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청 예산 1조 시대…차세대 발사체·달착륙선 개발 속도 작성일 09-01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우주청, 내년 예산 1조1131억원 확정…올해보다 15% 증액<br>우주수송·위성통신·우주탐사·미래항공 등 6대 분야 중점 투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phvmjFOXf">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df34bd28f6ee418255a271dc56d0f62b66fb33955d8ad8b9e237f502b901a12" dmcf-pid="tUlTsA3IY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뉴시스] 한국판 NASA(미국 항공우주국)인 우주항공청이 27일 경남 사천에서 개청한다. 우주항공청은 우리나라의 우주항공 임무를 주관하며 기존에 과기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맡아오던 관련 업무를 맡는다. 사진은 경남 사천시 사남면 해안산업로 537에 위치한 우주항공청 임시청사. (사진=우주항공청 제공) 2024.05.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wsis/20250901110405146orks.jpg" data-org-width="720" dmcf-mid="5PlTsA3IZ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9/01/newsis/20250901110405146ork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뉴시스] 한국판 NASA(미국 항공우주국)인 우주항공청이 27일 경남 사천에서 개청한다. 우주항공청은 우리나라의 우주항공 임무를 주관하며 기존에 과기정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맡아오던 관련 업무를 맡는다. 사진은 경남 사천시 사남면 해안산업로 537에 위치한 우주항공청 임시청사. (사진=우주항공청 제공) 2024.05.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dd9eb9863d763b1ac68dd2df8c922cb17b3cc8bb6d9976e874c4d83abe8b885" dmcf-pid="F9H5TsBW52" dmcf-ptype="general">[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내년도 우주항공청 예산이 1조원을 넘어섰다. 우주항공청은 내년 누리호 5차 발사와 함께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본격화하고, 달착륙선 개발 사업 등도 추진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308f2a1f13ad6553ee6806c4f83ef2d6c7568cfea84b64f58d7ca200c82a12d7" dmcf-pid="32X1yObYY9" dmcf-ptype="general">우주청은 2026년도 우주청 정부 예산을 올해 9649억원 대비 15% 증액된 총 1조1131억원 규모로 편성했다고 1일 밝혔다. </p> <p contents-hash="60d5e5852d7c483c8ea696a517b1faa7f118329f78b23c27d28e5ca11cf4f063" dmcf-pid="0VZtWIKGXK" dmcf-ptype="general">우주청은 이번 예산이 새정부 국정과제를 체계적으로 이행하고 K-우주항공산업 기반을 다지기 위한 전략적 투자를 확대해 우주항공청 예산 1조원 시대를 연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4ee45be481c6172c3bd00b75f0d79f4922680107270166b561cd659e851b3c3c" dmcf-pid="pf5FYC9HHb" dmcf-ptype="general">내년도 우주청 예산은 ▲우주수송 역량 강화 및 신기술 확보 ▲위성기반 통신·항법·관측 혁신 ▲도전적 탐사로 미래 우주 먹거리 창출 ▲미래 항공기술 선점 및 공급망 안정성 확보 ▲민간 중심 산업 생태계 조성 ▲우주항공 전문인재 양성 및 실용적 외교 등 6대 분야에 중점 투자한다.</p> <p contents-hash="135529bdd11569a0c77a623a5b32fecb08f05b4a11567a985823e0f5b0736e67" dmcf-pid="U413Gh2XtB" dmcf-ptype="general">우주수송과 관련해서는 올해(3106억원)보다 14.9% 감소한 2642억원이 배정됐다. 누리호 예산이 자연 감소했고, 차세대발사체사업계획 변경 절차 추진 등에 따라 발사체 체계개발 사업 예산 규모도 줄어든 탓이다.</p> <p contents-hash="e1c87e8d985bfb256f181d842f1b76628f4e067351b123bcb3108b899d0eb541" dmcf-pid="u8t0HlVZXq" dmcf-ptype="general">우주수송 부문 예산으로는 우리 발사체 신뢰성 향상을 위한 누리호 5차 발사를 수행하고, 우주로의 저비용 고빈도 발사 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차세대발사체 개발을 본격 추진한다. 