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연구진, 종양유전자 조절 스위치 발견…새 항암전략 만든다 작성일 09-01 2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 성균관대 김경규 교수팀</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8LeDg5rGu">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58340f725810f4e110ee780ce5660784393092e055fa148625e1c3304d0bd68" dmcf-pid="W6odwa1mZ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구아닌사중나선매듭에 의한 종양유전자 BCL3의 발현조절 기전.[성균관대학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d/20250901120141581ihlu.jpg" data-org-width="1280" dmcf-mid="QU5YztiBZ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d/20250901120141581ihl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구아닌사중나선매듭에 의한 종양유전자 BCL3의 발현조절 기전.[성균관대학교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b914d1d5cc581bde123fe5c19ef96204253fa76b3d24b209880a83e177f7eda" dmcf-pid="YPgJrNtsXp"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유방암·대장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 과발현되어 암세포의 성장·생존·전이를 촉진하는 종양유전자 ‘BCL3’의 발현 기전을 규명해 맞춤형 항암 전략 수립에 청신호를 켰다.</p> <p contents-hash="cc5ab96aab0f9d32566f01a8bdd2eb01307c4c09076bf895f30e7520ba992dec" dmcf-pid="GMjLOc0CZ0" dmcf-ptype="general">한국연구재단은 성균관대학교 김경규 교수 연구팀이 DNA와 RNA의 구아닌 4중나선(G4) 매듭 구조가 종양유전자 BCL3 발현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조절하는 기전을 규명했다고 1일 밝혔다.</p> <p contents-hash="f0d9b930cd223f19484081d1f168e6ff34ec1e4133056153f2fbbfed808f3c85" dmcf-pid="HRAoIkphY3" dmcf-ptype="general">최근 종양유전자의 발현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생체 스위치를 표적으로 삼는 접근법이 기존 화학·면역요법을 보완할 신개념 항암제 개발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p> <p contents-hash="46d6732f50a36f9b5d0686274856868e2439d066c3ecd982b8442cb7ca8cc2c7" dmcf-pid="XecgCEUlZF" dmcf-ptype="general">종양유전자의 발현은 유전자 프로모터의 DNA 서열과 전사인자, 단백질·핵산 복합체인 전사응축체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 <p contents-hash="13a400b10909c36c47b1ba02a98bb13d10cd8f664ee13a5cbba5366c52d0cd15" dmcf-pid="ZdkahDuS1t" dmcf-ptype="general">현재 DNA G4 매듭구조가 전사인자와 결합해 전사응축체 형성에 기여하고, 종양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는 사실이 일부 보고 되었지만, RNA G4에 따른 조절기전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p> <p contents-hash="bf01c46d1fe2f4ba799110566e0c90c832f725532bc57e15ec92e17046b22770" dmcf-pid="5JENlw7vY1"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종양유전자 BCL3의 발현이 DNA G4뿐 아니라 RNA G4에 의해서도 조절되는 새로운 종양유전자 발현조절 메커니즘을 밝혔다.</p> <p contents-hash="94cccd15327ebcd8a201dac668eefa32c31ec0d1310138f9e9d75531dbe4e319" dmcf-pid="1iDjSrzTt5"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DNA와 RNA의 G4 매듭이 종양유전자 BCL3의 발현에 필수적인 전사응축체의 형성을 각각 촉진(ON)/억제(OFF)하는 스위치로 작동하는 기전을 확인했다.</p> <p contents-hash="0804ec28fb1fdddb3ed49533f45748b44e31eb6582233251b1eefc1e479f1a5d" dmcf-pid="tnwAvmqy1Z" dmcf-ptype="general">DNA G4 매듭은 전사인자 SP1과 결합해 전사응축체를 형성함으로써 BCL3 발현을 촉진하는 ON 스위치로 작동했다.</p> <p contents-hash="d0f3c7c7ae43e2cb883e611ece4c3ef646c5cdf53894fa53a5c3abf32c82aa66" dmcf-pid="FLrcTsBWtX" dmcf-ptype="general">반면 전사활성에 의해 합성되는 mRNA내에 형성된 RNA G4 매듭은, SP1을 전사응축체 밖으로 끌어내 응축체를 해체함으로써 전사 억제를 유도하는 OFF 스위치로 작동했다.</p> <figure class="s_img 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dae430dd44865ce4bae7211582ac24783ae6d14a20e48d21b4e607c64f8d0b0" dmcf-pid="3IXyu5dzH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김경규 성균관대학교 교수.[성균관대학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d/20250901120141835phho.jpg" data-org-width="165" dmcf-mid="xTVBe4OJt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d/20250901120141835phho.jpg" width="165"></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김경규 성균관대학교 교수.[성균관대학교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32a957d40b8bc42edba78eb846f59a4f23ffa4cc8ef81e67f6996c78e38543d" dmcf-pid="0CZW71Jq1G" dmcf-ptype="general">또한 DNA·RNA G4 매듭에 결합하는 약물 실험을 통해 BCL3 발현이 증가하거나 감소함을 확인하고, 종양유전자 발현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p> <p contents-hash="df4c98dac729592872c76d5a328aeb8d277e99392bda7d75f52f9ebb3f260bba" dmcf-pid="ph5YztiB5Y" dmcf-ptype="general">이는 환자별 DNA·RNA G4 매듭을 표적하여 종양유전자 발현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맞춤형 항암 치료 전략 마련의 중요한 기반이다.</p> <p contents-hash="aa37f5088f84a24c5b622725b255ae51ec1d05bfd17aac81a21d2c2a30b119cc" dmcf-pid="Ul1GqFnbZW" dmcf-ptype="general">김경규 교수는 “이번 연구는 DNA·RNA G4 매듭을 매개로 전사응축체 형성을 조절해 종양유전자 발현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신개념 항암 전략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며 “후속연구를 통해 동일 기전이 BCL3뿐 아니라 다른 종양유전자 및 염증성 질환, 신경질환에도 확대 적용 가능한지 검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0564456b1333d5350868f210607a9230b30699371dca35dfa3cbf4c1c1ffc0f7" dmcf-pid="uStHB3LK1y"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국제학술지 ‘핵산연구(Nucleic Acids Research)’에 8월 30일 게재됐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네카오 노조, '노란봉투법' 통과에 판교 이어 국회서 압박 확대 09-01 다음 "모두 함께하는 AI 축제"...30일부터 코엑스서 'AI 주간' 열린다 09-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