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11 보안 업데이트 후 일부 PC서 SSD 손상 사례 발생 작성일 09-02 2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대용량 파일 한꺼번에 복사시 인식 문제 발생... "업데이트 연기·제거 권장"</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i95p8Iiaj"> <p contents-hash="67d237261ec980a92643e9bb0ee72147b70701649d991fd6154d4e311040394a" dmcf-pid="yZsnjlVZAN"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권봉석 기자)마이크로소프트가 7·8월에 배포한 윈도11 보안 업데이트 이후 ▲전체 용량을 60% 이상 채운 SSD에서 ▲수십 GB 이상 파일을 기록하거나 ▲수백 개로 구성된 압축파일을 한꺼번에 풀 경우 SSD가 손상되는 문제가 보고되고 있다.</p> <p contents-hash="6397461b6682553fe1a052a7dfc5a6b53610067b42b74f98e10304ae1b03cce2" dmcf-pid="W5OLASf5Na" dmcf-ptype="general"><span>이 문제는 자동 업데이트나 패키지 업데이트로 'KB5063878', 'KB5062660' 등 업데이트 두 건이 배포된 8월 12일 이후 미국과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빈발하고 있다. 문제가 발생하면 SSD가 인식되지 않거나 데이터가 손상되기도 한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617257e9cbe04ef803975fe32444ed0bd1bd5f307537585670c718a4e55f00c" dmcf-pid="Y1Iocv41k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씨넷"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2/ZDNetKorea/20250902170051857tlnx.jpg" data-org-width="640" dmcf-mid="8xS8RkphN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2/ZDNetKorea/20250902170051857tln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씨넷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c883c7e9a6c5891c93a8e196c19ceb43e3d3968b99dde9df680249867e20c75" dmcf-pid="GtCgkT8tko" dmcf-ptype="general">문제는 특정 제조사가 아닌 다양한 제조사 SSD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뿐만 아니라 파이슨 등 SSD 컨트롤러 제조사도 뚜렷한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p> <p contents-hash="8042847cad0ae43af9b2f06c3bba6e500ecf5dbf6c7f6612c880735aeb0528d9" dmcf-pid="HFhaEy6FaL" dmcf-ptype="general"><strong>7·8월 윈도11 업데이트 설치 이후 문제 발생</strong></p> <p contents-hash="f7c3d4eed61df8069e93a48451e0d4abcd8673115cdc7a8c625a7d5137f22d98" dmcf-pid="XpvArGxpkn" dmcf-ptype="general">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 7월 22일과 8월 12일 두 차례에 걸쳐 윈도11 보안 업데이트와 AI 구성 요소 업데이트를 담은 'KB5062660', 'KB5063878' 등 업데이트 패키지 두 건을 배포했다.</p> <p contents-hash="6bc27e1c35fbde0857d86620a978f1445ea634ac54a74cafa2a51e4b0805f8f3" dmcf-pid="ZUTcmHMUoi" dmcf-ptype="general">그러나 다양한 SSD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복사한 후 문제가 발생한다는 보고가 이어졌다. 레딧과 X(구 트위터) 등에서 이 문제를 겪은 소비자들은 공통적으로 "전체 용량을 60% 이상 채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나 SSD 등에서 문제가 발생했다"고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aafb6f924713bc632d7ddb4640e50bcfa72a067a80ed22bd0e87627e69b6f89" dmcf-pid="5uyksXRuk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PC용 SSD. (사진=펙셀즈)"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2/ZDNetKorea/20250902170053198iupt.jpg" data-org-width="640" dmcf-mid="6MHrhtiBg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2/ZDNetKorea/20250902170053198iup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PC용 SSD. (사진=펙셀즈)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1a27d0c48cffeec740dc56239bb33e067f6082d9ff74992d6ba938b84b10d1a" dmcf-pid="17WEOZe7kd" dmcf-ptype="general">업데이트 설치 후 수십 GB 가량의 파일을 복사하면 윈도 운영체제에서 드라이브가 인식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일부 제품은 재부팅 후에도 인식에 실패하며 이 경우 데이터를 완전히 날리게 된다.