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사고 잇따르자…비전AI·로봇으로 안전체크 주목 작성일 08-30 4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7lMulBkPHg"> <p contents-hash="7f0f2912c935d7743ef829dc57b457cbde4f84890040bef44da600d187461377" dmcf-pid="zIP0I7j41o" dmcf-ptype="general">국내 건설업계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보틱스 기술을 잇따라 건설현장 안전 관리에 접목하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78087bc0ed4c61807e0071c316ce1ebd7a8b5fcdb4b808daf99520dca466cac7" dmcf-pid="qCQpCzA81L" dmcf-ptype="general">최근 포스코이앤씨 건설현장에서 연이은 사망 사고가 발생하자, 이재명 대통령이 "건설면허 취소, 공공입찰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방안을 모두 찾아서 보고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이처럼 건설업계에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내놓은 것도 업계에 긴장감을 높이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4b063cdd96e02fbd5b37beb72f21662c442d0006c63546ff7d16801fd68dd29c" dmcf-pid="BhxUhqc65n" dmcf-ptype="general">정부는 징벌적 배상제 등 가능한 추가 제재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고용노동부는 이르면 10월부터 산업안전감독에서 안전 의무 위반 사항이 적발되면 시정지시 없이 즉시 수사에 착수한다는 방침입니다. 범죄사실이 인지되면 검찰에 송치할 예정입니다.</p> <p contents-hash="e4953fe32aa806274ea0bbfa9d85cadbe66610bc074aba5209ebe15c6e87cba5" dmcf-pid="blMulBkP5i" dmcf-ptype="general">이같은 분위기에 ‘안전 무장’ 기류가 확산되면서 건설업계 전반에 안전 관련 기술 투자 확대 기류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e142638a19420f38d955d4552ceb99da7877eeba19e488b3b4555d5bcda1998" dmcf-pid="KSR7SbEQX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현대건설 현장에서 안전점검 활동 중인 4족 보행 로봇견 '스팟' [연합뉴스 자료사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30/newsy/20250830070304773vsyd.jpg" data-org-width="500" dmcf-mid="UVZrMIKGZ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30/newsy/20250830070304773vsy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현대건설 현장에서 안전점검 활동 중인 4족 보행 로봇견 '스팟' [연합뉴스 자료사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b958d10f84ce7cde4496215545c3f643bc8b758d089e2dbf5bffb772db94e60" dmcf-pid="9vezvKDx1d" dmcf-ptype="general">◇ 건설현장 누비는 안전 로봇·드론…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 관심</p> <p contents-hash="680b4ecbbfb8bd20103e97aa202586ea5543f250bcb8561cdfbea2fb969d5741" dmcf-pid="2TdqT9wM5e" dmcf-ptype="general">현대건설은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4족 보행 로봇견 ‘스팟(Spot)’을 활용한 안전 관리 모델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bc8273ddfafd80b0543a5d04d3c92f13d0133873ce87a538b4054107a076ade3" dmcf-pid="VyJBy2rR1R" dmcf-ptype="general">2022년 김포~파주 고속도로 현장을 시작으로 다수 현장에서 시험 운용 중이며, 현장 모니터링·실시간 영상 전송·야간 감시 등 다양한 용도로 투입되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2529b6ef9954cbe792df3154a9be54a3b02b84cdace3f78549c7929b4cffd6c3" dmcf-pid="fWibWVmeYM" dmcf-ptype="general">특히 사람 출입이 곤란하거나 시야가 제한되는 공정 구간에서 로봇이 촬영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위험 요소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어 안전 관리자들의 효율성을 높인다고 설명입니다.</p> <p contents-hash="1512a488444944511102fcbda966626b02ce6d02a6057b8f4b892aeec46ca405" dmcf-pid="4YnKYfsdGx" dmcf-ptype="general">현대건설은 향후 로봇 관제 시스템과 드론 촬영 영상까지 통합해 ‘스마트 안전관리 플랫폼’으로 확장할 계획입니다.</p> <p contents-hash="33a229a817738116722ccc61c672fc0a03d533fd8fc090239b01c0e95e460510" dmcf-pid="8qOiqg5rXQ" dmcf-ptype="general">롯데건설은 스마트 건설기술을 기반으로 중대재해를 근절하고자 최고안전책임자(CSO) 산하 안전관리본부에 ‘안전혁신부문’을 추가 신설했습니다.