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엔터테인먼트, 웹툰 작가 158명에 ‘창작 공간’ 제공 작성일 09-01 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7y6biFnbCr">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be90d3835b4cbfca8913f3d4bd33cc4a887a7d6bcbe7b5c933a7862421ee63e" dmcf-pid="zWPKn3LKT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창작 공간 지원 사업의 명판 모습.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dt/20250901180438696lazj.jpg" data-org-width="640" dmcf-mid="uRFYBObYy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dt/20250901180438696laz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창작 공간 지원 사업의 명판 모습.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d58b0afdef9bf013537a0563dfb34b2eb9d0208ec09b5cf2e3dc3d9b4453ba2" dmcf-pid="qpgRw2rRlD" dmcf-ptype="general"><br>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지난달 28일 카카오창작재단을 통해 한국만화영상진흥원 웹툰 작가 입주 시설 소속 작가 49개팀, 총 158명에게 창작 공간 지원을 완료했다고 1일 밝혔다.<br><br> 이 사업은 카카오창작재단이 예산을 지원하고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이 공간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입주 공간은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이 운영하는 부천시 웹툰융합센터와 비즈니스센터에 마련했다. 입주 팀은 지원자 공모와 심사를 거쳐 선정했다.<br><br> 올해 창작실을 지원받은 작가는 지원 사업 명패가 부착된 창작 공간의 임대료 75%를 1년간 지원 받게 된다.<br><br> 카카오창작재단 측은 지난해 처음 시작한 사업으로, 웹툰 작가들에게 즉각적인 호응을 얻었다고 강조했다. 다른 수익 활동에 대한 부담 없이 창작에만 전념할 수 있는 구조가 통했다고 설명했다.<br><br> 지난해 웹툰융합센터 입주 작가 21개팀, 총 66명에게 창작실 임대료 전액을 지원했다. 올해는 기존 입주 팀을 포함해 지원 범위를 확대했다. 특히 이 공간을 거친 카카오웹툰 ‘더 그레이트’는 ‘2024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받았다. 이 밖에 웹툰 창작물 및 연재작 55개 작품과 웹소설 및 웹툰 스토리 창작물 10개 작품, 애니메이션 8개 작품도 나왔다.<br><br> 올해는 공간 지원 예산 규모를 지난해보다 40% 확대하고 지원 팀 규모도 2배 이상 늘렸다. 제도 형평성과 공정성을 담보하고 사업 지속성을 확보하고자 올해부터 신규 입주와 입주 연장 기준도 더욱 세분화해 적용했다.<br><br>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창작 공간 지원 사업이 지적재산권(IP) 창작 활동의 지속가능한 토대가 되고 좋은 IP가 계속해 발굴되는 산실이 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창작자와 호흡하는 다양한 사업을 발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br><br> 임성원 기자 sone@d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우린 독종, 너흰 그냥 보통"…지코, 일본 최대 음악 축제서 '거북선' 열창 09-01 다음 제로베이스원, 불가능은 없다..이 순간이 바로 '아이코닉' [퇴근길 신곡] 09-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