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 배달하면 신나서 챙겼는데” 이렇게 심각하다니…몽땅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 [지구, 뭐래?] 작성일 09-01 2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SpKKC9H1Y">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6d379b92933213194a87b875975dbfeb1493486016334f71960e39161d1a4cf" dmcf-pid="4vU99h2Xt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아사히 소교 홈페이지 캡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d/20250901184133182opwm.jpg" data-org-width="800" dmcf-mid="bdeoopg2H5"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d/20250901184133182opw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아사히 소교 홈페이지 캡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f977539a13fa4bd19b8a090b67c621fce09eb9b077a071aaa987861967a67b9" dmcf-pid="8Tu22lVZty"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 = 김상수 기자] “쓰기엔 참 편한데, 쓰고나면, 어떻게 되지?”</p> <p contents-hash="47ffddae1b2bf2c007f8adb41f0f58e1e99992b537377f04919def13862735bc" dmcf-pid="6rXppEUltT" dmcf-ptype="general">이름은 낯설다. ‘소유타이(shoyu-tai)’, ‘런치 참(Lunch Charm)’ 등으로 불린다.</p> <p contents-hash="81a8096fa993ed767abe2469be4953706b7d21dba087d6afe8b522352bd18bc1" dmcf-pid="PmZUUDuS5v" dmcf-ptype="general">무엇일까 싶지만, 보면 다 안다. 물고기 모양의 휴대용 간장용기다.</p> <p contents-hash="fbfe200cdcbc86f958f8a80687d1792581be82500ada7b6fb74c35a35e8395da" dmcf-pid="Qs5uuw7vXS" dmcf-ptype="general">호주에서 이 용기의 사용이 금지된다는 소식에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손가락보다 작은, 이 작은 용기에 왜 전 세계가 주목하게 될까?</p> <p contents-hash="194ea48d2e8da44a4df8f1f118f951da0df1765be759c9ccb5266f1cc353e4ea" dmcf-pid="xO177rzTtl" dmcf-ptype="general">이는 그만큼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크다는 방증이다. 이 플라스틱 용기는 휴대하기에 참 편리하다. 국내에서도 배달 음식 등에 널리 쓰인다.</p> <p contents-hash="8dd0bb76a6ceaf7060644358624116eac542b09d4119e8db8ac2e38c9bc3c321" dmcf-pid="y2LkkbEQZh" dmcf-ptype="general">문제는 편리하게 쓰고 난 이후다. 재활용하기에도 힘들 만큼 작은 사이즈에, 사실상 세척도 불가능하다. 고스란히 버려질 수밖에 없는 플라스틱 쓰레기다.</p> <p contents-hash="00ea11e51a3e9c4c736044fa41dc5a7657e1af10687cf51b9483506dcf34ff55" dmcf-pid="WVoEEKDxtC" dmcf-ptype="general">해당 용기를 개발한 것으로 알려진 일본 업체는 매일 하루에 100만개 이상 생산 중이다.</p> <p contents-hash="323d821d3ef183bafbf5e8da4dd376dc79ad1af905f1a57a58c8423362305222" dmcf-pid="YfgDD9wMXI" dmcf-ptype="general">물론, 일본 외에 전 세계 어디서도 이 용기는 널리 생산하고 쓰인다. 누구나 이 용기를 알고 있다면, 과연 우린 하루에 몇개나 이를 버리고 있을까.</p> <p contents-hash="6bcf0923bcd9a14e7ff169b0ce136f8ee1dedd928c021f22bf16cddae2506d5c" dmcf-pid="G4aww2rRGO" dmcf-ptype="general">플라스틱 쓰레기의 역습은 이제 인류가 직면한 숙제다. ‘하나쯤’이란 용인이 재난을 키웠다. 이 작은 플라스틱 용기처럼.