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연계 해커, 80개국 군·통신망 침투"…미·동맹국 공조 수사 작성일 08-28 3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tYkJfuNfYF">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f91a201f6b326f0c6815304629c7fb0e09bda76dbf4ea5585baa16592fd47c1" dmcf-pid="FGEi47j4G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컴퓨터 코드와 중국 국기 [로이터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28/newsy/20250828160112699yxyn.jpg" data-org-width="500" dmcf-mid="16Dn8zA85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28/newsy/20250828160112699yxy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컴퓨터 코드와 중국 국기 [로이터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384c617c823dd4b3c8651c427380ef547b694483d3a7c9f30b27697ab3abb5a" dmcf-pid="3HDn8zA811" dmcf-ptype="general">중국과 연계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커 조직이 80여 개국 군 시설·통신망 등 기반시설에 침투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미국과 다른 12개 동맹국의 수사·정보 기관들이 현지시간 27일 밝혔습니다.</p> <p contents-hash="ff164cfddd766bbb2b206c30e8bace242378e7fc2713ccc64ede3bb77708b553" dmcf-pid="0XwL6qc615" dmcf-ptype="general">미 연방수사국(FBI) 등 서방 기관들은 중국 정부와 연계된 "지능형지속위협(APT) 행위자들"이 벌여 온 통칭 '솔트 타이푼' 해킹 공격에 대해 파악한 내용을 공개했습니다.</p> <p contents-hash="b147a8f94013437e75971d2122390ccdd83a9c930c3039f7e74de602c8bd3d63" dmcf-pid="pZroPBkP5Z" dmcf-ptype="general">미국 NBC 뉴스는 FBI 공보담당자의 입장문을 인용해 솔트 타이푼이 80여 개국 200여 개 회사를 해킹했다고 전했습니다.</p> <p contents-hash="9a8285c7e14ba2de549007b133ca56508657e4ffd0ff93c943138229d9edeecc" dmcf-pid="U5mgQbEQYX" dmcf-ptype="general">월스트리트저널(WSJ)은 FBI가 이번 공격과 관련해 80여 개국의 약 600개 회사에 공격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경고를 보냈다고 보도했습니다.</p> <p contents-hash="fa3de361c977cec41a18f4dd8d2d9d11e957cae7d3803a1685540970e9903a47" dmcf-pid="u1saxKDxXH" dmcf-ptype="general">보고서에 따르면 이 공작에는 최소 3곳의 중국 민간 사이버보안 기업 소속 행위자들이 참여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p> <p contents-hash="4ede7ed3f728c255140577a4c25e4c92e5f02d6f6d02597e48c2244ef7c2f97d" dmcf-pid="7f1SEnHE1G" dmcf-ptype="general">보고서에 적시된 쓰촨쥐신허네트워크과기유한공사, 베이징환위톈충정보기술유한공사, 쓰촨즈신루이제네트워크과기유한공사는 중국 인민해방군과 국가안전부 등의 정보기관에 사이버보안 관련 제품과 서비스를 납품하는 업체들입니다.</p> <p contents-hash="3ee55f528c635f3e760d901700c17c64765f0266e047c255b14f2195bf64b2f3" dmcf-pid="z4tvDLXDZY" dmcf-ptype="general">이 중 쓰촨쥐신허네트워크과기유한공사는 올해 1월 미국 재무부의 제재 대상 목록에 포함됐으나 나머지 2개 기업은 이번에 처음 지목됐습니다.</p> <p contents-hash="13dbb9cda5abb6897dc9c71054156126d32a53713142df473f202c839dd27e76" dmcf-pid="q8FTwoZwHW" dmcf-ptype="general">미국 정부는 지난해에 중국과 연계된 해커들의 주요 기반시설 공격 움직임을 포착하고 수사에 착수했습니다.