</p> <p contents-hash="083b934ae7f6a0239ba68638a9e4eb81041b0167dc2b73bc64c860ae7d5e7ae9" dmcf-pid="6BInBa1mHP" dmcf-ptype="general">인공지능(AI), 로봇, 드론, 사물인터넷(IoT) 등 스마트 안전관리 기술을 발굴하고 연구개발을 거쳐 현장에 도입할 예정입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445c1644463abc560d730f209552e0e3662dc121ae4a4d9a658cbf582f704b9" dmcf-pid="PbCLbNtsZ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SAFETY SNAP 화면 구성 [웜블러드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30/newsy/20250830070304953wzmd.jpg" data-org-width="1021" dmcf-mid="upEx0dWAG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30/newsy/20250830070304953wzm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SAFETY SNAP 화면 구성 [웜블러드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3e1481ffa69485927a6452a71bd6c25cd3ad89e1f5a32928858300a8799c056" dmcf-pid="QKhoKjFO18" dmcf-ptype="general">◇ AI 비전 기반 안전평가 앱 ‘세이프티스냅’ 주목</p> <p contents-hash="1d44f1c5b9e5165f47430401d28620a82ce9f9ff75e21be5fa0d1bbbd538295c" dmcf-pid="x9lg9A3It4" dmcf-ptype="general">AI·핀테크 스타트업 웜블러드와 산업안전 전문기업 더플래닛세이프티는 최근 인공지능 기반 위험성 평가 앱 ‘세이프티스냅(Safety Snap)’을 선보였습니다.</p> <p contents-hash="e0aa36d8716cd595e67fe9136d0ce4152b23fc173cf054b8044e4eeaf0c896c2" dmcf-pid="ys8FsUaVYf" dmcf-ptype="general">기존 위험성 평가는 ▲작업자 수작업 보고서 의존 ▲평가자별 관점 차이 ▲위험요소 누락 등으로 한계가 컸습니다. 하지만 세이프티스냅은 현장 사진을 업로드하는 즉시 AI 비전(VLM)으로 위험요소를 분석하고, 산업안전보건공단(KOSHA) 기준에 맞춘 평가서를 자동 생성합니다.</p> <p contents-hash="50072de8e3c80d1cffb32ef1e5c566390b7af8545ece253acfdeb05aac6f8cd7" dmcf-pid="WO63OuNfHV" dmcf-ptype="general">또한 업종·공종 맞춤형 체크리스트 제공, 근로자의 현장 제보 기능, 클라우드 기반 SaaS 데이터 관리 기능 등을 결합해 ▲평가 시간 단축 ▲업무 효율화 ▲법적 대응 가능성을 강화합니다. 향후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해 산업안전 교육 콘텐츠로 확장하는 방안도 모색 중입니다.</p> <p contents-hash="7f024c19cb27dd1ca9bc4be835e237fbb6d7541070bf057f36d878fb5be9f591" dmcf-pid="YIP0I7j4H2" dmcf-ptype="general">조원정 웜블러드 대표는 “데이터 기반의 정밀한 안전 분석을 통해 일관성과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며 “산업현장의 안전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p> <p contents-hash="8db0e22f648d98da86ec9da5ee9b10ed9cb0c83bff6523e9f33380e46aa71d10" dmcf-pid="GCQpCzA8Z9" dmcf-ptype="general">◇ "사고 나면 존폐 위기"…건설사, 생존 걸고 안전 투자 나서야</p> <p contents-hash="261d04882a6271a7dcfdbc6cc0ff893862b1af835fd6c04fc3e2f3f5d1c765cf" dmcf-pid="HhxUhqc61K" dmcf-ptype="general">건설안전은 단순한 현장 관리 차원을 넘어 기업 재무·지배구조 리스크로 직결되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0776703933566805a6f966a9a216fcad4f49b169a8a78f717bc8d1d88254b46e" dmcf-pid="XlMulBkP5b" dmcf-ptype="general">2022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대형 건설사 임원진에 대한 법적 책임 범위가 커지면서, 안전 투자가 사실상 의무 수준으로 굳어졌습니다.</p> <p contents-hash="69a8286c0c7e52fe449bf6f478a259432a1e7467e09c733bc4047c12b1223dc8" dmcf-pid="ZkKHk1JqHB" dmcf-ptype="general">이에 따라 업계 안팎에서는 AI·로봇 기반 안전 관리 솔루션이 건설사의 새로운 ‘디지털 투자 포트폴리오’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65f8d464d2047cc106bc6f7e454584fb5905997c07bd248922ffa96bd81558a7" dmcf-pid="5E9XEtiBtq" dmcf-ptype="general">산업 안전 시장이 단순한 비용 항목을 넘어, 기술기업과 건설사의 신사업 협업 무대로 확장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p> <p contents-hash="41fa2564e219f989e17b122b0c012498c8b5e3fc2997840418b52f097ff5cc09" dmcf-pid="1D2ZDFnbHz" dmcf-ptype="general">#AI #로봇개 #건설안전</p> <p contents-hash="0c7f169bcfb9997a367c28c3e522d11ee9eaa3e8e1ddcb96a2ff12328410ff0e" dmcf-pid="twV5w3LK57" dmcf-ptype="general">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p> <p contents-hash="898e72dba4f5b1aceee29bbc9d5c3cf6f7f102d8bc7955ec64824e62d3d80ea6" dmcf-pid="Frf1r0o95u" dmcf-ptype="general">김동욱(DK1@yna.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우리 엑시노스가 달라졌어요" 갤럭시 S26 탑재 힘 실린다 [1일IT템] 08-30 다음 4년 전 노래도 부활…라이브 스트리밍이 낳은 역주행 신드롬 08-3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