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의 ‘AI-워싱’... 빌더AI·네이트가 남긴 경고 작성일 09-01 2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빌더AI, 매출 과대계상 논란 후<br>델라웨어에서 청산 절차 돌입<br>네이트 창업자 연방기소<br>게임온 허위자료 의혹 등 잇단 수사</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tt5mAUaVy2">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96951f21d041c90b2882455d112f9ef2d789548d51844e704dec7ed2d7c1af4" dmcf-pid="FF1scuNfl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그림=제미나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mk/20250901155109703qsxa.png" data-org-width="512" dmcf-mid="1JlgeGxph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mk/20250901155109703qsxa.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그림=제미나이]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761fb4a4e4d484afd15b3a120c1d9f616475deff00830a822a3d0c13b2eb1014" dmcf-pid="33tOk7j4SK" dmcf-ptype="general"> 생성형 인공지능(AI) 열풍이 정점을 향해 치닫는 사이, 실리콘밸리 곳곳에서는 “AI가 알아서 다 해준다”라는 약속이 무너지고 있다. 유니콘으로 추앙받던 빌더AI의 파산은 그 상징적 사건이다. </div> <p contents-hash="db141f576e86411a02299e04c52195029be53d1bef89fa3192564294490f9c43" dmcf-pid="02KHS6Cnyb" dmcf-ptype="general">3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빌더AI는 2024년 고성장을 내세우며 대대적 홍보에 나섰지만 이사회 조사에서 매출 과대계상이 확인됐다. 경영진 교체와 유동성 위기 끝에 2025년 상반기 델라웨어 법원에서 청산 절차에 들어갔다. 자동으로 앱을 만들어 준다던 AI 매니저 나타샤(Natasha)의 실체를 두고 “사람이 뒤에서 처리했다”라는 의혹이 확산하자 경영진은 “AI는 보조 도구였고 사람을 대체하진 않았다”라며 해명했으나 신뢰 회복에는 실패했다.</p> <p contents-hash="d166bd335d2d59de62b2e89e2fec33e0a10743c6aca13f9e964a3568600fb66d" dmcf-pid="pV9XvPhLCB" dmcf-ptype="general">이 사건은 ‘AI’라는 라벨이 투자·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끄는 동안, 기술의 실제 자동화 수준과 재무 숫자에 대한 검증이 얼마나 쉽게 뒤로 밀릴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p> <p contents-hash="c42d36378b4e0ee7318e87da11777dcab0baea393657fa541ab3a77e021a4384" dmcf-pid="Uf2ZTQlolq" dmcf-ptype="general">비슷한 장면은 다른 무대에서도 반복됐다. 쇼핑 앱 ‘네이트’는 “딥러닝이 결제와 체크아웃을 대신한다”라고 홍보했지만, 실제로는 필리핀 외주 인력이 주문을 수동 처리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결국 뉴욕남부연방검찰청(SDNY)은 2025년 봄 창업자를 투자자 사기 혐의로 기소했다.</p> <p contents-hash="0205b04bdcb07fbd3a96368ac37e8d83f8affc9f020c03bf47a6fdc2e1dce4a1" dmcf-pid="u4V5yxSgyz" dmcf-ptype="general">샌프란시스코 스타트업 ‘게임온’은 AI 스포츠 챗봇을 내세웠으나 허위 재무자료와 가짜 감사보고서, 매출 부풀리기 의혹으로 기소됐다. 이들 사건의 공통점은 ‘AI-워싱(AI-washing)’, 즉 인간이 상당 부분 수행하거나 자동화 성숙도가 낮은 과정을 포장해 ‘완전자동’처럼 홍보했다는 지점이다.</p> <p contents-hash="8a02fe786f4fdbfcefae44be706508f50d38bca0b2c5ba4374fb1cab8fc9f48a" dmcf-pid="78f1WMvaW7" dmcf-ptype="general">‘사람이 하는 AI’는 대기업 현장에서도 적지 않다. 아마존의 ‘저스트 워크 아웃’은 센서·컴퓨터비전이 자동 결제를 처리한다는 콘셉트였지만, 실제 운영에서는 인력이 거래를 판별·검수했다는 보도가 이어졌다. 아마존은 과장 논란을 부인하면서도 점포 전략을 스마트 카트 중심으로 조정했다.</p> <p contents-hash="a77dbd23d10914c413d2e80c37478fc2d23fcdcf5ecca18e990c17d199b759ab" dmcf-pid="z64tYRTNhu" dmcf-ptype="general">패스트푸드 드라이브스루 자동응대 솔루션을 내놓은 프레스토 오토메이션도 일정 시기엔 사람이 주문의 상당 비율을 처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법률기술 스타트업 이븐업은 개인 상해 사건 문서 자동화를 표방했지만 실제 업무의 다수가 인간 검수에 의존한다는 내부 증언이 보도되자 회사는 “고품질을 위해 AI와 사람의 결합이 필수”라고 강조하기도 했다.</p> <p contents-hash="e5c5770e5fd8531fbee3740a5142d851ca22fed1dc9c885f18bcf6bf0bd869ec" dmcf-pid="qP8FGeyjvU" dmcf-ptype="general">뉴욕타임스는 “빌더AI의 몰락은 지금의 AI 붐 속에서 무엇을 믿고 무엇을 의심해야 하는지 단적으로 보여준다”라며 “AI는 팔리지만, 자동화는 그렇지 않다는 말처럼 기술의 실제 수준과 시장의 기대 사이 간극은 여전히 크다”라고 지적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재계약 앞 끈끈한 제로베이스원, 2년 성장 담은 첫 정규로 ‘우상향’ 목표 [쿠키 현장] 09-01 다음 위기는 있어도 패배는 없다…'황금콤비' 서승재·김원호, 세계챔피언 타이틀 합작 09-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