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LG U+ 중국계 해커 침투 정황…자체 근거로 당국조사 거부 작성일 09-01 3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정부, 7월에 해킹으로 잠정결론…계정 관리 소스코드·DB 유출"<br>"현행법상 기업이 침해 신고 안 하면 당국 현장조사 불가"</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8WwukphX5">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8e723dabcc5348784aea997fc3363062e309462807fb40a2e3a7fd933464e3d" dmcf-pid="B6Yr7EUl5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WS1/20250901230911842coyx.jpg" data-org-width="560" dmcf-mid="zl6ua0o9Y1"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WS1/20250901230911842coyx.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79a3138c0cb28439ececeac23f9119104376ff50650f9ab424c3215275a47c78" dmcf-pid="bPGmzDuSZX"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한국 정부 부처·이동통신사가 올해 상반기까지 수개월간 중국계 추정 조직에 의해 해킹당했다는 정황이 드러났다. 내부망에 침투하지 않고서는 확보가 어려운 각종 정보가 유출된 것이다.</p> <p contents-hash="6e9e96ebbca8ac38030cdb24fde546afb80bb0c0b8f3b0ef610afa764f868718" dmcf-pid="KQHsqw7vYH" dmcf-ptype="general">문제는 이를 정부가 7월부터 알고 있었음에도 제대로 현장 조사에 나서지 못했다는 것이다. 유출 피해를 본 KT(030200)·LG유플러스(032640)가 "침해 흔적까진 확인되지 않는다"며 당국의 상세 조사를 허락하지 않았다.</p> <p contents-hash="e77bafb8a96fe29ed1aae31ae8c1fb8572d28fb085c103005fb04160bec760b2" dmcf-pid="9xXOBrzTXG" dmcf-ptype="general">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같은 내용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출 자료를 공개했다.</p> <p contents-hash="43f8d731b901cbbf80e7b5d32fcdf3addbd6705ebf7c0d12454673a4a84acd6b" dmcf-pid="2E9tJZe7YY" dmcf-ptype="general">앞서 글로벌 해킹 권위지 '프랙 매거진' 40주년 기념호에서 'APT Down: The North Korea Files'라는 보고서가 공개됐다. 익명의 화이트해커 두 명은 'KIM'이라는 공격자로부터 8GB에 달하는 한국 기관·기업 유출 데이터를 확보했다며 매거진에 제보했다.</p> <p contents-hash="605a9360f73c9445a3a60bba923e6a005763b16f009effabb0eece9cdccd5aa0" dmcf-pid="VD2Fi5dztW" dmcf-ptype="general">구체적으로 행정안전부 행정전자서명(GPKI) 인증서, 외교부 내부 메일 서버 소스코드, 통일부·해양수산부 '온나라' 소스코드 및 내부망 인증 기록 등이 유출됐다.</p> <p contents-hash="fc3d3741e8e895a7c481f15680ffa3ccb39ee715a0aff5be3e8e8d1047e12744" dmcf-pid="fwV3n1Jqty" dmcf-ptype="general">LGU+의 경우 △내부 서버 관리용 계정 권한 관리 시스템(APPM) 소스코드 및 데이터베이스 △8938대 서버 정보 △4만 2526개 계정 및 167명 직원/협력사 ID·실명 등이 유출됐다. 심지어 올해 4월까지 해당 정보에 접근한 이상 기록이 확인된다.</p> <p contents-hash="9b1b30891e4ab98f010523ac557f590c48ced82ca08f96f8b1ade5e87cf395ea" dmcf-pid="4rf0LtiBXT" dmcf-ptype="general">KT는 인증서(SSL 키)가 유출된 정황이 발견됐다. 인증서는 유출 당시 유효했지만, 현재는 만료된 상태다.</p> <p contents-hash="ddcdf06c073521ed57536dcc41fb625eec7f63d5030205b9fc7bf9df0f39ed27" dmcf-pid="8m4poFnbHv" dmcf-ptype="general">지난달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등 민간 보안업계가 분석에 나서면서 사안이 대중에도 상세히 알려졌다. 공격 방식·도구 등을 미뤄보아 중국계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p> <p contents-hash="83dc164d0de6c09b7ad0492f36beab45090bfb3f8e6cc803b6d2a129699c6efe" dmcf-pid="6s8Ug3LK1S" dmcf-ptype="general">민간 사이버 침해사고 조사를 맡은 과기정통부·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올해 7월부터 사실 조사에 착수했다. 내부 시스템에서 있어야 할 데이터가 유출됐기 때문에, 침해 사실이 맞다는 잠정 결론이 나왔다.</p> <p contents-hash="a39b879237b03a3e8b4d2fdad7a1d26b8660e5382e084dad776775903f4bd7b9" dmcf-pid="PO6ua0o9tl" dmcf-ptype="general">두 이통사는 유출 데이터가 자신들 것임을 인정했지만, 당국 현장 조사는 거부했다.</p> <p contents-hash="7afba263c5e76a223855b7dee5fd66a4dc48619829956ba8760e5788891e946e" dmcf-pid="QIP7Npg25h" dmcf-ptype="general">KT 측은 "자체 점검결과 운영 웹서버 및 인증서 관련자 PC에서 침해사고 흔적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회사가 모르는 경로에서 키 파일이 유출된 걸로 추정된다"고 당국에 전했다.</p> <p contents-hash="f3a5a29fbdeca4157574183bc2c0cd2999de7105d8524f12054c7befef7f1a7a" dmcf-pid="xCQzjUaV1C" dmcf-ptype="general">LG U+ 역시 "접근제어 서버 이상행위 분석, 백신을 통한 악성코드 검사, 방화벽 로그 등을 살핀 결과 침해사고 흔적은 없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fddc2f05b5835cc38ce8122cd0b79bf09ff6078234cc589e914305f6e83b9272" dmcf-pid="yfTEpA3I1I" dmcf-ptype="general">이러한 대응에 과기정통부·KISA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할 수 없었다고 한다. 현행정보통신망법상 기업이 침해당했다고 자진신고 하지 않는 한 당국 현장 조사는 불가능하다.</p> <p contents-hash="a57381a8fd3b23e5899effafad0a78196bd44e8d851a1f288b8b2a8fd0c3af2b" dmcf-pid="W4yDUc0CXO" dmcf-ptype="general">최민희 의원은 "기업이 손실을 막고자 고객 개인정보 등 정보 유출을 은폐하거나 자진신고 하지 않는 상황이 우려된다"며 "정보통신망법 제48조4 일부를 손봐야 한다. 일반침해 사고 시 기업을 출입해 조사할 수 있는 권한을 (당국에) 부여하는 개정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9072bee9d86414469bbb800463a777ddf2d779af35da1d4d56a7de95693f420a" dmcf-pid="Y5NQh8Ii1s" dmcf-ptype="general">이어 "법 개정 전에라도 KT·LGU+가 해킹 피해의 실상을 밝힐 수 있도록 조사에 협조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며 "과기부를 대상으로 관련 사항을 묻고 해결을 함께 모색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5973a684372bb8daa8a3343e7d86ec20b86f73433c3fbf66d1e97066f2f7f574" dmcf-pid="G1jxl6CnYm" dmcf-ptype="general">legomaster@news1.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TVis] 김준호 “♥김지민, 2세 자연 임신 원해…술·담배 멈출 것” (조선의 사랑꾼) 09-01 다음 장원영, 파격발언…"인생 마지막 목표? ♥남편과 호화스럽게 잘 살기" (걍밍경) 09-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