</p> <p contents-hash="acdd70e96324db15762a800de593ae4ba67d21b036351f66812f214576ad308d" dmcf-pid="tzYDI5dzke" dmcf-ptype="general"><strong>파이슨·마이크로소프트 "문제 재현 불가"</strong></p> <p contents-hash="0b35666546687e6c7f275b78107d88e1b0b3ec9f56a7c048660cf0ee97918232" dmcf-pid="FqGwC1JqgR" dmcf-ptype="general">이 문제가 드러난 이후 SSD 컨트롤러 칩을 생산하는 대만 팹리스인 파이슨(Phison) 제품의 구현에 문제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파이슨은 일반 소비자용 SSD 시장에서 실리콘모션과 시장을 양분하고 있으며 씨게이트 등 여러 제조사에 컨트롤러를 공급한다.</p> <p contents-hash="52c1ccdf3cca407be4bc7515c9206b37a889e8c73fa82bcfdc0b43d54b42ec9a" dmcf-pid="3BHrhtiBkM" dmcf-ptype="general">파이슨 관계자는 2일 지디넷코리아 질의에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업데이트 설치 이후 발생하고 있는 문제에 대해 마이크로소프트와 함께 해당 문제를 검증했고 문제가 된 SSD 제품을 테스트했다"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2c895273829b7834fa8a36a7cc3878ab077ee200ef928c2f1713c2e94795db9" dmcf-pid="0bXmlFnbA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파이슨 PS5031-E31T 컨트롤러 탑재 PCIe 5.0 SSD 시제품.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2/ZDNetKorea/20250902170054555gukm.jpg" data-org-width="640" dmcf-mid="PUzY19wMj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2/ZDNetKorea/20250902170054555guk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파이슨 PS5031-E31T 컨트롤러 탑재 PCIe 5.0 SSD 시제품.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742a650e5dcab8d7250e98a46be9ac09ae4d575520ff75f3dcf99704557b732" dmcf-pid="pKZsS3LKoQ" dmcf-ptype="general">이어 "파일 복사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스크립트를 이용해 다양한 컨트롤러를 적용한 SSD에서 누적 4천500시간 이상 테스트를 진행했지만 파이슨은 물론 마이크로소프트도 해당 문제를 재현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46288391f08de98e9a8ab71024229abfaf3f9d90656477b37cb921ff97d68b86" dmcf-pid="U95Ov0o9oP" dmcf-ptype="general"><strong>"문제 해결시까지 업데이트 미루거나 제거 권장"</strong></p> <p contents-hash="987ca85fed24bf06211386c78b6896627574cc3dd3b5f6aba3e8ff713aa9e542" dmcf-pid="u21ITpg2k6" dmcf-ptype="general">현 시점에서 SSD 등 저장장치가 손상되는 문제 원인은 특정 제조사 컨트롤러 칩보다는 윈도11 운영체제 업데이트, 혹은 드라이버나 소프트웨어 문제로 추정된다.</p> <p contents-hash="ade81e14fac904d581c63fcdc4e074ad7bc5183a53f2255b6b329700415dbd66" dmcf-pid="7VtCyUaVc8" dmcf-ptype="general">파이슨은 "해당 문제는 SSD가 아니라 윈도11 업데이트 문제로 보이지만 해당 문제를 재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중"이라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e3d063b4b4ca88f8280ac1d4dbdf150bde6e41b1bfe6bb29ae418d7afb8a3e5" dmcf-pid="zfFhWuNfo4"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M.2 NVMe SSD 방열판. (사진=지디넷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2/ZDNetKorea/20250902170055939hbck.jpg" data-org-width="640" dmcf-mid="QgtCyUaVc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2/ZDNetKorea/20250902170055939hbc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M.2 NVMe SSD 방열판. (사진=지디넷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c80e6eab7a8ddfe9973161ec287f61d05a2459a8c47f66496376187803d8090" dmcf-pid="q43lY7j4Af" dmcf-ptype="general">이어 "저장장치 보호와 정상 작동을 위해 모든 SSD에 적절한 전력 공급과 냉각 수단을 적용하도록 권고한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9bb3ae9ab6a2ea4cdbda19842bc4016dbba1307cae4300c50c7117ee51b2ebd7" dmcf-pid="BykMnmqyAV" dmcf-ptype="general">스토리지 제조사 관계자는 "사진이나 고해상도 동영상, AI 모델 등 대용량 데이터를 빈번하게 읽고 쓰고 있다면 문제가 완전히 해결될 때까지 'KB5063878', 'KB5062660' 등 업데이트를 미루거나 잠시 제거하라"고 조언했다.</p> <p contents-hash="f3057384958f3f4a1cc8550cf80e0e10e2bf488c41ca64ee1e6363a25bf4eddf" dmcf-pid="bWERLsBWo2" dmcf-ptype="general">권봉석 기자(bskwon@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리뷰] 더 좋은 모습으로 돌아온 '별의 커비 디스커버리 + 스타리 월드' 09-02 다음 KT·LGU+ 해킹 여부 논란…국회, 자진신고 안해도 조사 가능법 추진 09-0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