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LGU+ 해킹 정황에 국회 압박…“자진신고 거부, 법 개정할 것” 작성일 09-02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041mt2rRC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4e495d699939b9cf276a829356df1a61adc2e6194bdaf5505132955f79795f8" dmcf-pid="p8tsFVmey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여야 의원들이 ‘방송 미디어 통신 거버넌스 개편 공청회’ 계획서 채택의 건에 대해 표결하고 있다.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2/dt/20250902171316314cinu.jpg" data-org-width="640" dmcf-mid="FlZYKdWAT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2/dt/20250902171316314cin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여야 의원들이 ‘방송 미디어 통신 거버넌스 개편 공청회’ 계획서 채택의 건에 대해 표결하고 있다.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7aa4f0a612035b54feb41c9ba84911f629c8f2e7ebcb18dce4999a14b85251a" dmcf-pid="U6FO3fsdTk" dmcf-ptype="general"><br>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KT와 LG유플러스 해킹 의혹에 대해 정밀 포렌식을 진행한다. 국회에서는 이동통신사의 조사 협조 의무 등을 강화하는 법안이 발의될 전망이다. 이에 대해 양사는 “해킹 정황이 없다”고 주장했다.<br><br> 과기정통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KT·LG유플러스 해킹 의혹에 대한 현장점검을 시작했다고 2일 밝혔다. 사업자도 정부 권유에 따라 사실조사에 협조하고 있고, 침해사고가 확인되는 경우 공개할 방침이다.<br><br> 전날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최근 KT와 LG유플러스도 해킹당한 정황이 있다는 취지의 익명의 화이트해커 제보를 받아 사실조사에 착수했다. 최근 미국 해킹 전문지 ‘프랙’은 북한 해킹그룹 ‘김수키’로 추정되는 조직이 한국 정부기관과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대규모 공격을 감행했다는 보고서를 공개했다.<br><br> 이에 따르면 국내 통신사에서 LG유플러스는 내부 서버 관리용 계정권한관리시스템(APPM) 소스코드와 8938대의 서버 정보 등을, KT는 인증서(SSL 키) 유출 정황이 발견됐다.<br><br> 이날 열린 국회 과방위에서 최민희 위원장은 “해킹 정황이 명백한데도 KT와 LG유플러스가 자진신고를 하지 않고 있다”며 질타했다. 최 위원장은 “다크웹에 올라온 자료가 해당 기업의 내부 정보와 일치한다”며 “침해 사고가 있었다고 볼 수밖에 없는데도 버티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br><br> 특히 최 위원장은 “KT가 내부 관리 계획에 따라 서버를 파기했다고 주장하지만, 이 시점에서 서버를 없앤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혹시 해킹 흔적을 없애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최 위원장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민관합동조사단 구성에 준하는 협조 의사를 밝혔다.<br><br> 이에 대해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KT에 자료 제출을 요구했고, 13일 수령해 KISA가 현장 점검을 진행 중”이라며 “결과에 따라 과기정통부가 추가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br><br>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초기부터 자진신고를 권유했지만, 사업자 측은 자체 조사에서 침해 정황을 확인하지 못했고, 신고 시 발생할 법적 부담 때문에 동의하지 않았다”며 “다만 정부 조사에는 적극 협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br><br> 민관합동조사단은 현장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현행 제도상 사업자가 자진신고를 해야 합동조사단이 공식 가동된다. 최 위원장은 “관련 개정안 낼 생각이고 빨리 통과시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개정안은 일반 침해사고 정황이 발견된 경우에도 정부가 기업에 직접 조사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br><br> 김나인 기자 silkni@d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행안부, 역대급 AI 예산 증액…SW업계 "정부 AI의지 엿보여" 09-02 다음 ‘2025 KBF바둑리그’ 6일 개막…4개월간 열전 돌입 09-0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