</p> <p contents-hash="e0a4f67a371af3b744ee79da10da49cd5e36ccc93e920d9d00a1164a1075ad95" dmcf-pid="B63yrg5rGy" dmcf-ptype="general">솔트 타이푼 공격은 2021년부터 시작됐을 것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고, 2019년이나 그 전일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옵니다.</p> <p contents-hash="4a806459dc06e1100e432d9cadcfd81e3b58f8571b408cfcf6148fa5c31d09bf" dmcf-pid="bP0Wma1mtT" dmcf-ptype="general">다만 보고서는 이번 해킹 공작 집단이 사이버보안업계에서 '솔트 타이푼', '오퍼레이터 팬다' 등 다양한 이름으로 보고된 중국 정부 연계 의심 해킹 사례군과 "부분적으로 중복"되지만 "1대 1 대응"은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p> <p contents-hash="88d6311b014d1a09d5f53131a02603aa9887b2da83315fd4dbcf194f73d4d0c7" dmcf-pid="KQpYsNts1v" dmcf-ptype="general">해커들은 여러 나라에서 핵심 인프라 통제 네트워크에 침입하는 데 성공했으며, 그 중에는 미국 버라이즌, AT&T 등 거대 통신업체들과 주방위군 전산망도 포함됐습니다.</p> <p contents-hash="337f452466ea679dba4dd2873e454580507adf5a31407ba08747e1352e3f8853" dmcf-pid="9xUGOjFO1S" dmcf-ptype="general">지난해 10월에는 미국 공화·민주 양당의 대선 주자들과 캠프 관계자들의 휴대전화도 표적이 됐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습니다.</p> <p contents-hash="b4dfbf64e86f2abf2b554a0909ca21a9717071fefcc6c7eb427f3505bdcb2d85" dmcf-pid="2MuHIA3IYl" dmcf-ptype="general">다만 해킹이 실제로 성공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p> <p contents-hash="d0b708b4a4f8a84a7129d34655632fd6b0f4ec81638483cabb93c7798ff5dc52" dmcf-pid="VR7XCc0CYh" dmcf-ptype="general">FBI의 사이버부문장인 브렛 레더먼은 침입자들이 100만건이 넘는 통화기록을 입수했을 공산이 크며 미국인 100여 명의 통화와 문자메시지를 표적으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고 WSJ은 전했습니다.</p> <p contents-hash="95302cd0b5b2a30afbd5a9ab0de3c49ab26e161a9ebed75085bd644ad21cf889" dmcf-pid="fezZhkphHC" dmcf-ptype="general">이번 수사에는 미 FBI, 국가안보국(NSA), 사이버·인프라보안국(CISA) 등과 호주·캐나다·뉴질랜드·영국·체코·핀란드·독일·이탈리아·일본·네덜란드·폴란드·스페인의 정부기관들이 참여했습니다.</p> <p contents-hash="fad6f4e7324f704715f81fdee6496a15c3bdf11d226b068d8c5042a8b0ecede5" dmcf-pid="4dq5lEUlXI" dmcf-ptype="general">중국 정부는 '솔트 타이푼' 등 해킹 공작에 관여한 적이 없다며 미국 정보기관들과 사이버 보안업체들이 비밀리에 공모해 중국을 모함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a5861da61e134c3f21d22493049cfd7631ebeb05fc4b43bb0f87303831da344e" dmcf-pid="8JB1SDuSGO" dmcf-ptype="general">#중국연계 #해킹 #군시설 #통신망</p> <p contents-hash="71acdcf90ed0fa5b632414befe5ed8a37f40bd74e03bd1f68291f67e1238404b" dmcf-pid="6sJfUHMU5s" dmcf-ptype="general">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p> <p contents-hash="5902f33d949e21cc9158c24f49c6546ea717df45232d4a419b72565b3777251b" dmcf-pid="POi4uXRu1m" dmcf-ptype="general">이성섭(leess@yna.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단통법 사라지자, 통신사 보조금 전쟁…‘마이너스폰’ 등장 08-28 다음 "TV홈쇼핑, 송출수수료 5.6% 증가에 그쳐…현실화해야" 08-2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