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억대 과징금의 역설, 무엇을 지키려는가 [김현아의 IT세상읽기] 작성일 08-31 3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해킹 피해 기업에 빅테크보다 무거운 처벌<br>숫자 경쟁 아닌 실효적 보호로 전환해야</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K605EDuSIX"> <p contents-hash="ce640abf5226650754d450a2da7a7f46de6b84592debc117c8153211fb66e454" dmcf-pid="9Pp1Dw7vDH"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1347억 9100만원. 지난 28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해킹으로 고객 정보를 유출당한 SK텔레콤에 부과한 과징금 액수입니다. 개인정보위 출범 이후 최대 규모의 제재였죠. </p> <p contents-hash="b4559ebc6feab45cc09e6782ae60456b93894f1c1d555abb1707919b17a73eb5" dmcf-pid="225YNjFOwG" dmcf-ptype="general">그러나 현장에서 더 눈길을 끈 건 액수가 아니었습니다. 불과 몇 달 전만 해도 “엄벌이 필요하다”는 강경한 메시지를 던지던 고학수 위원장이 이번에는 “복제폰 가능성은 낮다”는 말과 함께 차분히 사건을 설명했기 때문입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44d105ce48483ac670396d910703e5bdc810719999a343fcacceb6949fd9731" dmcf-pid="VV1GjA3Iw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31/Edaily/20250831164544581thcy.jpg" data-org-width="550" dmcf-mid="BEsi7zA8m5"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31/Edaily/20250831164544581thcy.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b8148233d43151279fe96b1cb9e608e14d2000a2ca14acdf41fe4210d2eb61a8" dmcf-pid="fftHAc0CmW" dmcf-ptype="general"> <strong>산식이 만든 역설</strong> </div> <p contents-hash="f581dd1ac50b3f736a6f06beedfb6327f470b519effb58cd76f4b2598aed5dd4" dmcf-pid="44FXckphOy" dmcf-ptype="general">이번 사건은 알뜰폰 가입자를 포함해 2324만 4649명의 전화번호, 가입자식별번호(IMSI), 유심 인증키 등 25종의 정보가 유출된 중대한 해킹 사고였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2차 피해는 확인되지 않았죠. </p> <p contents-hash="4c046114f83d8b72e0b94edacbfb4a49a27162be96e711eab2810a5377b3b733" dmcf-pid="883ZkEUlDT" dmcf-ptype="general">그럼에도 SK텔레콤이 받은 과징금은 구글(692억), 메타(308억)의 두 배 이상입니다. 개인정보를 상업적으로 활용해 이익을 챙긴 글로벌 빅테크보다 오히려 해킹 피해를 입은 기업이 더 무거운 제재를 받은 셈이죠.</p> <p contents-hash="b952f96a47ecdcbc1998c32b59f80ce658be147126103fc65021682880312870" dmcf-pid="6605EDuSwv" dmcf-ptype="general">논란의 핵심은 개인정보보호법의 과징금 산정 구조입니다. 신용정보법은 개인신용정보가 도난·분실되더라도 과징금 상한을 50억원으로 정했습니다. 은행이나 증권사는 그 이상을 내지 않지요. </p> <p contents-hash="e876cf01235b859e1224ff757f4b9a68ccd6812578a6e20316f16e1805d76793" dmcf-pid="PPp1Dw7vES" dmcf-ptype="general">반면 개인정보보호법은 ‘전체 매출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SK텔레콤의 무선 매출이 약 10조원에 달하다 보니, 감경을 적용해도 천억 원대 과징금을 피할 수 없는 구조입니다. 같은 개인정보 유출이라도 적용 법에 따라 기업의 운명이 극적으로 갈리는 셈입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208e0d17a51a5b42c806db454019ff284dbacb41a83a2847f7c07c0bdbfd385" dmcf-pid="QQUtwrzTm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31/Edaily/20250831164545987yoxm.jpg" data-org-width="670" dmcf-mid="bfyhJiGkO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31/Edaily/20250831164545987yox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50037636543d9f2145c6cd68faa9f12eef528c49a479ec8d2a0821964a963666" dmcf-pid="xa4KyWP3sh" dmcf-ptype="general"> <strong>형식 논리에 갇힌 집행</strong> </div> <p contents-hash="569fa41877ca0eed8e7b6b4594c5ead36d68079a0dbc9ef8921b09e5b91ec92c" dmcf-pid="y3hmxMvaDC" dmcf-ptype="general">이번 사건은 단순히 SK텔레콤의 문제가 아닙니다. 