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규 “주 4일 근무제? 너무 노는 것, 우리 회사는 7일 근무” (갓경규) 작성일 08-29 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3FISSUaVTr">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add459d1944a4dad2124f917211a6494d89125c194b9b53b6432507b9b8dfdf" dmcf-pid="03CvvuNfS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채널 ‘갓경규’ 캡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9/newsen/20250829083410727yyea.jpg" data-org-width="800" dmcf-mid="tWDss1Jqv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9/newsen/20250829083410727yye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채널 ‘갓경규’ 캡처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6ad6bd71fe2680437e1d1464e143a3aa823843f73cde3505eebbbedd21db887" dmcf-pid="pN4QQkphC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채널 ‘갓경규’ 캡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9/newsen/20250829083410875nunl.jpg" data-org-width="800" dmcf-mid="FbSWWqc6y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9/newsen/20250829083410875nun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채널 ‘갓경규’ 캡처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44e406f0d661d7258343094d6384025a5e39fa3b4048044658baff34203b96e" dmcf-pid="Uj8xxEUlhE" dmcf-ptype="general"> [뉴스엔 이민지 기자]</p> <p contents-hash="b23a5801c17202f44b508aab54d083cda2c9122b68ac7e098f376d9bb64d9bf4" dmcf-pid="uA6MMDuSlk" dmcf-ptype="general">개그맨 이경규가 주4일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p> <p contents-hash="b1b4f892059fdf3823f3631a09c6e271f272eedfb62183466cf11852d5b280fb" dmcf-pid="7cPRRw7vCc" dmcf-ptype="general">8월 28일 공개된 채널 '갓경규'에 '하나같이 마음에 안드는 요즘 경제 이슈를 향한 꼰대 이경규의 일침'라는 제목의 영상이 공개됐다. 이경규가 박정호 명지대학교 교수와 경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것. </p> <p contents-hash="504c8e88bfcf182c66e25eac164b5f43f6a37e8dd7e2161b792a59a85213c1b8" dmcf-pid="zkQeerzThA" dmcf-ptype="general">이경규는 "주 4일 근무제 이야기가 슬슬 나돌고 있다. 3일을 논다는 말이다. 너무 노는거 아니냐. 인간이 일을 해야지. 아날로그 시대부터 우리는 토요일에도 학교를 다녔다. 학교를 쭉 다니면서 살아왔기 때문에 주4일 하니까 받아들여지지 않는거다"라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c722dc8014ca32204282b905e8edf46f29767e052bd442e30ee338e172be939b" dmcf-pid="qExddmqyvj" dmcf-ptype="general">이에 박정호 교수는 "우리 사회가 선진화 됐으면 좋겠다. 업종에 따라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예를 들어 제조 현장에서는 3일 노는지, 4일 노는지 이틀만 노는지가 중요하다. 다같이 일해야 하니까. 그런데서는 중요한 이슈다. 누구는 넣고 누구는 빼고 이야기 하기가 욕먹을 것 같으니까 '전부다 4일제로 하라그래' 하는거다. 선진국인 한국에서 할 일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p> <p contents-hash="0f8030db1933fc884c62026d5d50e6a75bae768c9fd509103de42ca7c54ccd94" dmcf-pid="BDMJJsBWvN" dmcf-ptype="general">이어 "창작자라고 해야할까까. 그런 분야도 있다. 그런 분야는 주 3일, 4일이 중요한게 아니다. 오히려 밤에 생각이 잘 나면 밤에 일하는거다"라고 덧붙였다. </p> <p contents-hash="be450ec96fa16b062e412caa186bc9203bd2870f8f5ad51d896802cdaa0fc1ee" dmcf-pid="bwRiiObYya" dmcf-ptype="general">이경규는 "우리 회사는 주 7일 근무한다. ADG는 7일 근무다. 우린 창작이다. 언제 아이디어가 나올지 모른다. 출근, 퇴근 안 해도 된다. 대신 항상 나와있으라는거다"라고 말했고 박정효 교수는 "더 무섭다"고 선을 그어 웃음을 자아냈다. </p> <p contents-hash="03c3529e6fdb3d143f40becd2faa9cdfb914727da620448bcc656119894afd72" dmcf-pid="KZrIIFnbCg" dmcf-ptype="general">뉴스엔 이민지 oing@</p> <p contents-hash="1870c6daf268846452e4e22efb7f925c0339225faf061e09e9ecea770e3015e7" dmcf-pid="95mCC3LKho" dmcf-ptype="general">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en@newsen.com copyrightⓒ 뉴스엔.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밴드 국카스텐, 11년 만에 새 정규앨범 발매 08-29 다음 진초이, 까데호와 만났다…인디팝 새 가능성 제시 08-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