우주공간의 궤도를 이동하며 다양한 임무에 활용 가능한 궤도수송선 개발 및 실증 신규사업도 착수한다.</p> <p contents-hash="e6861e2dae71474d5f042d04e9e9c616365b84450bbf4efbc87b8e72eb0db51d" dmcf-pid="76FpXSf5Zz" dmcf-ptype="general">위성기반 통신 기술 분야에는 올해(2118억원)보다 11.6% 늘어난 2362억원이 책정됐다. 세계 최고 수준의 위성관측 기술 확보를 위해 10㎝급 초고해상도 위성 기술 개발에 착수한다. 2030년 위성발사를 목표로 한 6G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개발 및 2029년 1호 위성 발사계획을 갖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도 지속 추진한다.</p> <p contents-hash="3735c586acb98306c729006d5de871b9423eeb749665f8bc19afb47f8d346d7c" dmcf-pid="zP3UZv41Y7" dmcf-ptype="general">우주탐사 분야에는 올해(543억원)보다 78.2% 증액된 968억원을 투입한다. 2032년 달 착륙을 위한 달탐사 2단계(달착륙선) 사업으로 도전적인 우주탐사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국내 산업체의 역량 확보를 지원한다. 또한 우주공간에서의 무인 제조와 지구 재진입 기술을 개발하는 혁신 도전형 신규 R&D를 통해 국내 기업의 우주실증 기회도 확대한다. 우주탐사 분야 예산의 대부분(809억원)은 달탐사 2단계 사업에 쓰일 예정이다.</p> <p contents-hash="6bba921a325576a23c8c1819a1864013782aee7756be3a58d353f0f21aada5ed" dmcf-pid="qQ0u5T8t1u" dmcf-ptype="general">미래 항공기술 분야 예산은 511억원으로 올해(374억원)보다 36.8% 확대됐다. 2030년대 친환경·전기 항공기로의 패러다임 전환에 선재 대응해 미래비행기(AAV), 민항기 엔진 핵심기술과 초경량·고강도 소재를 신규 개발한다. 또한 자연재해·안보 분야 국가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국내기술 기반 성층권 드론의 실증도 본격 착수한다.</p> <p contents-hash="2548d155fdf1ee4550519bb2cbe9f46de9b2f788fa0f554a06c0f9df0a8be1fa" dmcf-pid="Bxp71y6FtU" dmcf-ptype="general">민간 중심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올해(773억원)보다 119.7% 늘어난 1698억원을 투자한다. 올해 35억원 수준이었던 뉴스페이스 펀드 투자지원을 연 1000억 규모로 대폭 확대해 기업 성장단계별로 안정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골자다. 아울러 우주부품·소재·탑재체·위성서비스 등 다양한 민간 제품이 상용화될 수 있도록 실증 프로그램을 운영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한다. </p> <p contents-hash="451022d1badf550bd41eaf4f394eb1ce25484745d894363097794b7c121de170" dmcf-pid="bMUztWP3Zp" dmcf-ptype="general">마지막으로 우주항공 인력 양성 및 실용적 외교 분야에는 올해(2348억원)보다 8.6% 증가한 2549억원이 배정됐다. 우주항공 산업 및 연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전형 고급 인력을 양성·활용하는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신흥국의 협력수요와 우리 우주항공 기업의 핵심역량을 연결하여 수출기회 창출과 신시장 개척을 꾀하는 국제협력도 신규 추진한다.</p> <p contents-hash="0dd9500f666757b160a9201d05959392a552b386c32fc889d31b5971fd1f0bb8" dmcf-pid="KRuqFYQ0t0" dmcf-ptype="general">윤영빈 우주항공청 청장은 "2026년도 정부 예산은 우주항공청 개청이후 전략기술로 도출한 우주수송 역량 강화, 초고해상도 위성 개발 및 미래 항공기술 확보를 위한 신규사업들을 최초로 편성했다"며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 성실하게 임하여 새정부 국정과제 이행과 우주항공 강국 도약을 위한 예산이 최종 반영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e83c478b267a89150e516a5cf036b657b943a2d8780384c347dbf4a8d213caf8" dmcf-pid="9e7B3Gxp13"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hsyhs@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김나영, 조혈모세포 기증… “할 수 있어 행운” 09-01 다음 '살인자 리포트' 캐릭터 포스터 공개…9월 강렬한 심리게임 09-0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