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반도체 불똥'…韓반도체, 미중 경쟁 유탄되나 작성일 08-30 3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5jjhT8tH0"> <div class="video_frm" dmcf-pid="H1AAly6FY3" dmcf-ptype="kakaotv"> <div class="layer_vod"> <div class="vod_player"> <iframe allowfullscreen class="player_iframe" dmcf-mid="Y6t7PRTNXp" dmcf-mtype="video/kakaotv/owner" dmcf-poster-mid="Wy1u6MvatU" frameborder="0" height="370" id="video@Y6t7PRTNXp" poster="https://t1.daumcdn.net/news/202508/30/newsy/20250830082416349fddv.jpg" scrolling="no" src="//kakaotv.daum.net/embed/player/cliplink/457609781?service=daum_news&m_use_inline=true&ios_allow_inline=true&m_prevent_sdk_use=true&wmode=opaque" width="100%"></iframe> </div> </div> </div> <p contents-hash="8406facf7fb62150a06c0b034e030c5c086b92800f166ce5225e20ed993a8db5" dmcf-pid="XtccSWP3GF" dmcf-ptype="general">[앵커]</p> <p contents-hash="f2527211407ffeb393ad6beee328dba3f3276299e6313b5ff4fc5a6eb2e996ce" dmcf-pid="ZFkkvYQ0Gt" dmcf-ptype="general">(이같은) 미국의 반도체 정책 변화에 국내 기업들은 영향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지만 불확실성이 커진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p> <p contents-hash="c17c8e4e4fde16bc92dbb8aff3d1b504ce5655dfca2ba4442fbaf6ffdbbc6a6b" dmcf-pid="53EETGxpY1" dmcf-ptype="general">특히 우리 반도체 기업들이 미중 경쟁의 한복판에 섰다는 점이 무엇보다 신경쓰이는 대목입니다. </p> <p contents-hash="b330a60e76d39534aeccbfd8c47305899cbbd655dc0f5d5e4acb8b53ba11b50a" dmcf-pid="1SeekrzTG5" dmcf-ptype="general">이 소식은 워싱턴 정호윤 특파원이 전합니다.</p> <p contents-hash="d41b09dc021ad1f113a42c539574d39a6dcbe778dfede095c55a2f4dfee4c762" dmcf-pid="tvddEmqyZZ" dmcf-ptype="general">[기자]</p> <p contents-hash="c5465d5ed9358455738fcdf8505f7c2a79bd22af6d753940ba9b29b741cc38ac" dmcf-pid="FTJJDsBWGX" dmcf-ptype="general">트럼프 행정부는 글로벌 제조사들의 미국내 생산을 압박하고 미국 기업인 인텔 지분까지 인수하면서 자국 첨단산업 보호에 열을 올려왔습니다.</p> <p contents-hash="98b0649ae181b22309bb392a76282e3803222ff09525a9b57702821023208155" dmcf-pid="3yiiwObY1H" dmcf-ptype="general"><캐롤라인 레빗 / 백악관 대변인 (지난 19일)> "러트닉 장관이 인텔 인수 작업을 맡아 세부안을 조율중인데, 트럼프 대통령은 안보와 경제적 관점 모두 미국의 필요를 최우선시 합니다."</p> <p contents-hash="1c18788627e1ba213d95879cb773c886eb3d06af5464f055ec5cdca21d9bd86a" dmcf-pid="0WnnrIKG5G" dmcf-ptype="general">이런 흐름 속에 공개된 미국의 새 반도체 정책은 중국 공장에 미국산 첨단 반도체 장비의 반입을 사실상 차단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읽혀집니다.</p> <p contents-hash="fe0df2a86775f780d1e431b9767de05c84dd6068100fd7b492d7ae3f98d54316" dmcf-pid="pYLLmC9HGY" dmcf-ptype="general">낸드플래시 생산공장과 D램 공장 같은 다수의 생산 거점을 중국에 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입장에서는 이래저래 타격이 불가피해졌습니다.</p> <p contents-hash="19163df6b1b0777e3f88342f13107a37746b496576c16325b3cbae7c8677e228" dmcf-pid="UGoosh2X5W" dmcf-ptype="general">미국 상무부는 기업들의 허가 신청이 연간 1천건 정도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지만 기업별로 수천건의 신청이 필요하다는게 업계의 시각입니다.