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AI 예산 절반 운용하는 과기부 "GPU 확보하고 피지컬AI 개발" 작성일 09-01 4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2026년 과기부 예산안 역대최대 23.7조원 설정(종합)<br>출연연 소형 수탁과제 전환, 3600억원 대형사업…기초연구 원복</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tz2w0NtsYY">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1c7a3cae5b8ea16daa765e337178772b041354975b86fdcc67f93ce1cfe85e8" dmcf-pid="FqVrpjFOt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뉴스1 ⓒ News1 허경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WS1/20250901135412060ohst.jpg" data-org-width="1400" dmcf-mid="17a5xy6FZ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WS1/20250901135412060ohs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뉴스1 ⓒ News1 허경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46c89a7315f399fd09aafe1dc1f20abd2b1746a42900e95910b2a2723ba0221" dmcf-pid="3BfmUA3IGy"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내년 정부 전체 인공지능(AI) 투자 10조 1000억 원 중 절반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운용한다.</p> <p contents-hash="64fe82038e9de94bcee3c2587a78b6755609a50ff737d1bc66205c585afc9885" dmcf-pid="0b4suc0CXT" dmcf-ptype="general">우선 첨단 그래픽처리장치 누적 3만 7000장 확보 등 AI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주력한다. 국산 신경망처리장치(NPU), 피지컬 AI 등 차세대 핵심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p> <p contents-hash="98b660ffabc650b7cb286afa3da9f484d66271c44bf7145f68605f9baade8150" dmcf-pid="pK8O7kphGv" dmcf-ptype="general">1일 구혁채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브리핑을 가지고 내년 과기정통부 전체 예산안을 23조 7000억 원으로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부처 예산(추경 기준) 대비 12.9% 늘어난 수치다.</p> <p contents-hash="ff070d557c0746a350ea8480b86983da683e63c3a8652414c98051410ccc3dc1" dmcf-pid="U96IzEUltS"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 AI 예산 5조 1000억 원은 '국가 AI 대전환'(4조 4600억 원), AI 기반 과학기술 R&D 혁신에 쓰인다.</p> <p contents-hash="3a76754ee0928dba22e029467a048f3377f6c9aca7f2eb58db14ade5f9f22fd5" dmcf-pid="u2PCqDuSHl" dmcf-ptype="general">우선 첨단 GPU 1만 5000장을 추가 확보, 수개월 지연된 국가 AI 컴퓨팅센터 설립에 속도를 낸다. 특화 AI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 스페이스 등 인프라도 신속 확충한다.</p> <p contents-hash="da90187d48999ed77375d0b483a075c98a43b3b07ed33d4aed12990366dc8e9f" dmcf-pid="7VQhBw7vXh" dmcf-ptype="general">장기적으론 국산 NPU 등 AI 반도체, 피지컬 AI 기술 확보에 주력한다. AI 반도체 실증에 1024억 원, 피지컬AI 선도 R&D에는 150억 원이 투입된다.</p> <p contents-hash="a5fdbd3ed8f67850d0a5dec9bf690125a33fa2b1012deb8701918d4e00319fba" dmcf-pid="zvHxIVmeXC" dmcf-ptype="general">이를 뒷받침할 전문인재 양성 예산도 대폭 늘렸다. 신규 사업인 AI중심대학 조성에 255억 원, 스타펠로우십 지원에 340억 원이 들어간다.