</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cf49518605e2e34dfb440260c3016dcb2b7e24eec3e2174ba669ddea0fa7694" dmcf-pid="H8NrrVmeH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d/20250901184133387joru.jpg" data-org-width="1280" dmcf-mid="K4YFFA3IY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d/20250901184133387jor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2d185e793b4d10908e0583e7dff2e7baa6bbe0d029f634bdb6980f9196e4f90" dmcf-pid="X6jmmfsdZm" dmcf-ptype="general">외신에 따르면, 호주 남호주주는 1일부터 일회용 플라스틱 금지 조치를 시행하면서 세계 최초로 ‘런치 참’을 금지하는 지역이 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8a86e467e0e1072b80709d44c765b59656278a0faaccf8e2211d83d59263700a" dmcf-pid="ZPAss4OJ1r" dmcf-ptype="general">이 용기는 1954년 오사카에 본사를 둔 아사히 소교(Asahi Sogyo)사의 창립자 와타나베 테루오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 알려졌다.</p> <p contents-hash="bbaab42c696d178d849a6f57ab22b43a18779e70ab63cc35588dce06df7b2af4" dmcf-pid="538dd1Jq1w" dmcf-ptype="general">아사이 소교 홈페이지엔 이와 관련한 개발 비화가 상세히 소개돼 있다. 당시 테루오는 “향후엔 플라스틱의 시대가 될 것”이라는 판단하에 도시락에 사용되는 유리나 도기의 간장 용기를 플라스틱으로 바꿔보려 했다.</p> <p contents-hash="4dfa90698012cf25f64b5ac2bd6df17e9738e72e5b719650b3e02669dd6a2732" dmcf-pid="106JJtiB1D" dmcf-ptype="general">그는 “깨지지 않고 싸고 안전하게 일회용 용기를 만들면 반드시 팔린다”고 판단, 연구 개발 끝에 물고기 모양의 플라스틱 간장 용기를 만들었다. 향후 이는 일본 식문화에 꼭 포함되는 용기로 널리 쓰였다. 현재에도 아사이 소교는 하루에만 100만개 이상 이 제품을 생산 중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98b2caeee7cba5a50705f927ee854f9c3ec44d6373f5951aa38bdc1d3199b23" dmcf-pid="tpPiiFnbY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d/20250901184133659mjwt.jpg" data-org-width="1280" dmcf-mid="9YvZZg5r1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d/20250901184133659mjw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31587c4b12cf136296f62b94d61aab4c634eafc8cac544dcf764025980765c5" dmcf-pid="FUQnn3LK5k" dmcf-ptype="general">일본 전역에 이어 전 세계로 퍼지며 인기를 끌었지만, 시대가 변했다. 불과 몇초 쓰이기 위해 만들어진 플라스틱은 수백 년간 썩지 않고 남는다. 특히, 해당 용기는 크기가 작아 바람에 날리거나 배수구로 버려지기 쉽다.</p> <p contents-hash="c8ce64125b7666678b291f705826d5cdc60eabab0dfb63d3dd8d93e0c5d2f494" dmcf-pid="3uxLL0o9tc" dmcf-ptype="general">남호주 환경부 장관인 수잔 클로즈 박사는 “대용량 또는 재충전 가능한 조미료 용액이나 더 관리하기 쉬운 대체품으로 대체할 수 있는 항목”이라며 “이를 없애면 폐기물로 유입되는 일회용 플라스틱 양을 직접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p> <p contents-hash="f67f6e110fca7eb1f202a12b4a150f6a4a632c7239c3ca257147fa135b485d25" dmcf-pid="07Moopg25A" dmcf-ptype="general">또, 해당 쓰레기가 워낙 작아 바다를 떠다니게 되면 해양 생물들이 먹이로 오인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됐다.</p> <p contents-hash="a5d1b0653ce870006171a2b75a505d2d8c5b3afab7387dbc62699443615eef5a" dmcf-pid="pzRggUaVYj" dmcf-ptype="general">이 용기를 포함,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는 이제 먼 얘기가 아니다. 유엔환경계획(UNEP)에 따르면, 1950년 연간 200만 톤 수준의 플라스틱 생산량은 2022년 기준엔 4억 톤까지 급증했다.