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내년 'AI 민주정부' 구현에 8649억 투입…행정 효율·국민 맞춤 서비스 초점 작성일 09-02 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Gyq67j4s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1d47a5d9a641ad35b85e1beb80f7b4e319538539c3628e2f5f0a30366ad06d1" dmcf-pid="3HWBPzA8m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사진=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2/etimesi/20250902120246141pnac.jpg" data-org-width="700" dmcf-mid="1M2grLXDr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2/etimesi/20250902120246141pna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사진=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9dca0e6421b5385dd9a9419fe4b65399ff3d67d1786fb0b88051eeb1f39db3c" dmcf-pid="0XYbQqc6rk" dmcf-ptype="general">행정안전부가 내년도 예산안에 인공지능(AI) 민주정부 구현을 위해 8649억원을 편성했다. 공공 부문에 AI를 본격 도입해 행정업무 효율화와 국민 맞춤형 서비스 강화를 추진한다.</p> <p contents-hash="81a4973be962d77e00dc35440ee8df59096ec9b37f9425a4de8b7e4ddd58e839" dmcf-pid="pZGKxBkPrc" dmcf-ptype="general">행안부가 2일 발표한 2026년도 전체 예산안은 76조4426억원이다. 사업비는 올해 본예산 대비 43.8% 증가한 6조6665억원이다. 지방교부세 69조3459억원, 인건비·기본경비는 4302억원으로 편성됐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709e3221c9443baa60f0a44197000fbd12b86a547ee0922fa19324ee183781a" dmcf-pid="U5H9MbEQO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026년 행안부 AI 관련 예산 증액 현황. - [자료= 행안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2/etimesi/20250902120247531kudp.png" data-org-width="697" dmcf-mid="tGfNsg5rs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2/etimesi/20250902120247531kudp.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026년 행안부 AI 관련 예산 증액 현황. - [자료= 행안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b6cc6a82c2ac18170e930ba9fc43d95bd63dfc2dc9acb7100c63554fd2149ba" dmcf-pid="u1X2RKDxrj" dmcf-ptype="general">AI 민주정부 구현 관련 주요 항목은 공공부문 AI 서비스 지원 206억원, 범정부 AI 공통기반 74억원, AI 행정업무 적용 187억원 등이다. 행정문서 초안 작성과 편집 지원 등을 통해 업무 적용을 확대한다.</p> <p contents-hash="bab624784ccc9f295ce7581baf28338be6eb6e6c17859c6cfac4ceff0f3699e2" dmcf-pid="7tZVe9wMrN" dmcf-ptype="general">국민 맞춤형 서비스 분야에서는 '혜택알리미' 사업이 56억원으로 증액됐다. 여기에 8억원을 신규 편성한 AI 에이전트 연계 사업을 통해 국민이 일상 언어로 요청하면 혜택 신청까지 자동으로 이어지도록 기능을 확대한다. 또 공공데이터 구축·개방 예산은 305억원으로 늘렸다.</p> <p contents-hash="796a986e918302141700c70738d18182926363ca302c9da6e55e42352a873e80" dmcf-pid="z42grLXDOa" dmcf-ptype="general">국민 안전 확보에는 2조5197억원을 배정했다. 재난안전 AI 관제체계와 데이터 구축 124억원, 재난안전 드론 상황실 연계·역량 강화 34억원, 국민안전산업펀드 50억원을 포함했다. 재해위험지역 정비는 1조488억원, 재난대책비는 1조100억원으로 증액했다.</p> <p contents-hash="3ad2bd8d55aa3436918c054b63ff62594beda038c96ec75be2c9072dc762c6c8" dmcf-pid="q8VamoZwrg" dmcf-ptype="general">자치발전·균형성장에는 2조5921억원을 편성했다.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지원 1조1500억원, 지방소멸대응기금 1조원, 마을기업 육성 53억원 등이다. 특수상황지역개발 1994억원,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 799억원, 접경권발전지원 533억원, 섬 발전 협력사업 153억원, 서해5도종합발전지원 107억원으로 소외지역 지원을 확대했다.</p> <p contents-hash="eb6e8c9e254c76faee1b62d608c09bedb4d617e34fcc9b76c3c6601e42916667" dmcf-pid="B6fNsg5rOo" dmcf-ptype="general">사회통합·과거사 해결에는 6898억원을 반영했다. 자원봉사 활성화 178억원,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자 전국단위 위령시설 184억원, 국립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센터 32억원,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조사·지원 86억원 등이다.</p> <p contents-hash="d78ac5925560e82b1e1ed02b31820227010dd68eec96ce0e293462a868e7ce67" dmcf-pid="bP4jOa1mEL" dmcf-ptype="general">행안부는 예산안을 2일 국회에 제출했다. 예산안은 상임위와 예결위 심사를 거쳐 12월 본회의에서 확정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ef386c4789af6a12df791043eb1cb0ac8a275d8afe69b25d71c16c7e993cf6f2" dmcf-pid="KQ8AINtsDn" dmcf-ptype="general">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2026년도 행정안전부 예산안은 국민행복을 최우선 목표로 '세계 최고 AI 민주정부 구현', '국가 재난안전관리 역량 강화', '자치발전 및 균형성장 촉진', '연대와 화해에 기반한 사회통합' 등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핵심 과제를 중심으로 편성했다”며 “앞으로 국회 심의과정에서 정부안이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5ab60417445d5cd9c0a5692c85b607e042234f0ef9e11f22bca63ba3c84cfae3" dmcf-pid="9x6cCjFOwi" dmcf-ptype="general">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피프티피프티 소속사 어트랙트, 5억 수출신용보증 획득…"엔터사로선 이례적" 09-02 다음 저스디스 "'보플2', '쇼미' 기준으로 평가 못해…대중의 눈으로 심사" 09-0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