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따라 '뇌 크기' 조절하는 땃쥐…"뇌질환 치료 실마리" 작성일 09-02 1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9ZAHoZwR2">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11939c2009ad50520e1d6d02c1e4f937fbf0c7cf5ef4b743d70b7dd2c56f4ed" dmcf-pid="t0ldCQlod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땃쥐류 동물인 첨서(학명 Sorex araneus)가 연구진의 손 위에 올라가 있다. Christian Ziegler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2/dongascience/20250902050128191knkw.jpg" data-org-width="680" dmcf-mid="6BCuJFnbi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2/dongascience/20250902050128191knk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땃쥐류 동물인 첨서(학명 Sorex araneus)가 연구진의 손 위에 올라가 있다. Christian Ziegler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94adf39676208076effadb5e9038c14b7ab98c44541fbea810749761ded1a04" dmcf-pid="FpSJhxSgiK" dmcf-ptype="general">땃쥐류 동물인 '첨서(학명 Sorex araneus)'는 겨울에 뇌 크기를 줄였다가 여름에 다시 늘리는 매우 희귀한 습성이 있다. 과학자들이 수분량 조절을 통해 첨서의 뇌 크기가 변화하는 과정을 규명했다. 연구결과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 뇌가 위축되는 인간 뇌질환 치료에도 잠재적인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p> <p contents-hash="7d2a4ff797361d25ff288a1e6f8102bf0b0ce9e91a1ecc874d05f029137b65d2" dmcf-pid="3UvilMvaJb" dmcf-ptype="general"> 세실리아 발도니 독일 막스플랑크 동물행동연구소 연구원팀은 첨서가 겨울에 뇌 크기를 줄였다가 여름에 건강하게 복구하는 비결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공개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fe8476b755ab8c03de58e3831497d5e8d99711f57dc78f49b10e279234507b0" dmcf-pid="0uTnSRTNJ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땃쥐의 뇌와 유로 1센트 동전 크기를 비교한 사진. Max Planck Institute of Animal Behavior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2/dongascience/20250902050129428hvjn.jpg" data-org-width="680" dmcf-mid="XspeIPhLL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2/dongascience/20250902050129428hvj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땃쥐의 뇌와 유로 1센트 동전 크기를 비교한 사진. Max Planck Institute of Animal Behavior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cb784d802c5d79ae8a3d02aff131389d6ccff93db1f36182d4e4235f3904b2d" dmcf-pid="p7yLveyjLq" dmcf-ptype="general">데넬 현상(Dehnel’s phenomenon)은 뇌의 크기가 줄어들었다가 손상 없이 다시 복구되는 희귀한 현상이다. 현재까지 유럽 땃쥐, 스컹크, 족제비 등에서만 확인됐다. 데넬 현상을 겪는 동물은 여름부터 늦겨울까지 뇌가 작아졌다가 봄이 되면 다시 뇌가 커진다.</p> <p contents-hash="13b266b48386e85206aad12584a756a0ae51ca0808186c4f12c6991ea891b271" dmcf-pid="UzWoTdWALz" dmcf-ptype="general"> 데넬 현상은 먹이가 부족한 겨울에 동물들이 에너지를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땃쥐류는 계절과 관계 없이 몇 시간마다 먹이를 섭취해야 생존하기 때문이다. 뇌 손상 없이 계절마다 뇌의 크기가 줄었다 늘기를 반복하는 과정은 수십년 동안 과학자들의 관심을 끌었지만 명확한 원리는 불명확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37c51854513bdb5b8faf4ed258b6f947730c04194b20e06bf8d997bfae73291" dmcf-pid="uqYgyJYcn7"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땃쥐의 여름(왼쪽) 뇌와 겨울 뇌를 비교해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한 그림. 겨울보다 여름에 뇌의 부피가 더 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Dominik von Elverfeldt/University of Freiburg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2/dongascience/20250902050130680ryio.png" data-org-width="680" dmcf-mid="ZpfcXg5rJ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2/dongascience/20250902050130680ryio.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땃쥐의 여름(왼쪽) 뇌와 겨울 뇌를 비교해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한 그림. 겨울보다 여름에 뇌의 부피가 더 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Dominik von Elverfeldt/University of Freiburg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392e02d6a7fedc1acc38dcf63712964cd870e7bedd19ed2542f0f7602b1b0b1" dmcf-pid="7BGaWiGknu"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여름에 독일에서 포획한 야생 첨서의 뇌를 비침습적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스캔하고 겨울에 재포획해 다시 스캔했다. 여름과 겨울의 뇌 조직 세포 수도 확인했다.</p> <p contents-hash="40e3d359b113048dd3e77cdf189b902a7c1572105df3bfc50beb59caa1ec9e08" dmcf-pid="zbHNYnHERU" dmcf-ptype="general"> 분석 결과 첨서의 뇌는 여름부터 겨울까지 부피가 9%나 줄어들었지만 세포가 죽은 것은 아니었다. 세포 내의 수분만 줄어든 것이다. 뇌의 모든 영역이 동일한 비율로 수축하지는 않았다. 기억력이나 운동 등 인지 기능을 담당하는 피질과 소뇌 부분은 수분이 일정하게 유지됐다. 발도니 연구원은 "운영을 줄여도 되는 부분의 전력 공급만 줄이는 식"이라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e1f7604c835414e4bf13422baaff7da1e2fc684e398532a7f5b2ba0c1263f7a" dmcf-pid="qKXjGLXDR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첨서가 연구진의 손 위에 올라가 있다. Christian Ziegler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2/dongascience/20250902050132084tdcm.png" data-org-width="680" dmcf-mid="5jozn0o9L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2/dongascience/20250902050132084tdcm.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첨서가 연구진의 손 위에 올라가 있다. Christian Ziegler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f3aaa29af531b6e8784436e03b4d4e1019da091f15515fa34580222d0aa69f7" dmcf-pid="BKXjGLXDJ0" dmcf-ptype="general">세포 수분을 조절하는 단백질인 '아쿠아포린4'가 첨서의 뇌세포 내부 물을 배출하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아쿠아포린4는 뇌질환을 앓는 인간의 뇌에서도 다량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작아진 첨서의 뇌와 위축된 인간 뇌에서 유사한 특성이 발견된 것이다. 인간 뇌 위축을 예방하거나 위축된 뇌를 다시 회복하는 치료법은 현재까지 존재하지 않는다.</p> <p contents-hash="955399257db1eb4a796f3febab36b4b72c11b3efc569549a63e6bb42490ba7c8" dmcf-pid="b9ZAHoZwR3" dmcf-ptype="general"> 연구팀은 "땃쥐류의 뇌 위축이 인간의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유사하기 때문에 인간 뇌질환 치료의 잠재적 경로를 제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713db44a2599160ed04d2b02b573ac957f2980b61abc209b847e3c81a34849a6" dmcf-pid="K25cXg5reF" dmcf-ptype="general"> <참고 자료><br> - doi.org/10.1016/j.cub.2025.08.015 </p> <p contents-hash="719c37d0df2d94f7b16b81d187493386675776ed7b52deee9b1d91f0dc4d736d" dmcf-pid="9V1kZa1mit" dmcf-ptype="general">[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민정·손예진, 베니스 빛낸 여신…우아한 미모 09-02 다음 마비환자 컴퓨터 조작능력 3.9배 높이는 'AI 공동파일럿' 09-0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