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로봇청소기, 사생활 침해 등 보안 취약 작성일 09-02 2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E0QkT8tEB"> <p contents-hash="a6cc22a263ec28821addd54d837a20192213f20019be5553401deeeaf1a303e2" dmcf-pid="3DpxEy6FDq" dmcf-ptype="general">중국 로봇청소기에서 보안 취약점이 공식 확인됐다. 일부 제품에서는 집 안 사진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카메라가 무단으로 활성화되는 등 사생활 침해 위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p> <p contents-hash="35d9cd3f916f35ae0d2980e5485b9e77cfb572317cc92aa882c68569e722d91b" dmcf-pid="0wUMDWP3rz" dmcf-ptype="general">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한국소비자원은 6개 로봇청소기 보안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사생활 침해와 개인정보유출 가능성이 있는 보안 취약점을 확인, 즉시 조치했다고 2일 밝혔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bff5a4be176f31d84146dbb203b3c38088d51f99b0cebf8fe3b6220afd4544e" dmcf-pid="pruRwYQ0D7"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2/etimesi/20250902143647490hlwi.jpg" data-org-width="700" dmcf-mid="uTCT7QloD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2/etimesi/20250902143647490hlw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89b550a9019e47a7a73cb9b31f5cfa6051b946f2a77557ca0bd5a9147a74188" dmcf-pid="Um7erGxpsu" dmcf-ptype="general">조사 대상은 △나르왈(프레오 Z 울트라) △드리미(X50 울트라) △로보락(S9 맥스V 울트라) △삼성전자(비스포크 AI 스팀) △에코백스(디봇 X8 프로 옴니) △LG전자(코드제로 로보킹 AI 올인원) 제품이다.</p> <p contents-hash="e897f3478144c27b8bbd31d46a1b35340c7eb2e698ff6114910d4f4467ff5a06" dmcf-pid="uszdmHMUwU" dmcf-ptype="general">KISA와 소보원은 로봇청소기를 제어·설정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보안', 제조사의 보안 업데이트 정책·개인정보 보호정책 등을 포함한 '정책 관리', 하드웨어·네트워크·펌웨어(내장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기기 보안'으로 나눠 총 40개 항목을 5개월에 걸쳐 점검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a16b7378f594dce0f089ba8579abd2b82ed42a7fc7f64f794eda1339b754de2" dmcf-pid="7OqJsXRuO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로봇청소기 보안점검 종합결과 (자료=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소비자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2/etimesi/20250902143648811ohgc.jpg" data-org-width="700" dmcf-mid="76hyzxSgs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2/etimesi/20250902143648811ohg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로봇청소기 보안점검 종합결과 (자료=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소비자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7ee413662d2277600690684e01a5c908ccb2d97eb8b02da682ba3ab55e000b0" dmcf-pid="z1em5KDxE0" dmcf-ptype="general">◇로봇청소기 카메라 해킹…우려가 현실로</p> <p contents-hash="991d34e211b398d4bdfbe9d527b7c02cd170dc467d2caa122971105897356ce5" dmcf-pid="qtds19wMs3" dmcf-ptype="general">그동안 제기된 로봇청소기 카메라를 이용한 사생활 침해 가능성은 실재했다. 모두 글로벌 인증기관의 보안인증을 받은 제품이지만 보안 취약점이 상당수 발견된 것이다.</p> <p contents-hash="6ccd62cb84d849e3502187354e010614297b9bab2347d0668750d25e8a9f587f" dmcf-pid="BFJOt2rRsF" dmcf-ptype="general">모바일앱 보안 점검 결과, 나르왈·드리미·에코백스 제품은 사용자 인증 절차가 미비해 불법 접근이나 조작이 가능했다. 