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과학기술 양대축 ‘진짜성장’ 실현…과기정통부, 내년 예산 23.7조 편성 작성일 09-01 3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올해보다 12.9% 증가...AI대전환·넥스트 전략기술 육성<br>AI인프라·핵심기술·파운데이션 모델 등 총 5.1조 책정</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04RUotiBh3">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a56ab67d7de38dfce29ce83318a104091d6cf562f0cddad57cb20318a19e973" dmcf-pid="p8eugFnby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구혁채 과기정통부 1차관이 1일 과기정통부 세종청사에서 ‘2026년도 과기정통부 에산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dt/20250901161438841wqzy.jpg" data-org-width="640" dmcf-mid="FJOy4h2XT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dt/20250901161438841wqz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구혁채 과기정통부 1차관이 1일 과기정통부 세종청사에서 ‘2026년도 과기정통부 에산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6c3a1abd30868cb4f1223042686e541b913225a97593a414297fffe8f77e7d9" dmcf-pid="U6d7a3LKCt" dmcf-ptype="general"><br>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내년 예산안을 인공지능(AI)과 과학기술 분야에 집중 편성해 대한민국의 진짜성장 엔진에 시동을 건다. 공공·경제·사회 전반에 대한 AI 대전환을 지원하고, 반도체·첨단바이오·양자 등 넥스트 전략기술 확보를 통한 미래 신산업을 선도해 새 정부의 기술주도 성장에 기여하겠다는 전략이다.<br><br>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은 1일 과기정통부 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내년 과기정통부 예산안 편성 기조와 주요 사업별 예산안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br><br> 내년 과기정통부 예산안은 △범국가적 인공지능(AI) 대전환 △넥스트(NEXT) 전략기술 육성 △튼튼한 연구개발(R&D) 생태계 조성 △균형성장 강화 등에 중점을 둬 편성됐다.<br><br> 내년 과기정통부 예산은 올해(21조원)보다 12.9% 늘어난 23조7000억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로, 연구개발(R&D) 예산은 11조8000억원으로 올해 대비 21.6% 증가했다.<br><br> 과기정통부는 내년 AI 분야에 집중 투자해 범국가적 AI 대전환을 지원한다. 정부 전체 AI 예산(10조1000억원) 중 절반 가량인 5조1000억원을 과기정통부가 주도한다. 크게 보면 AI 대전환 지원(4조5000억원)과 AI 활용한 과학기술 R&D 혁신(6000억원)에 책정됐다.<br><br> 먼저 국가적 AI 인프라 확충을 위해 첨단 GPU 1만5000장을 추가해 내년까지 총 3만7000장을 확보하고, 이를 토대로 국가 AI컴퓨팅센터를 구축한다. AI 네트워크 기술개발과 특화 AI 모델 개발을 위한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 등에도 중점 투자한다.<br><br> AI 기술혁신에도 나서 AI반도체, 국산 신경망처리장치(NPU) 등 차세대 AI 핵심 기술과 피지컬 AI 등 AX 기반 기술 확보에 예산을 대폭 늘렸다. 이를 위해 AI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기술개발 사업은 올해 366억원에서 내년 608억원으로 예산이 증액됐고, 피지컬 AI선도기술개발(150억원), AI 중심대학(255억원) 등이 내년에 새롭게 추진된다.<br><br> 아울러,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해 AI 전환과 확산을 뒷받침하고, SK텔레콤 해킹 사건을 계기로 정보보호 예산을 3300억원 편성해 사이버 침해 대응을 강화한다.<br><br>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abeb09a5587e1e115a741b1c38e356167b54fe6ffd7c31dd545e28833f77df4" dmcf-pid="uPJzN0o9h1"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026년 과기정통부 예산안 브리핑. 과기정통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dt/20250901161440281ojqn.jpg" data-org-width="640" dmcf-mid="3DnBAUaVv0"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dt/20250901161440281ojq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026년 과기정통부 예산안 브리핑. 과기정통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9dcdbdcb88f86d51779f1c0f321029a0b6be831578ee22293a3f8a752130a96" dmcf-pid="7Qiqjpg2T5" dmcf-ptype="general"><br> 미래 신산업을 이끌 넥스트 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투자를 확대한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바이오 등에 올해보다 27.8% 증가한 5조9300억원을 편성했다. 소규모 과제 중심으로 파편화된 재정 구조를 대형·중장기 임무중심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지원하는 기관전략개발단(3636억원)을 새로 추진한다. 각 출연연의 최우수 연구자를 위한 성과상여금(51억원)도 반영됐다.<br><br> 전 정부에서 R&D 예산 삭감으로 위축된 연구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 내년 예산안을 올해보다 18.4% 늘어난 4조5100억원으로 편성했다. 이를 위해 개인기초연구를 올해 1조9053억원에서 내년 2조2657억원으로 대폭 확대했고, 대학 연구 성과가 축적될 수 있도록 국가연구소(NRL 2.0) 예산을 올해 100억원에서 내년 300억원으로 늘렸다.<br><br> 이와 함께 청년 과학기술인의 성장과 해외 인재 유치를 위한 예산을 확대하고, 재난·치안·마약 등 국민생활과 안전에 직결된 사회문제 해결형 R&D 및 지역 자율 R&D 등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br><br> 내년도 예산안은 2일 국회에 제출돼 12월 국회 본회의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br><br>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내년 과기정통부 예산안은 AI와 과학기술을 혁신성장의 양대 축으로 삼아 혁신경제로 도약하겠다는 이재명 정부의 강한 의지를 담고 있다”며 “역대 최대 예산이라는 숫자에 머무르지 않고,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성과를 조속히 보여드릴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핵심 사업들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br><br> 이준기 기자 bongchu@d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단독]임윤아, '유퀴즈' 출격…대박난 '폭군의 셰프' 다 밝힌다 09-01 다음 네이버 예약, 동물병원 차트사와도 연동⋯"별도 입력 없어도 간편한 관리" 09-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