는 63만원, 박사과정은 99만원 수준이다. 인건비를 아예 받지 못하는 사례도 37%에 달했다. 구 단장은 “실제로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생활비를 받는 대학원생이 대다수”라며 “공무원들은 처우가 개선됐다고 홍보하지만 현실과 괴리가 크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9554eb0d8093d055ad269cab71a5e9285e0efdb28901f7fbd72557b80be499de" dmcf-pid="0ExcXBkPC3" dmcf-ptype="general">대학원생들은 값싼 인건비를 받고 ‘월화수목금금금’을 연구에 쏟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졸업까지 6~8년이 매몰비용으로 쌓이면 끝내 박사학위를 따야 한다는 압박감에 울며 겨자 먹기로 과정을 버틸 수밖에 없다. 구 단장은 “이들에게는 미안한 얘기지만 버티는 학생들이 생태계 교란종처럼 자리 잡으며 전반적인 연구 생태계가 망가지고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3cfab8dc4546d0e813e52387343591d0494dd06769e228ecb9305a1ef4ea5a04" dmcf-pid="pDMkZbEQhF" dmcf-ptype="general">외국 사례와 비교해도 한국의 연구 생태계 왜곡은 심각하다. 2022~2024년 각국의 교육부 자료를 살펴보면 전임교원 1명당 대학원생 수는 한국이 5.24명으로 미국(2.13명), 일본(1.38명), 중국(1.87명)보다 월등히 많다. 구 단장은 “학생들이 연구실 잡무, 안전관리, 문서 업무까지 떠맡는 구조에선 사고가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p> <p contents-hash="be0d099b0c03188f87fb166ef57b6c8ecb11a18dea9331793b569af4451c9381" dmcf-pid="UwRE5KDxTt" dmcf-ptype="general">이에 비해 미국과 유럽에서는 전문 연구원이 실험실의 핵심 인력이다. 구 단장은 “참여율 조정 같은 제도는 오스트리아 영국 네덜란드 등 어디에도 없다”며 “한국에만 존재하는 기형적 제도”라고 했다. 학생 연구원은 후학 양성을 위한 ‘교육’ 차원에서만 모집한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342b2a9c8257c020bfc28d1b1742f0222cee3483559f0b949161b5a269b878d4" dmcf-pid="ureD19wMl1" dmcf-ptype="general">연구자 사이에선 정부가 이런 기형적 구조를 손보지 않은 채 해마다 새로운 제도를 덧대면서 악순환의 고리가 더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표적 사례가 시간강사법이다. 2011년 시간강사의 열악한 처우와 사망 사건을 계기로 도입됐지만 되레 대학들이 시간강사를 대량 해고하거나 강좌를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그 결과 강의 부담은 전임교수에게 전가됐고, 이들의 연구시간은 더 줄어들었다. 구 단장은 “대학원생 인건비 표준화가 필요하다”며 “풀타임에 해당하는 학생은 최소한 최저임금을 넘는 임금을 받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8e022fc99397507001ca2570926716f97ceb1c29672099e06cb1f0d3e8557dd8" dmcf-pid="7mdwt2rRC5" dmcf-ptype="general">대전=이영애 기자 0ae@hankyung.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트와이스·레드벨벳·키오프, 멜론DJ가 뽑은 여름 대표 아티스트 09-02 다음 칭화대의 '최소 10년 투자' 원칙…스타트업 2000개 키워냈다 09-0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