공격자가 집 내부를 촬영해 외부로 노출하거나 카메라 기능을 강제로 활성화할 수 있어 사생활 노출 위험이 있었다.</p> <p contents-hash="a56b6c8728b55d5a15bf7db5c5a851a3fdfafa6dc77f92ed7a8f041a5f683f92" dmcf-pid="b3iIFVmeOt" dmcf-ptype="general">에코백스 제품은 공격자가 사용자 사진첩에 악성파일을 전송해 불특정 다수가 악성파일에 노출될 가능성이 발견돼 조치가 이뤄졌다.</p> <p contents-hash="2e682c5d440acb1d6fd8c39eb3cffc078b54201c8927215ad3c3a2f714afafbd" dmcf-pid="K0nC3fsdr1" dmcf-ptype="general">나르왈은 모바일앱 보안에서 '미흡' 등급을 받았다. 드리미와 에코백스는 '보통' 등급에 그쳤다.</p> <p contents-hash="a14756f48b310e2c820d41ebc9a7a1fdfed5cfd0335d9d373fbc486ad2f0a71c" dmcf-pid="9pLh04OJr5" dmcf-ptype="general">조사 대상 6개 제품 모두 펌웨어 보안 설정이 부족해 기기의 내부 보안 매커니즘이 외부에 노출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개 취약점 목록에 등록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 개선 권고를 받았다.</p> <p contents-hash="a7ae0ef759b94d2f06a1b751df8b8f00e046835ffc0bd51a97cf21a6d4c2badc" dmcf-pid="2Uolp8IimZ" dmcf-ptype="general">네트워크 보안은 6개 제품 모두 안전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등 전반적으로 양호했다.</p> <p contents-hash="4eeab9a6b49755110775d37b8872bf54a70fd14e6e6a082c152a1467862bc673" dmcf-pid="VugSU6CnsX" dmcf-ptype="general">◇개인정보관리도 부실</p> <p contents-hash="801dd55d0ba0f7d8484d4927310a5c11794d42302568044c7f86d4e2d582ba0d" dmcf-pid="f7avuPhLwH" dmcf-ptype="general">개인정보관리 체계에서 드리미는 '미흡', 에코백스는 '보통' 등급에 그쳤다. 삼성전자·LG전자·로보락· 나르왈은 '양호' 등급을 받았다.</p> <p contents-hash="c58d67c529f8276a671a1c53baa555054afc4bc09ab503df2e70eb999e4511f5" dmcf-pid="4zNT7QloDG" dmcf-ptype="general">드리미는 사용자가 글로벌 웹사이트(포럼) 게시판에 글을 작성하면 제3자가 공개된 사용자의 식별자 정보를 이용해 별도 인증절차 없이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를 조회할 수 있었다. 제조사 취약점 관리, 보안 업데이트, 개인정보보호 정책도 미흡했다.</p> <p contents-hash="ca4dc805ffe2817754689c1f36e9300ce883a0089538054226e4db8fa29d3ea4" dmcf-pid="8qjyzxSgOY" dmcf-ptype="general">에코백스는 보안 업데이트 정책이 미흡했다.</p> <p contents-hash="ce43f8d49454c5a49d600087195e69d47fe73ceb9e820ef2d59bb3f80a07653b" dmcf-pid="6BAWqMvasW" dmcf-ptype="general">사물인터넷 보안기업인 지엔 조영민 대표는 “외부 인증기관의 보안인증은 필요 요건 충족을 점검하는 차원이며 실제 보안성과 직결하지 않는다”며 “보안 취약성 점검을 위해 별도 깊이있는 테스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6be77b453ff60859e52eea2caa823a3845a7109bdf46b4c0c4090350477791d" dmcf-pid="PbcYBRTNOy" dmcf-ptype="general">KISA는 “한국소비자원과 협력해 로봇청소기 등 사물인터넷(IoT) 제품의 보안 관리 강화 점검을 지속 추진하겠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조사 결과에 따른 보안 이슈를 공유하고 사물인터넷 제품의 보안성 제고를 위한 정책·기술적 협력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4a8fcf5523d032fa84444f81241c59f1f7f7efe906cbe61393d609e401135734" dmcf-pid="QKkGbeyjwT" dmcf-ptype="general">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 조재학 기자 2jh@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청소년 SNS 금지, 호주서 시행 임박…정책 효과 제대로 확인하려면 09-02 다음 2026년 국가대표 선발전 겸한 홍범도장군배 사격대회 개막 09-0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