</p> <p contents-hash="0e86ab6f807720fcbb4b81c15befa2a9cecb7ad55e20088a398c2b5c91357d2d" dmcf-pid="uHggOlVZYy" dmcf-ptype="general">허가 신청 과정에서 발생할 금전적·시간적 손해가 만만치 않고 승인 여부도 장담할 수 없습니다.</p> <p contents-hash="e934247816b941ff30cedee2732fdf09a620706fa9fe42d5e192566096814ae5" dmcf-pid="7XaaISf5tT" dmcf-ptype="general">첨단기술 주도권을 둘러싼 미중 힘겨루기에 한국이 중심에 선 형국으로, 중국 공장 운영에 불확실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게 중론입니다.</p> <p contents-hash="1f465a8545f0a925d789856ab5ea156dc2d190b43a47e18862f162c0fe2e4135" dmcf-pid="zZNNCv41Yv" dmcf-ptype="general">최악의 경우 중국 내 장비 업체들이나 삼성·SK하이닉스와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경쟁하는 미국 마이크론이 반사 효과를 거둘 수도 있습니다.</p> <p contents-hash="d54fa5064d9ed9a2cd8ce5b1e4f065151c94ef42061081fdb2b8794f1498affb" dmcf-pid="q5jjhT8t1S" dmcf-ptype="general">트럼프 대통령은 조만간 공개할 반도체 관세에 한국을 다른 나라보다 불리하지 않게 대우하겠다고 했지만, 일관성 없는 발언으로 인해 불확실성만 키우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d32959b52b0778a9b64c4a3adeadcbb45a9877dab68d9310bf75d2c35e9b35ca" dmcf-pid="B4WWUqc6Gl" dmcf-ptype="general"><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이달 초)>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반도체에 100% 관세를 부과할 겁니다. 미국에 공장을 짓기로 약속했거나 짓고 있다면 관세는 예외입니다."</p> <p contents-hash="3e3d87e2933d2bd8fdaa2a5a42d1db971b5859855093f7e2deb1a59df587bc27" dmcf-pid="b8YYuBkP1h" dmcf-ptype="general">그럼에도 우리정부와 업계에서는 미국 정부가 결과적으로는 우리 기업들의 발목을 잡지는 않을거라고 기대하는 눈치입니다.</p> <p contents-hash="b382683ea4c0fb7552db9431df727fb13d17bd9148b70f669116ca762fae1fcc" dmcf-pid="K6GG7bEQ5C" dmcf-ptype="general">행여 한국 공장들이 운영에 어려움을 호소하며 중국에서 철수한다면 중국 기업들이 글로벌 공급망을 손쉽게 차지할 수도 있다는 판단 때문입니다.</p> <p contents-hash="71d506df754bdfeb203c957f0e5b5c2168948b01c4fc342a8b7d3640908b55db" dmcf-pid="9PHHzKDxtI" dmcf-ptype="general">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p> <p contents-hash="c93d7f01a58e6cf42e00ff5eb9975a002f2bc2816de0ec2e40f36279b235daa0" dmcf-pid="2QXXq9wM1O" dmcf-ptype="general">[영상편집 박창근]</p> <p contents-hash="854f2cc4522a3542726d34e93893a7a7a890774fe0ac6c2693b8faaebf690f14" dmcf-pid="VxZZB2rRHs" dmcf-ptype="general">#반도체 #무역 #미중관계 #관세 #삼성전자 #SK하이닉스</p> <p contents-hash="4d1d0ac85eb3eeda5388987403cddb21a286794bc4c945c1c7ddca045e55f237" dmcf-pid="fM55bVmetm" dmcf-ptype="general">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p> <p contents-hash="0424fd1e8b6aa8a33b7a0ab04932c70f3d290b99e30a91b2198e54860ab77bab" dmcf-pid="4R11Kfsd5r" dmcf-ptype="general">정호윤(ikarus@yna.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장윤정, 살 빼란 말에 지원자 상처? “내가 또…” 당황 사과 08-30 다음 2025 한국대학테니스연맹 대의원총회 상주서 개최 08-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