</p> <p contents-hash="507b8ac112d3fd5ad3b1c404bcf8e8aa81bdbc7bd4fe6497f6f485b55f6007ac" dmcf-pid="UqeaauNftN" dmcf-ptype="general">생산량은 급증하고 있는데, 정작 재활용되는 건 10% 내외에 그치고 있다. OECD 전망에 따르면, 2060년까지 플라스틱 폐기물은 현재 수준보다 세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현재 10% 내외인 재활용률은 최대 17%에 불과할 것으로 분석됐다.</p> <p contents-hash="3ccefe40c5af0bd818e0b127d22f4bf9cc3de1f130aa33b912dab49b9c694aad" dmcf-pid="uBdNN7j45a" dmcf-ptype="general">재활용보다 만드는 게 더 늘어나니, 자연스레 쓰레기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운명이다. 이는 결국 바다에 버려지거나 땅에 묻히거나 태워진다. 그 어떤 방식으로도 문제는 더 심각해질 뿐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2769c70069a073fa9d8b3945eaa305d4e803aa047270ac805ecd3ba74462a97" dmcf-pid="7bJjjzA85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버려진 플라스틱 용기들.[녹색연합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d/20250901184133889gfwm.jpg" data-org-width="600" dmcf-mid="20YFFA3IZ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d/20250901184133889gfw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버려진 플라스틱 용기들.[녹색연합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6b9a2a8754da19b5834a810a0e0f6c32db1af4590c2c85a9a28a3847a3f76ec" dmcf-pid="zKiAAqc6Yo" dmcf-ptype="general">이미 인류의 건강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이미 미세플라스틱은 체내에서도 검출되며, 각종 질병 유발의 원인이란 게 밝혀지고 있다. 미세 플라스틱이 뼈, 혈액은 물론, 뇌에까지 침투하고 DNA 변형을 가져온다는 연구 결과도 이미 나왔다.</p> <p contents-hash="632263e1c7dd89b4063642997029ed8bb944d90d7a1084b4369460e99df51fb6" dmcf-pid="q52xxHMU1L" dmcf-ptype="general">그래서 절실한 게 플라스틱 생산 감축이다. 그 외엔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쉽사리 이뤄지지 않고 있다.</p> <p contents-hash="4b6b2abfce73a46fa3012a930763cf358f249431e8caef7f867114ed3f3d6dff" dmcf-pid="B1VMMXRu5n" dmcf-ptype="general">“플라스틱 시대가 올 것”이라며 플라스틱 간장 용기로 성공 신화를 쓴 와타나베 테루오처럼 여전히 플라스틱 경제성을 우선시하고 있는 탓이다.</p> <p contents-hash="c2d61f9c31085b5e463a3a423b2020cbdd3d0b94eebbd52f2967f3830ab82154" dmcf-pid="btfRRZe71i" dmcf-ptype="general">최근에 170여 개국 대표단이 참여한 ‘국제 플라스틱 협약 제5차 정부 간 협상위원회 속개 회의(INC 5.2)’ 역시 별다른 성과 없이 막을 내렸다.</p> <p contents-hash="b81e00a73bfaf5f1654041a36adbc3055c615e5bdc38536271adaada72f501ac" dmcf-pid="KF4ee5dzHJ" dmcf-ptype="general">그레이엄 포브스(Graham Forbes) 그린피스 글로벌 플라스틱 캠페인 리더는 “각국의 정치 지도자들은 플라스틱 생산을 줄이고 일회용 플라스틱을 종식할 수 있는 협약을 만들어 우리의 미래를 보호해야 한다”며 “각국 정부는 오염자가 아니라 시민들의 이익을 위해 행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d49c6079a110dd0585a04980b804024ea691fe5f3fb0c49d767fca7cae236ff" dmcf-pid="938dd1JqZ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d/20250901184134100oeyq.jpg" data-org-width="1280" dmcf-mid="Vsu22lVZX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d/20250901184134100oeyq.jpg" width="658"></p> </figure>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英 국무상, LG AI연구원 방문…런던증권거래소그룹과 협력 09-01 다음 제로베이스원 "재계약 논의 진행 중…확정된 건 없다" 09-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