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청소기 보안 점검했더니..."사생활 노출 우려" 작성일 09-02 2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KPnvjlVZls"> <p contents-hash="060c1630449470e8102e1d3ea4dce9e82e09d70d8f65d8d15d29528606829eb5" dmcf-pid="9QLTASf5hm" dmcf-ptype="general">소비자들이 자주 쓰는 로봇청소기에 집 내부 사진이 유출될 수 있다는 보안 취약점이 발견됐다. 중국 업체가 만든 로봇청소기들이 주로 적발됐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a3dd6ffe666af89b9ab5e10e109f2117f725ada622a2e2755271c109be543db" dmcf-pid="2xoycv41y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해당 제품 사진은 기사와 관계 없음. 뉴스1"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2/joongang/20250902141141414jgbm.jpg" data-org-width="559" dmcf-mid="BEiSNh2Xy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2/joongang/20250902141141414jgb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해당 제품 사진은 기사와 관계 없음. 뉴스1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608071caac883573c37f6421dd487981c48ac84cb136410a1bda86e5ca1b9d1" dmcf-pid="VMgWkT8tCw" dmcf-ptype="general">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한국소비자원과 함께 시중에 유통 중인 로봇청소기 6개 제품의 보안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사생활이 침해될 수 있는 보안 문제를 발견했다고 2일 밝혔다. </p> <p contents-hash="82f1f171516dfa98c6403ff84d2d6c0ae2e385bf5c6124ebcbd685d285e2bf1a" dmcf-pid="fRaYEy6FTD" dmcf-ptype="general">로봇청소기는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사물 인터넷(IoT) 제품이다. 장애물 회피와 동선 확인 등을 위해 카메라가 탑재돼있으며 사용자가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게 사진을 촬영한다. 편리함 덕분에 최근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나, 보안성이 미흡할 경우 개인정보 등이 유출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p> <p contents-hash="af1d6cc76079242e4946ebc81707afc0ea0c731a68c83baf3e53200d097b1c01" dmcf-pid="4eNGDWP3lE" dmcf-ptype="general">KISA 등은 로봇청소기를 제어·설정하는 ‘모바일앱 보안’, 제조사의 보안 업데이트 정책·개인정보보호정책 등을 포함한 ‘정책 관리’, 하드웨어·네트워크·펌웨어(내장소프트웨어) 등 ‘기기 보안’ 분야로 나누어 총 40개 항목을 점검했다. </p> <p contents-hash="989c97c5d91e64648e2792834cc758f1c39d769d1b85e6b69c834f07eb81a7fb" dmcf-pid="81zL2iGkyk" dmcf-ptype="general">모바일앱 보안 점검에서는 나르왈 프레오 Z 울트라(YJCC017), 에코백스 디봇 X8 프로 옴니(DEX56) 2개 제품이 사용자 인증 절차가 미비해 불법적인 접근이나 조작 가능성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집 내부 촬영 사진이 외부에 유출되거나 카메라 기능이 강제로 켜질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이 확인됐다. 드리미 X50 울트라(RLX85CE)의 경우 외부인이 사용자의 카메라를 실시간으로 조회하고, 사진첩(사진 및 영상 앨범) 열람 기능에 접근할 수 있는 보안취약점이 확인됐다. 나르왈, 드리미, 에코백스 모두 중국 로봇청소기 기업이다. </p> <p contents-hash="a4c8507ad21fa5ba539df6b80c4056a87f5ecf001112ed7a7f3a6919ae5e049a" dmcf-pid="6tqoVnHElc" dmcf-ptype="general">정책 관리 점검 결과, 드리미 1개 제품에서 이름, 연락처 등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있는 취약점이 발견됐다. KISA 등은 “일반적인 사용 환경에서는 악용 가능성이 다소 낮지만, 특정 수준 이상의 해커에 의해 악용될 소지가 있어 사업자에게 즉시 조치를 주문해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p> <p contents-hash="e58235223c1cff69c9c4e0d5139b99b3e4df7ed4a54d9221dbdb413254a1a9c6" dmcf-pid="PFBgfLXDvA" dmcf-ptype="general">기기 보안 점검에선 드리미, 에코백스 2개 제품의 하드웨어 