</p> <p contents-hash="50879b35bde9d99fc53785020f7d1618cfd36cc06f7556d7f453849372afdbf1" dmcf-pid="qTXMCfsdXI" dmcf-ptype="general">현재 5개 컨소시엄이 개발 중인 '한국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도 계속된다. 또 광주·대구·전북·경남 4개 지역에 AI 혁신거점을 조성, 지역 산업 전반의 AX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p> <p contents-hash="8005b985af3dffc79637ebe222b385c28328a77d2d973515e3db9be115286dda" dmcf-pid="ByZRh4OJZO" dmcf-ptype="general">민관 협력을 바탕으로 AI 이외 차세대 전략기술 확보에도 총력을 다한다. 구체적으로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초격차 확보 △첨단 바이오·양자 투자 △소재·미래 에너지 등 기반기술 R&D 등에 5조 9300억 원을 투입한다. 특히 바이오·소재 연구는 AI를 통한 물질탐색 등 시너지가 예상된다.</p> <p contents-hash="4778c820493d432476ebae0a2312cd3d3759fe97edb2b107818697d6dacf8830" dmcf-pid="bW5el8IiGs" dmcf-ptype="general">최근 잇따른 사이버 침해사고로 인해 정보보호 투자 중요성도 커졌다. 내년 관련 예산은 올해(본 예산 기준) 대비 8.1% 늘어 3300억 원으로 잡혔다. 범부처 근절 대책이 추진되는 보이스피싱의 경우 R&D 예산이 11.1% 늘었다.</p> <p contents-hash="1e4a494affaad92952cf37d243e01bc66c9e68ede4995a3a5440d93cace8b9e7" dmcf-pid="KY1dS6Cn1m" dmcf-ptype="general">내년 정보통신기술(ICT) R&D는 올해보다 2.7% 늘어난 1조 6142억 원 규모다. 관련 ICT 기금은 감소가 예상되지만, 이를 일반회계로 이관해 재조정한다.</p> <p contents-hash="b3be29befc735b2858bc26dbadbe87b6fd0e86a7582c50f4d16537117ec93150" dmcf-pid="9GtJvPhLHr" dmcf-ptype="general">연구과제중심제도(PBS)도 단계적으로 폐지,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출연금으로 전환한다. 소액 정부 수탁과제를 수행하는 기존 방식에서, 대형 국가임무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출연연 체질 개선을 꾀한다. </p> <p contents-hash="e97b86133068033cc62b12a2259db021a51e531e6d90c512ad738e01acb09f95" dmcf-pid="2HFiTQloGw" dmcf-ptype="general">관련해서 기관전략개발단 사업을 신규 편성했다. 기존 파편화한 정부 수탁과제를 모아, 총 3600억 원 규모 77개 대형 사업으로 전환한다는 내용이다.</p> <p contents-hash="a173ac202b938f1efde4813af70630988e6e302b231466a9276ec371d8dceac4" dmcf-pid="VX3nyxSgHD" dmcf-ptype="general">내년 기초연구 예산안도 역대 최대규모인 2조 7400억 원으로 편성했다. 폐지되다시피 한 풀뿌리 기초연구는 '기본연구'로 원복, 총 1150억 원 규모의 2000여개 신규 과제가 지원된다. 해외로 나간 박사후연구원의 국내 복귀를 지원하는 '세종과학펠로우십' 트랙도 신설된다.</p> <p contents-hash="bfe120badfa98d1d4c40bd11e3a6b0d5cf691277fb280e0e41823fdd3212654b" dmcf-pid="fZ0LWMvatE" dmcf-ptype="general">legomaster@news1.kr<br><br><strong><용어설명></strong><br><br>■ 기초연구<br>지식의 진보를 목적으로 행하는 연구를 의미한다. 특정 응용이나 특정 사업적 목적없이 과학지식의 진보를 목적으로 한다.<br><br>■ 피지컬 AI<br>피지컬AI는 로봇, 자율주행차, 스마트 공간 등 자율 시스템이 실제 물리 세계에서 사물을 인지하고, 이해하며, 복잡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br><br>■ PBS<br>연구과제중심제도(PBS)는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가 정부 출연금 이외 국가 연구개발(R&D) 수탁과제를 수주해 연구비·인건비를 충당하는 구조다.<br><b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은둔하던 무라카미 하루키, 왜 테러 피해자들을 만났을까 09-01 다음 '도민 화합' 전북도민체전, 고창서 12∼14일 개최. 09-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