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호 100대 사건]〈92〉삼성전자, 세계 최초 3나노 GAA 공정 양산 작성일 08-28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73SEnHEs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3d343c7211ba2f1bd2bdad937849bb628661996cb186831356f30ce234b49ea" dmcf-pid="Z62tvw7vO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삼성전자 GAA 3나노미터 공정을 활용한 반도체 웨이퍼"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etimesi/20250828160312707yxdr.jpg" data-org-width="700" dmcf-mid="HILfUHMUE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etimesi/20250828160312707yxd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삼성전자 GAA 3나노미터 공정을 활용한 반도체 웨이퍼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95c118f63c9101198e77fa7228d755c0cfc30a6805f983d4f6ff65e2b0db847" dmcf-pid="5PVFTrzTrM" dmcf-ptype="general">삼성전자가 2022년 6월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기술을 적용한 3나노미터(㎚)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을 시작했다. GAA 기술을 활용한 세계 최초 파운드리 공정이다.</p> <p contents-hash="d7d82efd3764361d7ff1c050ba8c49d9cda4818817811ac2f2fa57f42e200c8b" dmcf-pid="1Qf3ymqywx" dmcf-ptype="general">GAA는 반도체 트랜지스터 핵심 요소인 게이트와 채널 접합면을 4개로 늘린 구조다. 기존 핀펫 구조는 접합면이 3개였다. 게이트와 채널 접합면이 늘면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를 더욱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채널 간 길이가 짧아지면서 발생하는 누설 전류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0d29c3929147f8cc86b83208728c5641544838f1f9e8c32d7cc5709a3a75ca77" dmcf-pid="tx40WsBWOQ" dmcf-ptype="general">GAA는 반도체 집적도를 높여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서 탄생했다. 반도체 크기는 줄이면서 성능을 끌어올리려면 회로 선폭을 줄여야 하는데, 기존 핀펫 구조로는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GAA는 2011년에 시작된 핀펫 시대의 종언을 알리는 패러다임 전환으로 평가받는다.</p> <p contents-hash="56e06413c2c1a8b6ceed244ff5e741d7a3090a1f54b1b55c9b53ac5cd2bb4046" dmcf-pid="FM8pYObYsP" dmcf-ptype="general">삼성전자는 화성 캠퍼스에서 GAA 3나노를 처음 양산했다. 고객은 중국 기업으로 알려졌다. 당시 파운드리 선두 주자 TSMC는 2022년 12월 3나노 양산을 개시했다. 또 2025년 하반기 양산 예정인 2나노 공정에 GAA 구조를 적용하는 만큼, GAA 3나노는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다.</p> <p contents-hash="79f5e42c68521ef6cc7d2f44e261a4af2e1e19e63790e1eb36dbd58973f3d94b" dmcf-pid="3R6UGIKGs6" dmcf-ptype="general">다만 세계 최초가 곧 성공으로 이어지진 않았다. 삼성전자 3나노 공정은 수율이 안정적이지 않아 많은 고객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다수 고객이 안정적인 수율을 찾아 핀펫 구조를 이어가고 있는 TSMC 3나노 공정을 찾았다.</p> <p contents-hash="1440c888b1dead2d0feefbaa727726a5cfc1dccbc510e099c27c6941319d7292" dmcf-pid="0ePuHC9Hm8" dmcf-ptype="general">업계에서는 올해 하반기 GAA의 본격적인 승부가 펼쳐질 것으로 관측된다. TSMC가 2나노에 GAA를, 삼성전자는 차세대 GAA를 적용한 2나노를 본격 양산하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964388cfd39519994ed774380f02c7276424b77c45fec69598f9f9fda877856a" dmcf-pid="pdQ7Xh2XE4" dmcf-ptype="general">권동준 기자 djkwon@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1만호 100대 사건]〈100〉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고 08-28 다음 [1만호 100대 사건]〈93〉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플랫폼 리스크 현실화 08-2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