보안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조사대상 제품 전반적으로 펌웨어 보안 설정이 충분하지 않아 기기의 내부 보안 구조가 외부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55dcf53a727aa22dc83ef2527956ea6f8d00e2f524303434faa903e7ddbb965" dmcf-pid="Q3ba4oZwv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박경민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2/joongang/20250902141142684zuia.jpg" data-org-width="560" dmcf-mid="bu1QU6Cnv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2/joongang/20250902141142684zui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박경민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5315038a43535591cd490b28f7d1f9208214e4fb714fa5715fe7b891f18c0d3" dmcf-pid="x0KN8g5rWN" dmcf-ptype="general"><br> 조사대상 6개 제품 중 삼성전자, LG전자 2개 제품은 접근 권한 설정, 불법 조작 방지 기능, 안전한 패스워드 정책, 업데이트 정책 등이 비교적 잘 마련되어 있어 종합적인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p> <p contents-hash="04b1b8dd26a7db918fec5f9391351e68331450902ecd4aa5f3c3d69857663900" dmcf-pid="yNm0lFnbWa" dmcf-ptype="general">KISA와 한국소비자원은 전체 조사대상 6개 사업자에 모바일앱 인증 절차, 하드웨어 보호, 펌웨어 보안 개선 등 취약점에 대해 보안성 향상을 위한 조치를 권고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로봇청소기 사용 시 안전한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보안 업데이트를 하는 등 기본적인 보안에 주의해야한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1e11a98d2753250fcd4ed927b68c9146a949ebfcaa1f8275d2447487f2784e61" dmcf-pid="WjspS3LKWg" dmcf-ptype="general">■ 더중앙플러스 : 팩플</p> <p contents-hash="cc0bfe980a180505ae9cc528c7f5102106d1e36269829c604ec08a83e07251ff" dmcf-pid="YAOUv0o9To" dmcf-ptype="general">「 더 자세한 기사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p> <p contents-hash="ea56036ecb39802d63d4e10d9910d5089d146f44f052e2d8a65220af96b5893e" dmcf-pid="GcIuTpg2lL" dmcf-ptype="general">인천-LA 항공권 싸게 사는 법? 챗GPT에 ‘이 명령어’ 넣어라 [AI 마스터 클래스①] <br> 챗GPT, 한 번도 안 써본 사람부터 아직도 인터넷 검색을 수십 번 해가면서 보고서를 쓰고 있는 사람, 인포그래픽을 PPT 수작업으로 한땀 한땀 만들고 있는 사람, 하나하나 버튼을 눌러 메일을 보내고 있는 사람까지 모두 주목. 직장 업무부터 연구조사, 학업까지 각 영역별 똑똑해진 챗GPT 어떻게 쓰면 좋을지 싹 다 정리했다. 새로 나온 GPT-5 활용법도 함께 정리했다. 이번 마스터 클래스로 AI 완전정복 시작! <br>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0677 </p> <p contents-hash="a9d5fcd60ab0abe811d5ec572b98258c1052d706d4eb0832f71f750dd9f08c1f" dmcf-pid="HkC7yUaVSn" dmcf-ptype="general">내 PC 속 엑셀도 정리해줬다, 말만 하면 다 해주는 클로드 [AI 마스터 클래스②] <br> 요즘 취준생에게 가장 필요한 AI기술. 똑똑하기로 소문난 앤스로픽의 클로드를 활용해보자. 당신이 몰랐던 AI의 신세계가 열릴 수 있다. 당신의 문체를 완벽하게 따라하는 대필 기능부터 엑셀·PPT 등 외부 프로그램 속 정보를 불러와 정리해주는 기능, 코드 한 줄 몰라도 대신 게임을 뚝딱 만들어주는 능력을 갖춘 AI다. 클로드의 모든 기능을 기초부터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모든 것을 담았다. <br>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2437 <br> 」</p> <p contents-hash="98dcb1639af81a8322fda5c1c787cb447ed13bb9008a12900402c6872d227c3e" dmcf-pid="Xsy9ZbEQCi" dmcf-ptype="general">김남영 기자 kim.namyoung3@joongang.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케이팝드', 애플TV+ 글로벌 4위·韓 1위…라이오넬 리치 '반색' 09-02 다음 절친 김신영 질투할 만하네…이석훈, 콘서트→뮤지컬 열일 “자존감 올라가” (정희) 09-0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