개인정보보호법 체계가 사회 전반에 어떤 신호를 던지고 있는지를 되묻게 합니다. </p> <p contents-hash="3f69fdce6bf99bb187765ebafc190a71bca2859e86e9316858c06b64adecb950" dmcf-pid="W0lsMRTNEI" dmcf-ptype="general">지난해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으로 과징금 기준은 ‘관련 매출액의 최대 3%’에서 ‘전체 매출액의 최대 3%’로 바뀌었지요. 기업 책임성을 강화하겠다는 명분이었지만, 실제로는 ‘프라이버시 보호’라는 법익보다 개인정보 자체를 과잉 보호 대상으로 삼는 결과를 낳았습니다.</p> <p contents-hash="415c0f2e39bf3e6c6e1fdd7f6d0f260e7232ad451a74cd8809c6f2f44cf57ace" dmcf-pid="YpSOReyjOO" dmcf-ptype="general">김도승 전북대 교수는 “IMSI는 개인정보로 평가할 수 있어 제재는 불가피하지만, 피해 복구가 진행 중인데 수천억원을 확정하는 건 숙의가 부족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성엽 고려대 교수 역시 “고의적 상업 활용 사례보다 더 큰 액수는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고 했습니다.</p> <p contents-hash="3e8bbe6ea23ff62bf5c2cbcb4adced5f1b74b69fcb7bb0eb202ffe4341456384" dmcf-pid="GUvIedWAms" dmcf-ptype="general">과징금은 단순한 숫자가 아닙니다. 형식 논리에 갇힌 제도는 기업에 실질적 보안 강화를 요구하기보다는 신고를 주저하게 만드는 역설을 낳습니다. </p> <p contents-hash="2c0bfbe799694e1870659bb30b190a90a173da6a9bf1a64e2f753015a6c1d698" dmcf-pid="HuTCdJYcEm" dmcf-ptype="general">개인정보보호법이 던져야 할 메시지는 “얼마를 때렸는가”가 아니라 “얼마나 지켜냈는가”여야 하지 않을까요?</p> <p contents-hash="135567e41c82de4c688f95bd2ac2547fa04af1e3c4110d3cd340889a90d7a115" dmcf-pid="X7yhJiGkDr" dmcf-ptype="general"><strong>자진 신고마저 위축시키는 구조</strong></p> <p contents-hash="9ea54691d98490b2ed28955ac4335c539274c7a88eac9c466fa34a13ffb76ae4" dmcf-pid="ZzWlinHEsw" dmcf-ptype="general">더 큰 문제는 해킹 피해 기업들의 자진 신고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 SK텔레콤은 즉각 신고했고 서버 분리 등 조치도 취했지만, 결과는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반면 유럽 일반정보보호법(GDPR)은 자진 신고 시 80~90% 감경을 허용합니다. </p> <p contents-hash="99673c8fb28564d4ab879ebd2b38ddfba7f1af14cbbc83025399313db004a1bb" dmcf-pid="5qYSnLXDID" dmcf-ptype="general">이대로라면 기업들이 “신고하면 손해만 본다”며 은폐를 선택할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 과기정통부·한국인터넷진흥원(KISIA)의 ‘2024 정보보호 실태조사’에 따르면, 침해 사고를 겪은 기업 중 관계 기관에 신고한 비율은 19.6%에 불과했습니다. 여전히 낮은 수치죠.</p> <p contents-hash="f80f21baf01459fed4ecf81275038107fa85ef376d74c2ded3e9ff174400bbcd" dmcf-pid="1BGvLoZwsE" dmcf-ptype="general"><strong>남은 숙제는 법 개정</strong></p> <p contents-hash="d378485a865672b54425a890be8d08d792a5ac0f3100b6fc47bde106d3a7aa93" dmcf-pid="txuFrmqyIk" dmcf-ptype="general">데이터 시대, 기업의 고객 정보 보호 책임을 강화하려는 취지 자체는 정당합니다. 그러나 절차적 숙의와 형평성이 담보되지 않는다면 사회적 신뢰는 흔들립니다.</p> <p contents-hash="6c45524302a20b2ce40b0e37759090ed94f914564b2de728ebc422235c5c2e92" dmcf-pid="FM73msBWsc" dmcf-ptype="general">인공지능과 데이터 활용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 된 지금, ‘과징금 공포’만 남기는 제도는 기업들을 뒤로 숨게 만들고 정보보호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습니다.</p> <p contents-hash="6c97e6be7e95bf463c6ef599e8a947cfb6fae372ec1c3fbbdbbb3856f2c8c1e0" dmcf-pid="3Rz0sObYsA" dmcf-ptype="general">이제 필요한 것은 명확합니다. 기업 해킹시 개인정보보호법의 감경 기준과 산정 체계를 합리적으로 고쳐 해킹 피해 기업이 은폐가 아닌 보안 역량 강화로 나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일입니다. 중요한 것은 과징금 액수가 아니라 개인정보를 실질적으로 지켜내는 제도의 힘이라고 생각합니다.</p> <p contents-hash="5fc84a585c507207261098c3f4942665e710ce9f0ff3ea050a5a32c43ccc40aa" dmcf-pid="0eqpOIKGOj" dmcf-ptype="general">김현아 (chaos@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전공의 1년 반 만에 복귀…의료공백 해소될까 08-31 다음 한국 남자하키, 말레이시아에 1-4 역전패...아시아컵 4강 진출 불투명 08-3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